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대학의 혁신모델로서 리빙랩: 현황과 과제
Living Labs as a Model for University Innovation 원문보기

공학교육연구 = Journal of engineering education research, v.21 no.6, 2018년, pp.118 - 127  

성지은 (과학기술정책연구원) ,  김민수 (동국대학교 LINC+)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Recently, universities have applied a living lab as a user-led innovation model. This study analyzed two cases, British Columbia University, and D University. They are trying to change current provider-centered and expert-centered education model which encounters the limitations. To deriving the ch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사회혁신론’과 ‘시스템 전환론’의 틀을 도입해 현재 대학에 도입되고 있는 리빙랩 사례를 분석하고 그 의의와 전망을 논의한다.
  • 이 글에서는 사회혁신과 시스템 전환의 관점에서 국내・외 대학 리빙랩의 추진 배경, 사업 목표와 내용, 추진방식 및 체계, 성과 및 의의를 살펴보고 향후 정책적 과제를 도출하고자 한다.
  • 특히 사회문제 해결의 관점에서 이런 현상을 해석하고 향후 발전방향을 제시한 연구는 거의 없다. 이 글에서는 이론적 검토를 통해 리빙랩에 기반한 새로운 대학혁신모델을 살펴보고 현재 진행되고 있는 대학 리빙랩 사례를 분석한다. 이를 통해 대학혁신 모델로서 리빙랩의 의의와 과제를 도출하고자 한다.
  • 이 글에서는 현재 진행되고 있는 대학의 리빙랩 활동을 중심으로 사회혁신과 시스템 전환의 관점에서 분석・평가하고 그 과제를 도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국내외 대학 리빙랩의 대표 사례를 선정하여1) 대학의 미션과 역할이 사회혁신과 시스템 전환을 위해 어떻게 재정립되고 있는가, 2) 리빙랩 방식의 도입으로 대학 운영체계는 어떠한 변화를 보이고 있는가, 3) 대학의 본질적인 역할인 교육・연구, 지속가능성과 사회적 가치확보와 관련해서 새로운 혁신모델이 형성되고 있는가의 측면에서 분석할 것이다.
  • 이 글에서는 이론적 검토를 통해 리빙랩에 기반한 새로운 대학혁신모델을 살펴보고 현재 진행되고 있는 대학 리빙랩 사례를 분석한다. 이를 통해 대학혁신 모델로서 리빙랩의 의의와 과제를 도출하고자 한다.
  • 최근 지역주민이 중심이 되어 지역문제를 해결하는 사회혁신이 활성화되기 시작했다. 이에 대학에서는 기존 행정기관 중심의 지역사회문제 해결 방식을 넘어 대학-시민-행정이 협업해서 지역문제를 해결하는 새로운 변화를 모색하고 있다. 또한 현재 대학은 학령인구의 감소와 대학 구조개혁 가속화, 무한경쟁에 따른 대학 본질의 왜곡, 양적 성장에 치중한 외형적 발전,등록금 동결 및 인하 압력에 따른 대학재정 위기에 직면하고 있다.

가설 설정

  • 이 글에서는 현재 진행되고 있는 대학의 리빙랩 활동을 중심으로 사회혁신과 시스템 전환의 관점에서 분석・평가하고 그 과제를 도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국내외 대학 리빙랩의 대표 사례를 선정하여1) 대학의 미션과 역할이 사회혁신과 시스템 전환을 위해 어떻게 재정립되고 있는가, 2) 리빙랩 방식의 도입으로 대학 운영체계는 어떠한 변화를 보이고 있는가, 3) 대학의 본질적인 역할인 교육・연구, 지속가능성과 사회적 가치확보와 관련해서 새로운 혁신모델이 형성되고 있는가의 측면에서 분석할 것이다.
  • 첫째, 정부정책의 큰 틀이 바뀔 필요가 있다. 리빙랩은 일상생활 공간에서의 R&D・산업・혁신・교육을 강조하고 있기 때문에 기존 정책・연구개발・교육・산업・지역혁신의 틀을 혁신시키는 개념으로 작용하고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리빙랩은 무엇인가? 최근 기존 공급자 및 전문가 중심의 기술개발, 정책, 교육 등이 한계를 드러내면서 사용자 참여와 현장지향성을 강조하는 리빙랩(Living Lab)이 변화와 혁신을 유도하는 개념으로 등장하고 있다. 리빙랩은 ‘우리 마을 실험실’, ‘살아있는 실험실’, ‘일상생활 실험실’이라는 뜻으로, 특정지역의 생활공간을 설정하고 공공-민간-시민 협력을 통해 문제를 해결하는 수단이자 방식이다(송위진, 2012; 성지은・송위진・박인용, 2013; 2014; 성지은・박인용, 2016).
교육체계에 대학리빙랩은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기존의 대학 교육・연구는 대학본부의 강력한 리더십을 기반으로 대학의 경쟁력과 순위확보를 위해 유망분야에 전략적으로 자원을 집중하거나 지식을 가진 교수가 중심이 되어 지식을 전달하는 선형적 방식의 교육체계에 중점을 두어 왔다. 반면 대학리빙랩은 교수, 학생, 지역사회가 함께 소통하면서 문제를 발굴하고 해결책을 제시하는 현장 및 사회 중심으로의 교육체계로 변화할 수 있는 기반을 제공한다. 브리티시 콜롬비아 대학의 경우 모든 커리큘럼에 지속가능성을 포함시키거나 캠퍼스의 지속가능성 확보를 위한 SEED 프로그램 등의 시도를 통해 대학 교육・연구체계를 혁신하고 있다.
대학 리빙랩의 실험은 대학의 역할 범위를 어떻게 바꾸고 있는가? 최근 대학 리빙랩의 실험은 대학의 사회적・공공적 역할 확대와 함께 지역사회와의 적극적인 연계・협력을 강조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대학이 지속가능한 사회・기술시스템으로의 전환 주체로서의 역할 뿐만 아니라 사회・경제・지역 혁신의 주체로서의 역할까지 확대되고 있다. 대학은 리빙랩 개념을 통해 시스템 전환을 위한 전략적 니치이자 테스트베드를 구축하고 사회와 소통하고 관계를 맺어나가는 중요한 장을 마련하고 있는 것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