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등학생들의 빛에 대한 이미지 스키마 분석을 통한 개념적 은유 구조 연구
A Study on Elementary Students' Conceptual Metaphor Structures about Light through Analysis of Their Image Schema 원문보기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v.38 no.6, 2018년, pp.813 - 823  

정진규 (김해구지초등학교) ,  김영민 (부산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빛에 대한 초등학생들의 이미지 스키마를 통해 이들의 개념적 은유 유형을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 참여자는 경상남도 G시의 한 개 초등학교 6학년 학생 162명이다. 이 연구를 위해 분석틀이 고안되었으며, 그 분석틀은 이미지 스키마 분석틀과 체계적 기능 문법 분석틀이다. 학생들의 빛 개념을 묻는 질문지도 개발되었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광원에 대해 학생들은 빛에 대해 두 가지의 구조를 가지고 있음을 보였으며, 그 두 가지는 빛이 광원으로부터 나와 직선으로 공간에 퍼져나간다는 것과 빛이 광원 주위에 정지해 있다는 것이다. 둘째, 물체를 보는 과정에 대한 이해에서는, 학생들은 과학자적 개념을 포함하여 5개의 구조를 나타냈다. 셋째, 빛의 반사에 대한 이해에서는 학생들은 과학자적 개념을 포함하여 4가지의 개념 구조를 나타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elementary students' conceptual metaphor forms of light through their image schema of light. The participants were 162 $6^{th}$ grade students from G city, Gyeongsangnam-do. For this study, the analysis framework was developed as image schema analys...

주제어

표/그림 (16)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일상생활에서 빛에 대한 개념을 확립하기 어려운 이유는 무엇인가? 이러한 경험들은 학생들의 과학 개념을 형성하는데 큰 영향을 미친다(Enghag, Gustafsson, & Jonsson, 2007). 빛은 그 중 하나에 속하며,과학 개념 중에서 매우 추상적이고 반직관적이어서 일상생활을 통해 빛에 대한 개념을 정확히 확립하는 것은 매우 어렵다. 그렇기 때문에 학생들은 빛에 대한 개념 이해에 많은 어려움을 가지고 있다(Kwon,2011; Buty & Mortimer, 2008; Galili & Hazan, 2000; Goldberg & McDermott, 1986; Guesne, 1985).
과학사에서 은유를 사용한 사례는 어떤 것이 있는가? Maxwell(1890)은 은유는 과학의 합법적 산물이며, 과학을 생성할 수도 있다고 하며 은유의 필요성을 역설하였다. 과학사적으로 보면, Maxwell은 자기장의 개념을 역선(lines of force)을 이용하여 정의하였고 Hooke은 세포라는 용어를 처음 사용하였는데 이는 수도원에 수도승들이 쓰는 여러 개로 나눠진 방에서 그 이미지를 착안하였다. Kepler는 시계와 비교하여 행성의 움직임을 설명하였고, Huygens는 물결파를 이용하여 빛의 파동성을 설명하였다(Hoffman, 1980).
구성주의적 관점에서 개념적 은유 이론을 사용하는 것은 어떤 역할을 하는가? 과학교육에서의 은유는 학생들의 과학 개념형성과 관련하여 그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구성주의적 관점에서 학생들이 가지고 있는 과학개념을 해석하기 위해 개념적 은유 이론을 사용하는 것은 학생들에게 체화(embodiment)되어 있는 개념을 알아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Duit et al., 2012; Duit & Treagust, 200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6)

  1. Akerson, V. L., Morrison, J. A., & McDuffie, A. R. (2006). One course is not enough: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retention of improved views of nature of science.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43(2), 194-213. 

  2. Brewe, E. (2011). Energy as a substance-like quantity that flows: Theoretical considerations and pedagogical consequences. Physical Review Special Topics: Physics Education Research, 7(2), 1-14. 

  3. Buty, C., & Mortimer, E. F. (2008). Dialogic/authoritative discourse and modelling in high school teaching sequence on optics.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30(12), 1635-1660. 

  4. Chu, H. E., & Treagust, D. F. (2014). Secondary students' stable and unstable optics conceptions using contextualized questions.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and Technology, 23(2), 238-251. 

  5. Cienki, A. (1997). Some properties and groupings of image schemas. Lexical and syntactical constructions and the construction of meaning, 3-15. 

  6. Clausner, T. C., & Croft, W. (1999). Domains and image schemas. Cognitive linguistics, 10, 1-32. 

  7. Close, H. G., & Scherr, R. E. (2015). Enacting Conceptual Metaphor through Blending: Learning activities embodying the substance metaphor for energy.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37(5-6), 839-866. 

  8. Dewell, R. B. (1994). Over again: Image-schema transformations in semantic analysis. Cognitive Linguistics, 5(4), 351-380. 

  9. Dreyfus, B. W., Geller, B.D., Gouvea, J., Sawtelle, V., Turpen, C. & Redish, E. F. (2014). Ontological metaphors for negative energy in an interdisciplinary context. Physical Review Special Topics: Physics Education Research, 10, 1-11. 

