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캠핑장 안전사고 '대비 행동 매뉴얼'의 체계화 방안
Systematic Measure of The Safety Accidents 'Preparation Behavior Manual' in Campground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6 no.2, 2018년, pp.441 - 449  

이주욱 (충남대학교 사범대학 체육교육과) ,  김윤상 (충남대학교 사범대학 체육교육과) ,  한동수 (대전태평중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캠핑장 안전사고에 대비한 행동 매뉴얼을 체계화하기 위한 연구다. 이를 위해 안전사고의 유형을 분석하고, 캠핑장 관련 법규 및 안전 기준을 검토했다. 이론적 검토를 통해서 문제점을 진단하고 등록기준 개선의 요소를 제시했다. 결국 '대비 행동 매뉴얼'의 체계화를 위해 예방 행동 매뉴얼과 대응 행동 매뉴얼의 일부를 개발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안전사고 예방 행동 매뉴얼의 예는 첫째, 질식, 둘째, 교통사고, 셋째, 화재, 넷째, 전기사고로 구분했다. 사고 발생 빈도가 높은 사고별 이니셜로 "S.A.F.E."라는 구체적 행동 매뉴얼의 사례를 만들었다. 이에 세부적인 사항을 제시함으로써 사용자 입장에서 체계적 개발을 위한 구체적인 안을 제시했다. 또한, 안전사고 유형별 예방 행동과 대응 행동의 매뉴얼을 게시하는 것에 그치지 않고, 사용자가 숙지했다는 확인과정이 필요함을 강조했다. 후속연구로는 캠핑장 안전과 관련된 사례연구, 안전 관리 지표 개선, 캠핑장 관리자 및 안전요원의 전문성에 대한 연구를 제언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s to organize the manual for the safety accidents in campsite. For this, analyzing the types of safety accidents and reviewing the regulations of campsite. Through theoretical considerations, the problem was diagnosed and the elements of improvement were presented. Eventually, part of th...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또한, 현재 개발된 “캠핑장 이용자 안전수칙”을 평가하고, 행동매뉴얼3) 개발을 위한 구성요소를 분석하고, 체계화할 수 있는 데 기여하는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 관광진흥법 제20조의 2 및 관광진흥법 시행규칙에 의거해서 안전교육을 연 1회 이수 의미를 시행하고 있다. 목적은 야영장 사업자 안전교육을 통한 현장 중심의 안전관리체계 구축이다. 교육방법은 집합교육으로 이론과 실습을 겸한 5시간 안전교육을 한다.
  • 본 연구는 캠핑장 안전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를 제공하는 차원에서 캠핑장 안전사고 '대비 행동 매뉴얼'의 체계화 방안을 연구했다.
  • 본 절에서는 안전사고 '대비 행동 매뉴얼' 체계화를 위해 가장 기본적인 기준에 대한 것을 논의하고자 한다.
  • 산림청의 재난 안전 행동 매뉴얼을 통해 관(官)차원의 조직화된 구조 매뉴얼에서 시사점을 찾을 수 있었다. 이러한 이론적 검토를 통해서 문제점을 진단하고 화재 대응 행동 매뉴얼의 구체화와 등록기준 세분화의 필요성을 기술했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캠핑장 안전과 관련된 이론을 분석하고, 안전기준의 문제점을 진단하고자 한다. 또한, 현재 개발된 “캠핑장 이용자 안전수칙”을 평가하고, 행동매뉴얼3) 개발을 위한 구성요소를 분석하고, 체계화할 수 있는 데 기여하는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야영장의 안전 기준 중, 화재 예방기준의 주요내용은 무엇인가? 그럼에도 불구하고 정부차원에서 캠핑장 통합 안전기준을 마련하고, 법 개정을 지속하는 것은 안전관리 강화대책의 필요성이 요구되기 때문이다. 야영장의 안전 기준 중, 화재 예방기준의 주요내용으로 “소방시설의 설치․유지 및 안전관리에 관한 법률” 제36조 제3항의 “제품검사를 받은 소방용품을 사용해야 한다.” 관광진흥법 시행규칙 제28조의 2(별표 7) “전기용품의 총 사용량이 600와트 이하인 경우는 사용할 수 있다.” “야영용 천막 2개소 또는 100제곱미터마다 1개 이상의 소화기를 눈에 띄기 쉬운 곳에 비치하여야 한다.” 등이다. 또한, 액화석유가스 용기의 총 저장능력이 13킬로그램 이하인 경우에 사용할 수 있음을 제시하고 있다.
야영장 통합 안전관리 강화대책의 주요 내용은 무엇인가? 이에 정부에서는 5부 1처 1청(문화체육관광부, 농림축산식품부, 환경부, 여성가족부, 국토교통부, 국민안전처, 산림청)에서 야영장 통합 안전관리 강화대책을 발표했다[3]. 주요 내용으로는 첫째, 야영장 통합안전기준 마련 및 법제화, 둘째, 야영장 안전수준 평가 및 안전관리 사각지대 해소, 셋째, 현장 중심의 안전관리 강화 추진, 넷째, 자율적 안전관리 유도, 다섯째, 관리자 안전의식 재고 및 안전한 야영문화 확산이다. 하지만, 아직까지 현장 정착에 이르지 못하고 있다.
캠핑장에서의 위험요인 중 안전사고 발생 빈도가 높은 것은 무엇인가? 공통 위험요인 중 ‘전기’, ‘화재’, ‘질식’의 경우는 화재 사고로 이어질 수 있으며 사망사고로 이어질 수 있다. 이는 최근 6년간 안전사고 유형에서도 가장 높은 빈도를 나타낸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Korea Tourism Organization. (2016). Status of camping grounds in Korea and tourist camps. http://www.gocamping.or.kr 

