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특화도서관 운영 가이드라인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Developing Guidelines for Specialized Public Library 원문보기

한국도서관 정보학회지 =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v.49 no.4, 2018년, pp.119 - 145  

노영희 (건국대학교 문헌정보학과) ,  정대근 (전남대학교 문헌정보학과) ,  김미연 (문화체육관광부) ,  이용미 (문화체육관광부, 성균관대학교 법과대학(행정법 전공))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공공도서관이 지역콘텐츠 및 지역민의 요구에 부합한 특화주제를 선정하고 이를 기반으로 특화도서관을 운영함에 있어 필요한 실질적 가이드라인을 개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총 43개 국내 외 도서관을 선정하여 특화도서관 설립과정, 지역적 특성, 특화장서, 특화예산, 특화인력, 특화네트워크, 특화시설 및 환경, 특화프로그램, 홍보 등을 조사하여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도출된 시사점을 기반으로 운영 가이드라인을 4단계로 제안하였는데, 특화서비스 지원체계를 확립하고 지역밀착형 특화주제를 선정하는 준비단계, 선정된 특화주제를 서비스하기 위하여 도서관 환경을 조성하는 조성단계, 특화주제 관련 정보복합문화서비스를 기획하고 제공하는 운영단계, 서비스 고도화 및 확장을 위하여 도서관 외부기관과 소통하는 확산단계 등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lect a specialized topic that meets the needs of the local contents and the local people, based on this, the study develops practical guidelines for operating specialized libraries. For this purpose, forty-three libraries in domestic and foreign were selected to de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특화도서관 운영을 위한 가이드라인을 제안하기 위하여 국내외 사례조사를 통하여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사례조사 대상기관은 국내의 경우 2017년 특화도서관 시범운영 사업 선정 도서관과 1998-2000 문화관광부 특화도서관 육성사업 선정 도서관을 중심으로 선정하였으며, 비교 분석을 위해 공공도서관(공공/사립), 전문도서관 중 특화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기관을 추가적으로 조사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특화도서관의 지속가능성을 보장하고 특화도서관 실무자의 효과적인 특화 서비스운영을 지원을 위한 가이드라인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운영 가이드라인은 공공도서관의 신설 과정에서부터 특화 계획을 반영할 수 있도록 전반적인 사항을 제시하였으며, 특화도서관 준비 단계, 조성 단계, 운영 단계, 확산 단계 등 총 4단계로 구분하여 제시하였다.
  • 이를 기반으로 본 연구에서는 특화도서관 개념을 ‘공공도서관의 기본역할을 수행하면서 지역사회의 요구 및 지역 콘텐츠를 기반으로 주제를 선정하고, 전무인력, 자료, 서비스, 네트워크 등을 갖춰 주제 분야에 대한 전문성을 높임으로써 차별화된 서비스로 이용자의 요구를 충족시키고 지역사회 문제를 해결하는 도서관’으로 정의하고자 한다.
  • 공공도서관의 특성화를 위한 다양한 연구는 진행되었으나, 사서들이 실제적으로 특화도서관을 운영하는데 있어 필요한 구체적인 방안에 대한 연구는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도서관에서 이루어진 다양한 가이드라인 개발에 관한 연구, 즉 특화도서관이 포함되는 공공도서관의 가이드라인 개발을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도서관을 둘러싼 정보환경의 급속한 변화 속에서 공공도서관 특화서비스와 관련한 현장의 다양한 사례를 기반으로 실제적으로 특화도서관 운영에 필요하고 적용 가능한 가이드라인을 개발하고자 한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연구목표를 지역의 특성을 반영한 특화도서관 운영을 위한 가이드라인 개발로 설정하였으며, 공공도서관이 이용자를 위한 맞춤형 특화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현재 특화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도서관을 대상으로 사례조사를 실시하였다. 이를 위해 총 43개 도서관을 선정하고 특화도서관 설립과정, 지역적 특성, 특화 장서, 특화 예산, 특화 인력.
  • 노영희, 강정아, 심효정 (2017) 등의 연구결과를 보면 사서들은 주제별 특성화서비스에 대한 가이드라인, 정책서, 법적 제도화 부분에 대한 구제적인 내용이 필요하다고 응답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특화도서관에 대한 사례를 통해 특화도서관 운영을 위한 가이드라인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특화란 무엇인가? 특화와 특화도서관의 정의를 문헌정보학용어사전에서 살펴보면 특화 및 특화도서관의 개념을 찾을 수 없었다. 범위를 확장하여 사전적 의미를 살펴보면, 특화란 ‘한 나라의 산업 구조나 수출 구성에서 특정 산업이나 상품이 상대적으로 큰 비중을 차지함 또는 그런 상태’라고 정의하고 있다. 즉 특정한 분야에서 특정한 개체가 큰 비중을 차지한다는 개념으로 이해할수 있다.
공공도서관 운영에 관련한 가이드라인이 제시한 것은? 공공도서관 운영에 관련한 가이드라인을 살펴보면, IFLA(2010)에서는 공공도서관 서비스를 위한 가이드라인을 개발하여 배포하였는데, 가이드라인은 공공도서관의 사명과 목적과 함께 법적 토대, 이용자 요구, 장서구축, 인적 자원, 공공도서관 경영 및 마케팅 측면까지 망라적으로 제시하였다. 국내에서는 공공도서관 건립‧운영 매뉴얼(2016)을 통해 공공도서관의 전반적인 사항에 대한 가이드라인을 제시하고 있다.
특화서비스공간 중 접근성 높은 공간 일부에 코너를 마련하는 이유는? 특화서비스공간과 관련한 시사점을 살펴보면, 접근성이 중요한 특정주제의 경우는 특화코너를 활용하는 것이 좋으나, 특정 도서 장르의 일부이거나 특정 구역을 조성할 수 있는 경우에는 독립된 공간을 확보하여 특화실로 운영하는 것보다는 도서관의 공간 중 접근성 높은 공간 일부에 코너를 마련하는 것이 좋다. 이는 특화주제에 대한 이용자들의 접근성을 높여 특화주제에 대한 인식을 확산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반면 지역 유형콘텐츠를 특화주제로 선정한 경우 특화코너보다는 특화자료실을 중심으로 운영하는 것이 필요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3)

