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특화주제와 도서관 공간구성의 관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pecialized Topics and Library Space Composition 원문보기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v.30 no.2, 2019년, pp.5 - 31  

김윤정 (건국대학교 문헌정보학과) ,  노영희 (건국대학교 문헌정보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생활 SOC의 과제 중 하나인 문화 생활체육 등 편의시설 확충사업에 작은도서관 설치와 노후 공공도서관 리모델링 및 확충에 대한 사업이 포함되면서, 도서관은 지역 커뮤니티 공간과 전문적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역할이 더욱더 강조되고 있는 상황이다. 이와 동시에 차별화된 서비스를 제공하는 특화도서관에 대한 요구가 높아지면서, 공공도서관이 특화주제를 지정하여 운영 및 서비스를 할 필요성도 높아졌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특화도서관에 대하여 특화주제와 도서관의 공간구성간의 관계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특화주제와 특화대상별 도서관의 공간구성과 특화서비스 및 프로그램에 따른 공간구성, 그리고 도서관 외부환경 등에 대해 조사하였다. 연구 결과 특화도서관의 활성화와 이용률 제고를 위해 특화주제에 맞는 공간을 다양하게 구성해야 할 것이며, 특화대상에 따라서 특화공간의 구분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주제나 대상에 따라 체험공간 등 다양한 공간구성이 필요할 것으로 조사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s one of the challenges providing sufficient Social Overhead Capital (SOC), such as cultural and sports facilities, installing small libraries and remodeling old public libraries are crucial to provide local community a public space and specialized services. In order to achieve such objectives, tho...

주제어

표/그림 (18)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나 특화도서관은 기존의 공간구성 요소 외에 추가적인 공간구성 요소가 있는지, 또는 주제나 대상에 따라 특정 공간이 강조되는지 등을 조사를 통해 밝히고자 한다( 참조).
  • 본 연구는 특화도서관과 이를 기반으로 한 특화공간의 재구성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는 가운데, 사례연구를 바탕으로 특화공간 구성을 제시함으로써 향후 진행될 도서관 건립 혹은 도서관 리모델링에 참고할 수 있도록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특히 특화주제와 특화대상에 따른 차이를 제시함으로써 특화방향에 따른 공간구성을 고려하는 데 참고할 수 있도록 하였다.
  • 본 연구는 특화도서관의 주제나 대상에 따라 공간구성이 달라지는지를 조사하고, 이를 기반으로 도서관의 특화주제에 따른 특화공간과 특화서비스, 제공되는 프로그램에 따른 공간구성,외부환경 등에 따른 공간구성의 특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 설정한 연구질문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에서는 특화공간에 대한 사례 조사․분석을 통해 특화주제에 따른 도서관 공간의 특징과 관계성을 알아보고자 하였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특화도서관의 공간적인 측면을 살펴본 결과, 특화도서관의 활성화와 이용률 제고를 위해 특화주제에 맞는 공간을 다양하게 구성해야 할 것이다.
  • 본 연구에서는 특화주제나 특화대상을 기반으로 특화서비스를 제공하는 도서관이 늘어나고 있는 상황에서 주제와 대상에 따라 공간 구성이 어떻게 차이가 나는지 분석해 보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특화주제를 기반으로 특화서비스를 제공하는 도서관이 증가함에 따라, 특화주제에 관한 공간구성의 변화와 특화주제 및 대상별 공간구성에 차이가 있는지 등을 파악하고자 하였으며, 이를 기반으로 특화주제별 및 대상별 적절한 공간구성을 제안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해당 도서관 사례 조사․분석을 통해 특화주제 및 대상에 따른 도서관 공간의 특징과 관계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특화공간은 ‘공공도서관 건립․운영 매뉴얼 ver.
  • 이와 같이 특화도서관과 도서관의 공간구성에 관한 연구는 각각 진행되어 왔지만, 특화도서관의 공간구성 방향이나 특화주제 및 특화대상별로 공간의 특징이나 구성에 대한 연구는 없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특화대상별 또는 특화주제별로 도서관의 공간구성의 차이와 특화프로그램이나 특화매체에 따른 공간구성의 차이를 파악하고자 하였으며, 이를 기반으로 향후 특화도서관의 건립 및 리모델링 시 특화주제 및 대상에 적합한 공간구성 방안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특화도서관과 이를 기반으로 한 특화공간의 재구성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는 가운데, 사례연구를 바탕으로 특화공간 구성을 제시함으로써 향후 진행될 도서관 건립 혹은 도서관 리모델링에 참고할 수 있도록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특히 특화주제와 특화대상에 따른 차이를 제시함으로써 특화방향에 따른 공간구성을 고려하는 데 참고할 수 있도록 하였다. 최근 공간기획에 대한 관심도 고조되고 있다.

