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과학탐구 상황에서 고등학생들의 반회의주의적 태도 측정도구 개발 및 적용
Developing and Applying the Questionnaire to Measure High School Students' Unskeptical Attitude in Science Inquiry 원문보기

과학교육연구지 : 경북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v.42 no.3, 2018년, pp.308 - 321  

아리프 라흐마툴라흐 (노스캐롤라이나 주립 대학교) ,  하민수 (강원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는 과학탐구 상황에서 반회의주의적 태도를 조사하는 문항을 개발하는 것이 목적이다. 문헌 연구, 전문가 검토, 통계적 타당도 검증을 거쳐 문항을 개발하고, 성별, 계열별로 점수 차이를 확인하였다. 이 연구를 위하여 363명의 고등학생들이 참여하였다. 문항 타당도 확인을 위하여 라쉬 분석, 내적 일관성 신뢰도 확인 등을 수행하였고, 성별과 계열별 반회의주의적 태도의 점수 비교를 위하여 이원분산분석을 확인하였다. 연구 결과 과학탐구상황에서 반회의주의 태도를 측정할 수 있는 23개 리커트 형태의 자기보고형 검사도구를 개발하였다. 반회의주의적 태도 측정을 위하여 과학탐구 상황을 크게 '문제 인식과 가설 생성', '실험 설계', '관찰', '설명과 해석'으로 구분하여 각 구인별로 측정할 수 있는 다수의 문항을 개발하였다. 둘째, 과학탐구상황에서 반회의주의 태도 측정 문항의 타당도와 신뢰도를 엄격한 방법을 통해 확인하였다. 라쉬 분석을 통해 다차원 부분점수모델의 분석의 적합성을 확인하였으며, 라쉬 분석을 통해 문항 적합도를 확인한 결과 23개 문항 모두 적합으로 나타났다. 다양한 신뢰도 지수도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남학생과 여학생, 문과계열과 이과계열별로 구분하여 반회의주의적 태도를 비교한 결과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낸 비교는 실험설계에서 계열별 차이를 제외하고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개발된 문항들을 활용하여 과학탐구 과정에서 반회의주의적 태도를 점검하고, 과학탐구 수업의 효과를 비교하는데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develop a questionnaire that examines unskeptical attitudes in scientific inquiry context. The questionnaire items were developed through literature research, expert review, and statistical analyses for validity and the differences in scores were identified by gender 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3. 고등학생들을 대상으로 성별과 계열별에 따라 과학탐구상황에서 반회의주의 태도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지 확인한다.
  • 과학적 회의주의 교육을 위한 과정으로 본 연구에서는 과학적 반회의주의적 태도 검사도구를 개발하고자 한다. 교육의 시작과 끝은 진단평가와 형성평가이다.
  • 이와 같이 회의주의는 과학을 배우는데 있어서 굉장히 중요한 역할을 한다. 교실 내에서 일어나는 탐구 상황을 고려하면서 중요한 회의주의적 태도를 살펴보았다. 가장 먼저 연구의 시작인 문제 인식과 가설 생성이다.
  •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연구가 해결하지 못한 다양한 제한점을 밝히고자 한다. 먼저 자기 보고형의 검사지의 한계점이다(Baars et al.
  • 반회의주의 태도 문항을 바탕으로 어떻게 하면 회의주의적 태도를 향상시킬 수 있을지에 대한 교수 전략도 함께 논의할 수 있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그 동안 개발된 적이 없는 과학탐구 상황에서 반회의주의 문항을 다양한 문헌 고찰과 통계적 방법을 활용하여 개발하는 것을 1차적 목표로 한다. 또한 개발된 도구를 통하여 고등학생들을 대상으로 조사하고 성별과 계열별로 그 차이를 확인하는 것이 목표이다.
  • 인지편향과 인간의 비합리성에 관한 다양한 연구는 자연스러운 우리의 모습은 반회의주의적 태도를 가진 인간임을 강조한다(Kahneman, 2013).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합리적인 과학탐구를 수행하는데 필요한 회의주의적 태도와 상반되는 반회의주의적 태도에 대한 측정 도구를 개발하였다.
  •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그 동안 개발된 적이 없는 과학탐구 상황에서 반회의주의 문항을 다양한 문헌 고찰과 통계적 방법을 활용하여 개발하는 것을 1차적 목표로 한다. 또한 개발된 도구를 통하여 고등학생들을 대상으로 조사하고 성별과 계열별로 그 차이를 확인하는 것이 목표이다. 자세한 연구 목적은 다음과 같다.
  • 특정 문항이 특정 집단에 다르게 이해되거나 다른 반응을 유도할 경우 전체점수의 결과 해석이 왜곡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성별과 계열에 따라 개발된 문항이 동등한 효과를 보이는지 라쉬 분석의 차별적 문항 분석 기능인 DIF 차이값을 사용하여 확인했다. 집단간 DIF값의 차이가 0.
  • 과학탐구 능력의 향상 및 비판적 사고, 합리적 의사결정 능력의 함양을 위하여 과학적 회의주의교육의 필요성이 제기된다. 이 연구에서는 과학탐구 상황에서 반회의주의적 태도를 점검할 수 있는 검사도구를 개발하였다. 개발된 검사도구는 과학탐구 상황에서 회의주의적 태도를 견지하기 위하여 자기 점검용 도구로 활용될 수 있으며, 다양한 과학탐구 활동의 효과 검증용으로도 활용될 수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과학교육의 중심 목표는 무엇인가? 과학교육의 중심 목표는 학생들이 자연현상을 탐구하여 새로운 지식과 합리적 의사결정을 할 수 있는 역량을 향상시키는 것이다(MOE, 2015). 과학은 자연이 어떤 방식으로 작동하는지, 그 과정과 현상에 대한 원인을 탐구하는 학문이다(Carey et al.
과학적 활동중 새로운 지식을 추론할 때 필요한것은 무엇인가? 과학적 활동에서는 감각기관을 통해 수집된 다양한 관찰 사실들을 종합하여 관찰하지 않은 새로운 지식을 추론하는 것도 포함된다. 이 과정에서 자신의 추론에는 합당한 증거들이 논리적으로 연계되어야 하며, 이 과정에서 비판적 사고가 반드시 필요하다. Lipman(1987)은 비판적 사고를 정의하면서, 주장들이 어떤 이유를 근거로 정당화 되는지를 판단하고 문제를 해결하는 사고라 하였다.
Lipman이 말 한 비판적 사고란 무엇인가? 이 과정에서 자신의 추론에는 합당한 증거들이 논리적으로 연계되어야 하며, 이 과정에서 비판적 사고가 반드시 필요하다. Lipman(1987)은 비판적 사고를 정의하면서, 주장들이 어떤 이유를 근거로 정당화 되는지를 판단하고 문제를 해결하는 사고라 하였다. 그렇기 때문에 비판적 사고는 어떤 이론이나 주장을 무조건 수용하는 것이 아니라 이론적 근거에 대해 의심하고 근거가 적절한지 판단하는 등의 합리적인 사고를 하는 것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7)