  1. Ko, Ah-Reum and Chung, Eun-Kyung. 2011.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Digital Reference Service Guidelines for Academic." Libraries Journal of information management, 42(2): 23-41. 

  2. Kong, Soon-Ku, Kim, Hyeong-Seok and Lee, Sung-Geun. 2010. "Study on the Public Library Space Guideline of Integrated Measurement and Management System."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21(4): 49-66. 

  3. Kim, Keum-Hyun, Lee, Cho-Lin, and Kong, Soon-Ku. 2008. "A Study on the Public Library Space Guidelinesan of Measurement and Management system."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terior Design, 17(6): 170-177. 

  4. Kim, Jong-Sung. 2008. "A Study on the Fundamentals of Children's Services in Public Libraries: With Special Reference to Service Guidelines,"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39(2): 469-492. 

  5. Noh, Younghee. 2013. "A Study on Developing the Guideline for CHI Reference Service."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44(2): 345-376. 

  6. Noh, Younghee, Kang, Jungah. 2014. "A Study on Vitalization Methods of Local Cultural Contents in the Public Libraries."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45(4): 67-93. 

  7. Noh, Younghee, Shin, Young-Ji and Kwak, Woo-Jung. 2017. "A Study on Policies and Future Directions in Library Specialization."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28(3): 241-271. 

  8. Noh, Younghee, Oh, Eui-Kyung and Sim, Hyo-Jung. 2017. "An Investigation on the Opinion of the Librarian concerning the Subject-Specialized Service and Librarianship."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48(4): 321-350. 

