$\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인의 심혈관질환 발생을 유발하는 위험인자들의 기여도 평가
Assessment of the Contribution of Risk Factors that Cause Cardiovascular Disease in Koreans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21 no.6, 2020년, pp.592 - 602  

조상옥 (삼성서울병원 의무기록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한국인 심혈관질환 발생에 기여하는 위험인자들의 기여도를 평가해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2005년~2013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이용하였으며 30세~74세 대상자 중 심혈관질환 기왕력이 없고, 6개 위험인자 관련 응답이 모두 존재하는 20,012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자료 분석SAS 9.3으로 수행하였으며 가중치를 적용한 복합표본설계분석을 수행하였고 기여도는 준부분상관제곱분석(squared semi-partial correlation)을 적용하여 구하였다. 연구결과, 남성은 연령(63.9%), 흡연(17.3%), 수축기 혈압(7.9%), 당뇨병(6.9%), 고혈압 치료약물 복용(3.0%), 체질량지수(0.9%) 순이었으며, 반면 여성은 연령(54.1%), 수축기 혈압(23.5%), 당뇨병(13.6%), 고혈압 치료약물 복용(5.1%), 흡연(3.1%), 체질량지수(0.6%) 순이었다. 심혈관질환 발생 위험인자 중에서 연령이 남녀 모두에게 기여도가 가장 높았다. 연령대별 분석결과는 남성은 흡연(51.8~33.7%)이 전 연령대에서 가장 높은 위험인자였으며, 그 다음으로 30대는 연령(26.6%), 40대 이상은 수축기 혈압(17.3%~21.0%) 이었다. 여성은 수축기 혈압(56.2~40.5%)이 전 연령대에서 가장 높았으며 그 다음으로 30대는 연령(24.0%), 40대 이상은 당뇨병(13.6%~32.6%)이었다. 소득수준별로는 기여도에 큰 차이가 없었다. 본 연구결과 향후 심혈관질환 예방을 위해서는 어떤 위험인자를 중점 관리해야 하는지 확인할 수 있었다. 심혈관질환 발생 예방을 위해서는 위험인자의 기여도가 반영된 심혈관질환 예방·관리 프로그램이 개발되어야 하며, 본 연구결과에서 보여준 결과가 기초자료로 활용되기를 제안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examined the contribution of the risk factors that cause cardiovascular disease in Koreans. The subjects were 20,012 adults aged 30~74 years who were enrolled from the 2005~2013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had filled the risk factors data, and had no cardiovas...