가설 설정

  • RQ 1: 특화도서관과 비특화도서관 간의 공간구성의 차이가 있는가?
  • RQ 2: 특화주제에 따라 도서관의 시설 및 공간구성에 차이가 있는가?
  • RQ 3: 특화대상에 따라 도서관의 시설 및 공간구성에 차이가 있는가?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도서관 공간기능에 변화를 미치는 중요한 요인은? 이와 같은 도서관에 대한 정책의 변화나 도서관의 역할 및 기능의 변화는 자연스럽게 도서관 공간의 기능과 역할에 영향을 미쳤다. 특히 도서관에서 제공되는 정보원의 변화와 정보 매체, 정보기술, 커뮤니케이션 방법, 정보제공방식, 도서관에서 운영하는 프로그램의 변화는 도서관 공간기능의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들이다(노영희, 최만호 2016). 또한 도서관 공간은 도서관이 선정한 특화주제와 대상에 따른 정보 매체, 운영 프로그램 등에 의해서도 영향을 받는다.
생태․환경 특화도서관은 어떻게 구분되는가? 생태․환경 특화도서관은 크게 자료이용공간, 문화교육공간, 공용부문으로 구분된다. 자료이용공간의 경우 F도서관은 특화열람실을 구성하고 있으며, 다른 두 도서관은 자료실 내 특화코너를 운영하고 있다. 문화이용공간으로서 전시공간을 통해 물, 바람, 공기, 에너지 등의 테마로 이루어져 다양한 환경 체험을 할 수 있는 공간과 곤충 전시공간을 구성하였다. 이와 함께 공용부문으로 야외전시장에서는 사진, 그림, 서예, 공예품 등 환경관련 작품전시가 이루어진다. 특히, H도서관은 야외옥상에 독서를 할 수 있는 휴식공간을 구성하여 천체만원경 관측을 통한 별자리 교육 등 옥상에서 이루어지는 특화프로그램을 진행한다. 
공공도서관은 어떻게 변해가고 있나요? 이에 따라 전시관, 공연 공간 등 여러 특화공간을 갖추는 등 기존의 공공도서관의 역할에서 더 나아가 특화서비스를 제공하는 역할을 강화하고 있다. 또한, 생활 SOC 과제 중 하나인 문화․생활체육 등 편의시설 확충으로 작은도서관 설치와 노후 공공도서관 리모델링 등 문화시설이 강조되고, 문화적 도시재생 과정에서 공공도서관은 전시, 공연, 영화, 교육, 집회, 지역유산 아카이브 등 복합적인 문화교육공간으로 변모하고 있는 추세이다(문은미 2017). 게다가 최근 들어 문화체육관광부의 특화도서관 활성화 사업으로 특화도서관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는 상황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Ko, Hung-Kwon, Che-Zinn Lim, and Ho-Kyun Lim. 2012. "A Basic Study on the Planning Standard of Space Size for Public Library - Focus on the result of the consulting support project for construction of public library."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terior Design, 21(4): 190-199. 

  2. Kim, Bo-il, Hyun-Yang Cho, and Jong-Ae Kim. 2011. "Application of Universal Design in Public Library Services."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42(4): 181-201. 

  3. Kim, Uk, Yongsun Kim, and Seoee Chang. 2016. "A Study on the Space Organization and Features of Specialized Library." Journal of the Korea Intitute of the Spatial Design, 40(0): 77-87. 