  9. 문화체육관광부. 2017. 2017년 도서관정책기획포럼. 세종: 문화체육관광부. 

  10.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2016. A manual on construction and management for public libraries(2016), Sejong: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11. 문화체육관광부 보도자료. 2017.06.02. 다양화, 전문화 시대에 도서관이 특별해진다. 

  12. Park, Mi-Young. 2007. "The Revitalization of Public Library Reading Through Special Quality Service Program Development."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38(1): 315-339. 

  13. Park, Hyun-Ju. 2012. "Case Study on Specialization of Public Library Collection."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Winter Conference, 29-47. 

  14. Ban, Dal-Rim, Oh, Dong-Geun. 2015. "A Study on the Management of Special Collection Services in the Public Libraries, Daegu Metropolitan City."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Summer Conference, 171-181. 

  15. 서혜란, 2007. 도서관 공간운영 실태조사 및 표준모델 연구. 서울: 국립중앙도서관 

  16. Sim, Hyo-Jung, Lee, Yoon-Hoon and Park, Hyo-Joo. 2009. Every library is special., Gyeonggi-do: Gyeonggi-do Cyber Library. 

  17. Yang, Sang-Suk. 1999. A Study on the Collection of Local Materials in Cheju Community Libreries: Compared with that of Okinawa Community Libraries. M. A. thesis. JEJU National University. 

  18. Lee, Taek-Jun. 1970. "Collection preservation of local cultural content." Library, 25(3): 35. 

  19. Jang, Gyeong-Ho. 1991. "Forcusing on local resources room of Gumi Libraries." 1991 Spring Seminar about Public Libraries. Seoul: Korean Public Library Association. 

  20. Chang, Seo-Ee, Kim, Yong-Sun and Kim, Uk. 2016. "A Study on the Space Organization and Features of Specialized Library."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Spatial Design, 11(4): 77-87. 

  21. Chang, Woo-Kwon. 2009. "A Study on the Management and Practical Use Program of Local Cultural Contents in the Public Library." Journal of the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43(1): 271-292. 

  22. Jeong, Joo-Yeon. 1998. A study on the effective management plan of the local materials: with special reference to the public libraries in Pusan. M. A. thesis. Pusan National University. 

  23. Jung, Joo-Youn. 2007.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local-culture contents for the local reinvigoration under the digital environment." Journal of Digital Design, 7(3): 77-85. 

  24. Cho, Chan-Sic. 2008. "A Study on the Specialization of the Public Librari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25(3): 159-178. 

  25. Cha, Youn-Ho. 2005. A Study on the Characterization of Public Library Services. M. A. Thesis. Sookmyung Women's University, Korea. 

  26. 협동조합 성북신나. 2014. 지역자원조사 매뉴얼 ABC. 서울: 협동조합 성북신나. 

  27. Hong, Hee-Kyung. 2008. A Study on the Present Status and the Developmental Plans of the Specialization of the Public Libraries. M. A. Thesis.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Korea. 

  28. Field, Roy. 1987. Publications and Products. 1st ed. A Manual of Local Studies Librarianship. London: Gower, Gower Publishing Ltd. 

  29. Westmancoat, John. 1991. Newspapers and Periodicals. 2nd ed. Local Studies Collections: A Manual. London: Gower Publishing Ltd. 

  30. Sturges, Pual and Bapty, Richard. 1991. An international view of local studies librarianship. 2nd ed. Local Studies Collections : A Manual. London: Gower, Gower Publishing Ltd. 

  31. Allery, Linda. 2000. "Popularising Local History Services: New Century, new ideas." Australasian Public Libraries and Information Services, 13(3): 119-125. 

  32. Koontz, Christie and Gubbin, Barbara. 2010. IFLA Public Library Service Guidelines. Berlin/Munich: De Gruyter Saur. 

  33. Umeozor, Nnadozie Susan. 2018. "Motivation and Human Resources in Libraries." International Journal of Knowledge Content Development & Technology, 8(3): 29-4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