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여고생의 자아존중감과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Group Art Therapy Program on Self-esteem and School Life Adaptation of High School Girls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6 no.2, 2018년, pp.313 - 325  

신은미 (한서대학교 아동청소년상담심리학과) ,  김윤정 (한서대학교 보건복지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여고생의 자아존중감 및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력을 파악하는데 연구의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하여 충남 S시에 소재하는 S여자고등학교에서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하였고 양적 및 질적 통합적 방법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은 여고생들의 자아 존중감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은 여고생들의 학교생활적응을 높이는 데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통합적 분석 결과 자아존중감이 양적 분석 시에만 유의한 변화가 있는 경우가 있었다. 반면, 학교생활적응은 질적 분석 시에만 유의한 변화가 있는 경우도 있었다. 끝으로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여고생들의 자아존중감 및 학교생활적응을 향상시키기 위한 정책적 방안을 논의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group art therapy program on self-esteem and school life adaptation of high school girls. For this purpose, a group art therapy program was performed for 6 students of S girls' high school in S city in Chungcheongnamdo and the effects were 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S시의 여고생을 대상으로 하여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하였고 이를 통하여 여고생의 자아존중감과 학교생활적응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는 데 연구의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하여 6명을 대상으로 하여 총 10회기의 프로그램을 진행하였고 연구 결과 해석은 사전-사후 양적 및 질적분석, 즉 통합적 접근 방식을 시도하였다.
  •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연구 문제를 첫째,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 참여 후 연구대상의 자아존중감 변화는 어떠한가? 둘째,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 참여 후 연구대상의 학교생활적응 변화는 어떠한가? 로 설정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자아존중감이 저하되고 학교생활에 적응하지 못하는 여고생들이 그들의 자아존중감 및 학교생활적응을 향상시키기 위한 정책적 방안을 제시하는 데 함의가 있다.
  • 본 집단 미술치료 프로그램은 여고생들의 자아존중감과 학교생활적응력 향상을 목적으로 한다. 총 10회기로 구성되어 있으며 회기별 주제를 Table 1에 제시하였다.
  • 연구의 목적은 여고생의 자아존중감과 학교생활적응능력 향상을 위한 집단미술프로그램의 효과성을 파악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충청남도 S시 소재의 여자 고등학교에서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을 홍보한 뒤 참여 가능한 여고생의 신청을 받아 8명을 선정하였다.
  • 이에 본 연구는 여고생을 대상으로 하는 10회기의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그들의 자아존중감과 학교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력을 파악하고자 하는데 연구의 목적을 두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연구 문제를 첫째,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 참여 후 연구대상의 자아존중감 변화는 어떠한가? 둘째,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 참여 후 연구대상의 학교생활적응 변화는 어떠한가? 로 설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학교생활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적 요인은 무엇이 있는가? 그러나 적응이 실패적인 경우 그들은 학교 생활 자체를 무가치한 것으로 여기게 되고 심한 좌절감을 느끼게 되며[2], 나아가 사회부적응 문제로까지 이어진다[3].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학교생활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적 요인으로 자아존중감, 자아개념, 학업성취, 자아탄력성, 사회적 고립감으로 밝혀졌다[4-6]. 이중 자아존중감에 관한 연구가 다수 이루어졌는데 김석기[6]에 의하면 자존감이 높은 청소년일수록 모든 활동에 활동적이었고 의사표현에 적극성을 보이고 또래와도 협동적이며, 창조적 활동에서 두각을 나타내어 학교생활에 적응을 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교생활적응이란 무엇인가? 학교생활적응이란 학생이 개인적인 학교생활을 하며 접하게 되는 다양한 교육적 환경과 문제에 탄력적으로 대처하고 자기발전을 위해 그들의 환경을 변화시키는 학교환경과 개인 사이에서의 역동적인 상호작용 능력을 말한다[1]. 따라서 학생들이 학교에서 겪게 되는 사회적 관계 및 인간관계는 학교환경에 대한 적극적인 적응의 주요한 요인이라 할 것이다.
적극적인 학교생활적응의 주요한 요인은 무엇인가? 학교생활적응이란 학생이 개인적인 학교생활을 하며 접하게 되는 다양한 교육적 환경과 문제에 탄력적으로 대처하고 자기발전을 위해 그들의 환경을 변화시키는 학교환경과 개인 사이에서의 역동적인 상호작용 능력을 말한다[1]. 따라서 학생들이 학교에서 겪게 되는 사회적 관계 및 인간관계는 학교환경에 대한 적극적인 적응의 주요한 요인이라 할 것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S. J. Seo. (2010). Analysis of the casual relationships of the factors related to school adjustment of adolescents. Doctoral Dissertation. Chungbuk University, Chungju. 

  2. E. S. Cha. (2002). A study of publi kindergarten teachers' perception of the management of extended classes. Master's Dissertation. Incheon University, Incheon. 

  3. K. S. Yoon. (2000). A study of group counseling program for school-maladjusted adolescents on solution-focused brief therapy. Master's Dissertation.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Seoul. 