  4. Kim, Hyeon-O, Min-Woo Kang, and Yong-Seung Kim. 2018. "A Review on the space organization of public libraries in the past decad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academic conference dissertationl collection, 38(2): 86-89. 

  5. Noh, Younghee and Woojung Kwak. 2018. A special library is coming. Seoul: JoeunGltter. 

  6. Noh, Younghee, Woojung Kwak, and Youngji Shin. 2018. "A Study on the Development Direction of Library Specialization Based on Case Analysis."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29(3): 245-270. 

  7. Noh, Younghee and Youngji Shin. 2019.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Library Space Planning Major Based on the Self-Designed Major."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53(1): 5-31. 

  8. Noh, Younghee, Youngji Shin, and Woojung Kwak. 2017. "A Study on Policies and Future Directions in Library Specialization."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28(3): 241-271. 

  9. Noh, Younghee, Dae-Keun Jeong, Mi-Yeon Kim, and Yong-Mi Lee. 2018. "A Study on Developing Guidelines for Specialized Public Library."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49(4): 119-145. 

  10. Noh, Younghee and ManHo Choi. 2016. Understanding of Library Space Composition. Seoul: CheongRam. 

  11. Moon, Eun-Mi. 2017. "An Analysis of the Design of Public Libraries in Culture-led Urban Regeneration."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terior Design, 26(5): 143-151. 

  12.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2013. A Manual on Construction and Management for Public Libraries. Sejong: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13.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2016. A Manual on Construction and Management for Public Libraries. Sejong: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14. Park, Hyun Ju. 2012. "A Case Study on the Characterization of Public Libraries Collection."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Winter Conference, 29-47. 

  15. Ban, Dal-Rim and Dong-Geun Oh. 2015. "A Study on the Management of Special Collection Services in the Public Libraries, Daegu Metropolitan City."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Summer conference, 171-181. 

  16. OhmyNews. 2018. "Go to our sound library that combines Korean traditional music." January 22. [online]. [cited 2019.3.20]. . 

  17. Lee, Chul-Jae, Ji-Won Yun, and Min Lee. 2017. "A Study on the Guideline of construction cost according to Size of position and Regional characteristics of New Public Libraries."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terior Design, 26(3): 113-120. 

  18. Incheonilbo. 2018. "[Evolution of Library] Bucheon Comic Library.Ojung Library." May 22. [online]. [cited 2019.3.19]. . 

  19. The Chosunilbo. 2016. "The music room came into the library." April 22. [online]. [cited 2019.3.8]. . 

  20. The Chosunilbo. 2017. "Enjoy painting, drinking coffee... All day 'playable' library." December 5. [online]. [cited 2019.3.19]. . 

  21. Cho, Chan-Sik. 2008. "A Study on the Specialization of the Public Librari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25(3): 159-178. 

  22. Joongbooilbo. 2018. "[A place to go weekend] Gyeonggi Provincial Library 3 lines, Let's experience camping, universe experience, and comics in addition to books." October 11. [online]. [cited 2019.3.19]. . 

  23. Han, Hwa-Jin, Seung-Hwan Park, and Moo-Hyuck Choi. 2004. "A Study on the Spatial Composition of User Space in the Public Library."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Planning and Design, 20(4): 99-106. 

  24. Hwang, Mee-Young. 2009. "A Study on the Spacial Configuration of Public Libraries by the Multi-Functionality - Focus on the Japanese Public Libraries."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terior Design, 18(4): 105-115. 

  25. Noh, Younghee, In-Ja Ahn, and Miyoung Park. 2011. "A Study on Librarian Service Providers' Awareness and Perceptions of Library Services for the Disabled." International Journal of Knowledge Content Development & Technology, 1(2): 29-42. 

  26. James Afebuameh Aiyeblehin, Ijeoma Dora Onyam, and Chinwendu Chizoba Akpom. 2018. "Creating Makerspaces in Nigerian Public Libraries as a Strategy for Attaining National Integration and Development." International Journal of Knowledge Content Development & Technology, 8(4): 19-3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