주제어

표/그림 (9)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심혈관질환 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위험인자로 연령, 수축기 혈압, 고혈압 치료약물 복용, 흡연, 당뇨병, 체질량지수를 선정하였으며, 2005년부터 2013년까지 시행된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에서 조사한 항목을 2년 단위로 수집하여 분석에 활용하였다. 30 세~74세의 조사응답자 중에서 심혈관 질환력(협심증, 심근경색증, 뇌졸중)이 있는 자는 제외하였으며 6개 위험인자 관련 응답이 모두 존재하는 20,012명을 최종 연구대상자로 선정하여 심혈관질환 발생 위험인자들의 기여도를 평가하고, 향후 심혈관질환 발생을 예방하기 위해 어떤 위험인자를 중점 관리해야 하는지 참고자료로 제시하고자 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 이러한 많은 노력에도 불구하고 심혈관질환을 발생시키는 위험인자의 기여도에 대한 연구는 아직 없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심혈관 질환 발생에 기여하는 여러 위험인자 중에서 FHS의 심장나이 산정 인자들(연령, 수축기 혈압, 고혈압 치료약물 복용 여부, 흡연, 당뇨, 체질량지수)이 심혈관질환 발생에 어느 정도 영향을 미치는지 국민건강영양조사(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자료를 이용하여 그 기여도를 평가해 보고자 한다.
  • Framingham Heart Study(이하 FHS)를 비롯한 여러 연구에서는 심혈관질환 발생 위험인자로 혈압, 중성지방 및 콜레스테롤 수치, 연령, 흡연, 스트레스 등을 밝혀냈으며, 심혈관질환 발생위험을 예측하는 수식을 개발하는 등 심혈관질환 관리 및 예방을 위해 많은 노력을 하였다[4-8]. 또한 심혈관질환 예방을 위한 지침을 개발하여[9] 일선 의료기관에서 치료 및 예방 관리에 활용하도록 하였다. 이러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심혈관질환이 심각한 질환으로 계속 남아 있자 D’Agostino 등은 의사와 환자·일반인들 상호간에 심혈관질환 발생위험에 대해 간단하게 의사소통을 할 수 있는 도구가 필요하다고 판단하였고, 진료실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임상데이터를 이용하여 향후 10년 내 심혈관 질환 발생위험을 예측할 수 있는 공식을 제안했으며 이를 ‘Framingham Heart Study의 심장나이 예측모형 (Predicted heart age, 이하 심장나이)’라고 정의하였다 [2].
  • 본 연구는 심혈관질환 발생 위험인자의 기여도를 평가하고자 하는 연구이다. 심혈관질환 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위험인자로 연령, 수축기 혈압, 고혈압 치료약물 복용, 흡연, 당뇨병, 체질량지수를 선정하였으며, 2005년부터 2013년까지 시행된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에서 조사한 항목을 2년 단위로 수집하여 분석에 활용하였다.
  • 본 연구는 전 국민을 대표할 수 있도록 통계학적으로 잘 설계된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향후 10년 내 심혈관질환 발생을 예측하는 위험인자들을 대상으로 심혈관질환 발생의 기여도를 평가한 연구로 전 국민에게 적용할 수 있다는 점에 큰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 확인된, 심혈관질환 발생에 기여도가 높으며 조절 가능한 위험인자는 남성은 흡연의 기여도가 가장 높았으며 그 외에는 남녀가 기여도의 차이는 있으나 동일하게 수축기 혈압, 당뇨병, 고혈압 치료약물 복용, 체질량지수 등의 순서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Framingham heart study의 심장나이 공식을 활용하여 향후 10년 내 한국인 심혈관질환 발생위험을 예측해 본 결과는 어떠한가? 우리나라에도 ‘Framingham heart study의 심장나이 공식을 활용하여 향후 10년 내 한국인 심혈관질환 발생위험을 예측해본 연구가 있다 [11]. 연구결과, 한국인의 심장나이는 실제나이보다 평균 남성은 8살, 여성은 1살 더 많았으며, 심장나이가 실제나이보다 10살 이상 초과한 비율은 남성이 34.8%, 여성이 18.7% 이었다. 이 결과는 한국인 남성은 세 명 중 한 명, 여성은 다섯 명 중 한 명 정도가 10년 내 심혈관질환 발생위험 확률이 75% 정도라고 설명할 수 있으며, 이는 향후 10년 내 한국인 심혈관질환 발생 위험성이 매우 높은 수준이라고 할 수 있다. 심혈관질환은 치명적이나 예방이 가능한 질환으로 Mensah 등은 그의 논문에서 심혈관질환은 질환을 발생시키는 위험인자에 따라 유병율의 차이를 가져오며, 이환율 및 사망률에도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하였다[12].
심혈관질환의 특징은 무엇인가? 심혈관질환(cardiovascular disease)은 세계적으로 오랜 기간 유병율이 매우 높은 만성질환으로 잘 알려져 있으며, 사망원인 1위 질환으로 2016년 전체 사망환자 중 26.7%가 이 질환으로 사망하였다[1]. 심혈관질환은 만성 심장질환, 뇌혈관질환, 말초동맥질환, 심부전을 포함하는 질환으로 정의하고 있으며[2], 우리나라에서는 심장질환, 뇌혈관질환이 원사인 2, 3위 질환으로 2016년도 전체 사망환자 중 21.
심장나이는 어떻게 계산할 수 있는 가? 이러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심혈관질환이 심각한 질환으로 계속 남아 있자 D’Agostino 등은 의사와 환자·일반인들 상호간에 심혈관질환 발생위험에 대해 간단하게 의사소통을 할 수 있는 도구가 필요하다고 판단하였고, 진료실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임상데이터를 이용하여 향후 10년 내 심혈관 질환 발생위험을 예측할 수 있는 공식을 제안했으며 이를 ‘Framingham Heart Study의 심장나이 예측모형 (Predicted heart age, 이하 심장나이)’라고 정의하였다 [2]. 심장나이는 심혈관질환 발생 위험인자인 연령, 수축기 혈압, 고혈압 치료약물 복용여부, 흡연, 당뇨병, 체질량지수(Body Mass Index, BMI)를 공식에 적용하여 성별에 따라 계산되며, 계산된 심장나이와 실제나이와의 차이를 비교하여 향후 10년 내 심혈관질환 발생위험을 확률로 제시하는 것이다. 미국에서도 심혈관질환이 보건 및 경제적인 측면에서 심각한 문제가 되자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CDC: centers for disease prevention and control)에서는 심장나이 개념을 적용해 30~75세 23만 명을 10년에 걸쳐 조사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WHO, The top 10 causes of death [cited 2018 May 24], Available From: https://www.who.int/news-room/fact-sheets/detail/the-top-10-causes-of-death (accessed April 19, 2020) 