  1. Abrami, P. C., Bernard, R. M., Borokhovski, E., Waddington, D. I., Wade, C. A., & Persson, T. (2015). Strategies for teaching students to think critically: A meta-analysis. Review of Educational Research, 85(2), 275-314. 

  2. Aikenhead, G. S. (2006). Science Education for Everyday Life: Evidence-based Practice. New York, NY: Teachers College Press. 

  3. Angner, E. (2006). Economists as experts: Overconfidence in theory and practice. Journal of Economic Methodology, 13(1), 1-24. 

  4. Baars, M., Vink, S., van Gog, T., de Bruin, A., & Paas, F. (2014). Effects of training self-assessment and using assessment standards on retrospective and prospective monitoring of problem solving. Learning and Instruction, 33, 92-107. 

  5. Beyer, B. K. (1995). Critical thinking. Fastback 385. Phi Delta Kappa, 408 N. Union, PO Box 789, Bloomington, IN 47402-0789. 

  6. Boone, W. J., Staver, J. R., & Yale, M. S. (2014). Rasch analysis in the human sciences. New York, NY: Springer. 

  7. Carey, S., Evans, R., Honda, M., Jay, E., & Unger, C. (1989). 'An experiment is when you try it and see if it works': a study of grade 7 students' understanding of the construction of scientific knowledge.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11(5), 514-529. 

  8. Chi, M. T. (2006). Two approaches to the study of experts' characteristics. In K. A. Ericson, N. Charness, P. J. Feltovich & R. R. Hoffman (Eds.), The Cambridge handbook of expertise and expert performance (pp. 21-30). New York, NY: Cambridge University Press. 

  9. Chinn, C. A., & Malhotra, B. A. (2002). Epistemologically authentic inquiry in schools: A theoretical framework for evaluating inquiry tasks. Science Education, 86(2), 175-218. 