  4. M. S. Lee & G. M. Lee. (2009). A Study on Academic Achievement, Self-concept, School-related Adjustment, and School Maladjustment Behavior of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The journal of Educational Studies, 40(1), 167-193. 

  5. Y. H. Kim & G. J. Seong. (2014). The Influence of the Stresses and Ego Resilience on the School Adaption of Middle School Students'.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22, 103-126. 

  6. S. K. Kim. (2000). The effects of self development programs for the middle school students on their self-respect and personal relationship. Master's Dissertation. Keimyung University, Daegu. 

  7. Y. H. Park. (2008). The effects of group art therapy program on self-esteem and school adjustment of the elementary school children. Master's Dissertation. Hanyang University, Seoul. 

  8. Y. A. Kim & G. S. Kim. (2015). The Effects of Group Art Therapy on Depression and self-efficacy of Adolescents. The Journal of Humanities, 37, 81-115. 

  9. D. Y. Kim & S. H. Lee. (1997). The group art therapy in raising self-esteem for poor and broken family' children. Korean Journal of Art Therapy, 4(1), 1-24. 

  10. S. A. Jin. (2010). Effects of group art therapy on the self-expression and inter-personal skills of adolescents attending a local child center. Master's Dissertation. Yeungnam University, Daegu. 

  11. J. Y. Park. (2014). The effects of group art therapy based on psychocybernetic model on the sociality and self-esteem for psychiatric patients in day hospital. Master's Dissertation. Seoul Women's University, Seoul. 

  12. J. K. Jung. (2007). The effect of group art therapy on way of stress coping and school adjustment of girls in high school. Master's Dissertation. Seoul Women's University, Seoul. 

  13. K. H. Pack. (2005). The effect of group art therapy for adolescents maladjusted to school. Master's Dissertation. Myongji University, Seoul. 

  14. H. J. Kwon. (2017). A Qualitative case study of the group art therapy for self-understanding of 40s married women. Master's Dissertation.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15. D. G. Song. (2014). Study on the effect of group art therapy to improve senior citizens' depression who live alone -through draw-a-story inspection-. Master's Dissertation. Kyonggi University, Suwon. 

  16. E. M. Son. (2014). Effects of collage group art therapy on depression and self-esteem of the elderly with dementia. Master's Dissertation. Kyonggi University, Suwon. 

  17. U. H. Shim. (2013). The effect of group art therapy on internet addiction of youths. Master's Dissertation. Myongji University, Seoul. 

  18. J. H. Jeon. (2012). The effect on the group art therapy for the self-growth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of the adolescents in institutional care. Master's Dissertation. Changwon National University, Changwon. 

  19. C. Teddlie & A. Tashakkori. (2009). Foundations of mixed methods research thousand oaks, CA : SAGE. 

  20. R. B. Johnson & A. J. Onwuenbuzie. (2004). Mixed methods research: a research paradigm whose time has come. Educational Researcher, (7)33, 14-26. 

  21. H. H. Kim & K. Y. Kim. (1996). Development of self-esteem inventory for children in Korea.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34(5), 1-12. 

  22. H. H. Kim. (1998). Development of self-esteem in adolescence: It's relation to environmental variables and adjustment. Doctoral Dissertation. Pusan National University, Pusan. 

  23. J. H. Kim. (1981). Effects of school physical environment variables on children's positive behavioral characterstics. Master's Dissertation. Korea University, Seoul. 

  24. S. P. Lee. (1990). Analysis of differences in academic performance and behavioral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school adaptation level. Master's Dissertation. Hongik University, Seoul. 

  25. Y. S. Lee. (1997). The relationship among elementary school children's learned helplessness, success-failure attribution, and school life adjustment. Master's Dissertation.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Chungju. 

  26. J. H. Kim & D. W. Chung. (2011). Effects of group art therapy program on self-esteem and peer relationship of children in low-income and single-parent family. Journal of the Korean Living Science Association, 20(5), 967-981. 

  27. Y. S. Jung & S. H. Kim. (2015). The effects of group art therapy on ego-identity and self-esteem of out-of-school youth. Korean Journal of Youth Studies, 22(6), 105-130. 

  28. E. J. Kim & G. S. Kim. (2015). The effects of group art therapy on the self-esteem and school adjustment of adolescents with poor school adjustment. Journal of Arts Psychotherapy, 11(2), 179-204. 

  29. K. Y. Oh & S. Lee. (2009). The Effect of Group Art Therapy on Self-Esteem and Sociality of the International Marriage Immigrant's(Onnuurian) Children. Korean Journal of Art Therapy, 16(3), 359-376. 

  30. I. R. Jung, M. Gong, & E. Y. Choi. (2016). The Influence of Cooperative Activity-Centered Group Art Therapy on Social Skills for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Journal of Emotional & Behavioral Disorders, 32(2), 191-207. 

  31. E. C. Lee. (2013). Effect of learners' self-determination types and levels on interaction in online collaborative learning environments. The Journal of Yeolin Education, 21(2), 91-11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