  2. D'Agostino RB. Sr, Vasan RS, Pencina MJ, et al,"General Cardiovascular risk profile for use in primary care: the Framingham Heart Study", Circulation, Vol.117, pp.743-753, 2008. DOI: http://dx.doi.org/10.1161/CIRCULATIONAHA.107.699579 

  3. KOSIS. Statistical Database. "Cause of death" From : http://kosis.kr/search/search.do 

  4. https://www.framinghamheartstudy.org 

  5. KM. Anderson, Patricia M. Odell, Peter WF .Wilson, William B. Kannel, "Cardiovascular disease risk profile". Am Heart J, Vol.121, pp.293-8, 1990. DOI: http://dx.doi.org/10.1016/0002-8703(91)90861-B 

  6. D'Agostino RB. Sr, Scott Grundy, Lisa M. Sullivan, et al. "Validation of the Framingham coronary heart disease prediction scores", JAMA, Vol.286, No.2, pp.180-189, 2001. DOI: http://dx.doi.org/10.1001/jama.286.2.180 

  7. Assmann G, Cullen P, Schulte H, "Simple scoring scheme for calculating the risk of acute coronary events base on the 10-year follow up of the Prospective Cardiovascular Monster (PROCAM) study", Circulation, Vol.105, pp.301-315, 2002. DOI: http://dx.doi.org/10.1161/hc0302.102575 

  8. Quanhe Yang, Yuna Zhong, Matthew Ritchet, Fleetwood loustalot,, Yuling Hong, et al, "Predictor 10-year risk of developing cardiovascular disease at the state level in the U.S.", Am J Prev Med , Vol.48, No.1, pp.58-69, 2015. DOI: http://dx.doi.org/10.1016/j.amepre.2014.09.014 

  9. Thomas A.P., Steven N.B., Stephen R.D., Robert HE, Joan M.F., et al, "AHA Guidelines for primary Prevention of Cardiovascular Disease and Stroke: 2002 Update Consensus Panel Guide to Comprehensive Risk Reduction for Adults patients without coronary or other Atherosclerotic Vascular Diseases", Circulation, Vol.106, pp.388-391, 2002. DOI: http://dx.doi.org/10.1161/01.CIR.0000020190.45892.75 

  10. H. J. Han, "If the heart age is 10 years older than the chronological age, the incidence of cardiovascular disease increases by 75%.", chosunilbo, 16:A27, Sep. 2015. Available From: http://health.chosun.com/site/data/html_dir/2015/09/16/2015091600217.htm (accessed Apr. 21, 2020) 