  10. DeVellis, R. F. (2003). Scale development: Theory and applications. Thousand Oaks, CA: Sage Publications. 

  11. Driver, R., Asoko, H., Leach, J., Scott, P., & Mortimer, E. (1994). Constructing scientific knowledge in the classroom. Educational Researcher, 23(7), 5-12. 

  12. Fauth, B., Decristan, J., Rieser, S., Klieme, E., & Buttner, G. (2014). Student ratings of teaching quality in primary school: Dimensions and prediction of student outcomes. Learning and Instruction, 29, 1-9. 

  13. Gilovich, T. (2008). How we know what isn't so. New York, NY: Simon and Schuster. 

  14. Glaser, E. M. (1941). An experiment in the development of critical thinking (No. 843). New York, NY: Teachers College, Columbia University. 

  15. Heyman, G. D., Fu, G., & Lee, K. (2007). Evaluating claims people make about themselves: The development of skepticism. Child Development, 78(2), 367-375. 

  16. Hofer, B. K., & Pintrich, P. R. (1997). The development of epistemological theories: Beliefs about knowledge and knowing and their relation to learning. Review of Educational Research, 67(1), 88-140. 

  17. Kahneman, D. (2013). Thinking, fast and slow. New York, NY: Farrar, Straus and Giroux. 

  18. Korsgaard, C. M. (1986). Skepticism about practical reason. The Journal of Philosophy, 83(1), 5-25. 

  19. Kostons, D., Van Gog, T., & Paas, F. (2012). Training self-assessment and task-selection skills: A cognitive approach to improving self-regulated learning. Learning and Instruction, 22(2), 121-132. 

  20. Lipman, M. (1987). Critical thinking: What can it be? Analytic Teaching, 8(1), 5-12. 

  21. Macfarlane, B., & Cheng, M. (2008). Communism, universalism and disinterestedness: Reexamining contemporary support among academics for Merton's scientific norms. Journal of Academic Ethics, 6(1), 67-78. 

  22. McPeck, J. E. (1981) Critical Thinking and Education. Oxford, UK: Martin Robertson. 

  23. Menkhoff, L., Schmeling, M., & Schmidt, U. (2013). Overconfidence, experience, and professionalism: An experimental study. Journal of Economic Behavior & Organization, 86, 92-101. 

  24. Messick, S. (1995). Standards of validity and the validity of standards in performance assessment. Educational Measurement: Issues and Practice, 14(4), 5-8. 

  25. Ministry of Education [MOE]. (2015). 2015 revised Science National Curriculum. Sejong: Author. 

  26. Neumann, I., Neumann, K., & Nehm, R. (2011). Evaluating instrument quality in science education: Rasch-based analyses of a nature of science test.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33(10), 1373-1405. 

  27. Nickerson, R. S. (1998). Confirmation bias: A ubiquitous phenomenon in many guises. Review of General Psychology, 2(2), 175-220. 

  28. Pajares, F., & Graham, L. (1999). Self-efficacy, motivation constructs, and mathematics performance of entering middle school students. Contemporary Educational Psychology, 24(2), 124-139. 

  29. Pallier, G. (2003). Gender differences in the self-assessment of accuracy on cognitive tasks. Sex Roles, 48(5), 265-276. 

  30. Panadero, E., Tapia, J. A., & Huertas, J. A. (2012). Rubrics and self-assessment scripts effects on self-regulation, learning and self-efficacy in secondary education. Learning and Individual Differences, 22(6), 806-813. 

  31. Parascandola, M. (2004). Skepticism, statistical methods, and the cigarette: A historical analysis of a methodological debate. Perspectives in Biology and Medicine, 47(2), 244-261. 

  32. Popkin, R. H. (1967). "Skepticism". In P. Edwards (Ed.), The Encyclopedia of Philosophy (7, pp. 449-461) New York, NY: The Macmillan Company & The Free Press. 

  33. Quirk, P. J. (2010). The trouble with experts. Critical Review, 22(4), 449-465. 

  34. Sloman, S., Barbey, A. K., & Hotaling, J. M. (2009). A causal model theory of the meaning of cause, enable, and prevent. Cognitive Science, 33(1), 21-50. 

  35. Stankov, L. & Lee, J. (2008). Confidence and cognitive test performance.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100(4), 961. 

  36. Trout, J. D. (2002). Scientific explanation and the sense of understanding. Philosophy of Science, 69(2), 212-233. 

  37. Wright, B. D. & Linacre, J. M. (1994). Reasonable mean-square-fit values. Rasch Measurement Transactions, 8(3), 370.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