  2. J. W. Yi, J. U. Ko, D. H. Kim, J. M. Jang & D. S. Han. (2017). Exploring the Cultural Characteristics and Educational Orientation of Family Camping. CNU Journal of Educational Studies, 38(1), 339-363. DOI : 10.18612/cnujes.2017.38.1.339 

  3. S. J. Lee & K. C. Park. (2016). Is it necessary to introduce more grading system for camping grounds?. Gyeonggi-do : Gyeonggi Research Institute. 

  4. S. S. Park & K. H. Oh. (2013).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Policy Direction for Safe Camping Ground Activities. Journal of the Korea safety management & science, 15(4), 25-35. DOI : 10.12812/ksms.2013.15.4.25 

  5. J. H. Choi & D. M. Choi (2016). A study on the Safety Measures of Camping Ground Fire. Korean Institute of Fire Science & Engineering, 18(1), 57-64. DOI : 10.12812/ksms.2016.18.1.57 

  6. I. G. Kim., H. W. Kwon & J. H. Choi. (2016). Safety Management Network of Sports Facilities Abroad and System Status.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4(6), 547-562. DOI : 10.14400/JDC.2016.14.6.547 

  7.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2015). Clear out the blind spot of safety by setting the integrated safety standards. Sejong.: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8. D. Y. Lee. (2017. 10. 26.) 'Caution about safety Accident in Campground.' " 29 Deaths in the past 5 years". Yonhap News. http://www.yonhapnews.co.kr 

  9. Korea Ministry of Government Legislation. (2017. 7. 18.). Lawof TourismPromotion. http://www.law.go.kr/main.html 

  10. S. J. Lee. (2016). Suggestions for Successful Introduction of the Campground Grading. Gyeonggi-do : Gyeonggi Research Institute. 

  11. S. Y. Kim. (2015). Safety Awareness and Safety Practice Behavior of College Students.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3(2), 279-289. DOI : 10.14400/JDC.2015.13.2.279 

  12. National Disaster Management Institute. (2013).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Policy Direction for Safe Camping Ground Activities. Ulsan : National Disaster Management Institute. 

  13. Y. Y. Kim & S. Y. Kim. (2015). Counter Plan about management of Campground. Seoul : Korean Culture & Tourism Institute. 

  14. J. G. Bae & S. Y. Lee. (2012). Systematization of the Forest Fire's Early Extinguishment Manual: Focused on firefighters at the 119 Safety Center in Gyeongsangbuk-do. Crisis and Emergency Management in Korea, 8(1), 231-246. 

  15. Korea Forest Service. (2017). Regulations of Campground in the Forest as a Community Facility for Natural Recreation Forest. Daejeon : Korea Forest Service. 

  16. J. G. Kang & H. G. Son. (2015. 3. 22.). Fire at Kanghwa-do Campsite.......Two families were injured or passed away. Yonhap News. http://www.yonhapnews.co.kr 

  17. U.S. Department of the Interior Bureau of Reclamation (2017). Recreation Facility Design Guidelines. Denver : U.S. Department of the Interior Bureau of Reclamation 

  18. National Institute of Forest Science. (2017). System and Status on the Campground in the Forest. Seoul : National Institute of Forest Science. 

  19.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2012). A Study on the Vitalizations of Campground Leisure. Sejong.: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20.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2017). Campgrounds User's Safety Rules. Sejong.: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21. Y. M. Kim. (2017). The Study on Local Government's Disaster Safety Governance using Big Data.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5(1), 61-67. DOI : 10.14400/JDC.2017.15.1.61 

  22.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2016. 5. 10).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Provide the first campsite business operator safety training. http://www.mcst.go.kr/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