  11. S. O. Cho, "Change Pattern of Heart Age in Korean Population Using Heart Age Predictor of Framingham Heart Study",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20, No. 8 pp.331-343, 2019. DOI: https://doi.org/10.5762/KAIS.2019.20.8.331 

  12. Mensah G.A., Mokdad A.H., Ford E.S, et al, "State of disparities in cardiovascular health in United states", Circulation, Vol.111, pp. 1233-1241, 2005. DOI:http://dx.doi.org/10.1161/01.CIR.0000158136.76824.04 

  13. S. H. Jee, "Genetic and environmental effects of cardiovascular risk factors", Journal of lipid and atherosclerosis, Vol.11, No.3, pp.387-390, 2001. 

  14. J. Y. Choi, M. Y. Jeon, Y. M. Seo, S. Y. Choi, "Risk assessment for Cardiovascular Disease in Middle Age Women Workers",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ol.8, No.8, pp.137-145, 2017. DOI:https://doi.org/10.15207/JKCS.2017.8.8.137 

  15. J. W. Yoon, K. G. Yi, J. G. Oh, S. Y. Lee, "The relationship between metabolic syndrome and Krean Cardiovasculaar Risk Assessmnetfor Male Researchers in a Workplace",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Public Health, Vol.40, No.5, pp397-403, 2007. DOI: http://dx.doi.org/10.3961/jpmph.2007.40.5.397 

  16. I. Y. UM, W. J. Choi, D. Lee, J. S. Oh, M. K. Yi, et al, "Risk Assessment for Cardiovascular diseases in Male Workers: Comparing KOSHA Guidelines and the Framingham Risk Score system", Korean J Occup Environ Med., Vol.24, No.4, pp.365-374, 2012. http://www.ndsl.kr/ndsl/search/detail/article/articleSearchResultDetail.do?cnART001736113 

  17. W. B. Pyun, "Primary Prevention of Cardiovascular Disease", KJFM, Vol.23, No.12, pp.1405-1411, 2002. http://www.ndsl.kr/ndsl/search/detail/article/articleSearchResultDetail.do?cnART000869557 

  18. D. W. Sun, B. W. Kim, J. C. Park, J. G. Lee, "Effects of Carcass Traits on Auction Price in Hanwoo",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Vol.54, No.2, pp. 77-82, 2012. DOI:http://dx.doi.org/10.5187/JAST.2012.54.2.77 

  19. E. Y. Kim, S. Y. Hwang, "Incidence Risk of Cardiocerebrovascular Disease, Preventive Knowledge, Stage of Change and Health Behavior among Male Bus Drivers",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Vol.23, No.4, pp.321-331, 2011. 

  20. John A. Ambrose, Rajat S. Barua, "The Pathophysiology of Cigarette Smoking and Cardiovascular Disease", Journal of the American College of Cardiology, Vol.43, No.10, pp1731-1737, 2004. DOI:http://dx.doi.org/10.1016/j.jacc.2003.12.047 

  21. http://kosis.kr/statHtml/statHtml.do?orgId101&tblIdDT_2KAAC04_OECD&vw_cdMT_RTITLE&list_idUTIT_OECD_L&seqNo&lang_modeko&languagekor&obj_var_id&itm_id&conn_pathA4 

  22. N. H. Cho, "Prevalence of diabetes and management status in Korean population", Korean Journal of Medicine , vol.68, No.1, pp.1-3, 2005. 

  23. S. G. Kim, D. S. Choi, "The Present State of Diabetes Mellitus in Korea", J Korean Med Assoc, Vol.51, No.9, pp.791-798, 2008. DOI: http://dx.doi.org/10.5124/jkma.2008.51.9.791 

  24. S. G. Yeoum. "The Investigation on The Risk Factors of Cardiovascular Disease for Postmenopausal Women Over 50 Years", Journal of menopausal medicine, Vol.9, No.3, pp.266-272, 2003.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