  10. Dreyfus, B. W., Gupta, A., & Redish, E. F. (2015). Applying conceptual blending to model coordinated use of multiple ontological metaphors.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37(5), 812-838. doi:10.1080/09500693.2015.1025306 

  11. Duit, R., Gropengiesser, H., Kattmann, U., & Komorek, M. (2012). The model of educational reconstruction-a framework for improving teaching and learning science. In D. Jorde & J. Dillon (Eds.), Science education research and practice in Europe (pp. 13-38). Rotterdam: Sense 

  12. Duit, R., & Treagust, D. F. (2003). Conceptual change: A powerful framework for improving science teaching and learning.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5(6), 671-688. 

  13. Enghag, M., Gustafsson, P., & Jonsson, G. (2007). From everyday life experiences to physics understanding occurring in small group work with context rich problems during introductory physic work at university.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37, 449-467. 

  14. Evans, V., & Green, M. (2006). Cognitive linguistics. UK: Edinburgh University Press. 

  15. Fetherstonhaugh, T., & Treagust, D. F. (1992). Students' understanding of light and its properties: Teaching to engender conceptual change. Science education, 76(6), 653-672. 

  16. Fuchs, H. U. (2015). From Stories to Scientific Models and Back: Narrative framing in modern macroscopic physics.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37(5-6), 934-957. 

  17. Galili, I., & Hazan, A. (2000). Learners' knowledge in optics: Interpretation, structure and analysis.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2(1), 57-88. 

  18. Goldberg, F. M., & McDermott, L. C. (1986). Student difficulties in understanding image formation by a plane mirror. The Physics Teacher, 24(8), 472-480. 

  19. Guesne, E. (1985). Light. In R. Driver, E. Guesne, & A. Tiberghien (Eds.), Children's ideas in science. Philadelphia, PA: Open University Press. 

  20. Hoffman, R. R. (1980). Metaphor in science. Cognition and figurative language, 393-423. 

  21. Jeong, J., Cho, S., & Lim, C. (1996). A Study of the Validating Evaluation of Science Curriculum Sequence and Instructional Effectiveness with the Application and Hierachical Analysis of Science Conception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16(1), 1-12. 

  22. Johnson, M. (1987). The Body in the Mind: The Bodily Basis of Meaning, Imagination, and Reason. Chicago: Chicago University Press. 

  23. Kim, H., Kwon, J., Kim, B., Jeong, J., & Choi, B. (1992). Korean Children's Conceptions about Light.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12(2), 43-53. 

  24. Kim, Y., Hong, S., & Kim, J. (2013). Korean High School Students' Perception and Understanding of Highly Metaphorical Science Terminologie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33(4), 718-734. 

  25. Kim, Y. & Hwang, J. (2016). A method of analysis of gifted students' understanding and creativity development through metaphorical representation about science concepts.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for the Gifted, 8(3), 1-14. 

  26. Kwon, K. (2011). Comparison Between Elementary- and Middle-school Students' Conceptions of the Propagation Path of Light and the Consistency of Those Conceptions. SAE MULLI, 61(7), 643-650. 

  27. Kwon, S., & Kim, J. (2007). Comparing Misconceptions of Scientifically-Gifted and General Elementary Students in Physics Classes.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25(5), 476-484. 

  28. Lakoff, G., & Johnson, M. (1980). Metaphors we live by. 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9. Lancor, R. (2015). An analysis of metaphors used by students to describe energy in an interdisciplinary general science course.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37(5-6), 876-902. 

  30. Lee, I., Hong, J., & Jhun, Y. (2007). Effects of the Classes on the Path of the Light through the Lens Focused on Substantial Concepts for the Elementary School Gifted in Science.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25(5), 548-555. 

  31. Marulcu, I., Karakuyu, Y., & Dogan, M. (2013). Can elementary students gather information from concept maps?. International Journal of Environmental and Science Education, 8(4), 611-625. 

  32. Niebert, K., & Gropengiesser, H. (2015). Understanding Starts in the Mesocosm: Conceptual metaphor as a framework for external representations in science teaching.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37(5-6), 903-933. 

  33. Niebert, K., Marsch, S., & Treagust, D. F. (2012). Understanding needs embodiment: A theory-guided reanalysis of the role of metaphors and analogies in understanding science. Science Education, 96(5), 849-877. 

  34. National Research Council. (2012). A framework for k-12 science education: Practices, crosscutting concepts, and core ideas. Committee on a Conceptual Framework for New K-12 Science Education Standards. Board on Science Education, Division of Behavioral and Social Sciences and Education. Washington, DC: The National Academies Press. 

  35. Shin, S. (2009). A study on Analogy and Metaphor in Science. Korean Semantics, 29, 133-152. 

  36. Won, M. (1999). An Analysis of Characteristics of Scientific Metaphors. Journal of Language Science, 6(1), 59-8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