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활엽수 입목형질등급 기준 개발을 통한 중부지역 참나무림의 입목특성 평가
Evaluation of Standing Tree Characteristics by Development of the Criteria on Grading Hardwood Quality for Oaks Forests in Central Region of Korea 원문보기

한국산림과학회지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forest science, v.107 no.4, 2018년, pp.344 - 350  

이영근 (국립산림과학원 산림기술경영연구소) ,  이상태 (국립산림과학원 산림기술경영연구소) ,  정상훈 (국립산림과학원 산림기술경영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활엽수림의 고부가가치 목재 이용을 고려한 산림관리 방법 개선을 위해 입목형질등급 기준을 마련하였고, 중부지역의 참나무 임분을 대상으로 적용하였다. 입목형질등급의 평가인자는 줄기의 휨, 가지 굵기, 수피상처, 기타 결함 4개이며 수간을 2.1 m 단위로 구분하여 6.3 m까지 3개의 원목이 이용 가능하면 1등급, 2개 원목이 이용 가능하면 2등급, 1개만 이용 가능하면 3등급, 제재목으로 이용할 수 없을 경우 4등급으로 구분하였다. 개발된 입목형질등급을 참나무류 임분에 적용한 결과, 3등급 38.3%, 4등급 27.0%, 2등급은 28.0% 그리고 1등급 6.7% 순으로 조사되었다. 수종별 제재목으로 이용 가능한 3등급 이상의 입목비율은 상수리나무 88.2%, 굴참나무 88.1%, 졸참나무 83.5%로 높았으나, 갈참나무와 신갈나무의 경우 각각 56.0%, 50.3%로 평가 등급이 낮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굴참나무와 신갈나무의 경우 흉고직경이 증가할수록 4등급의 비율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입목형질등급에 영향을 끼치는 주요 결함요인은 수간의 휨>가지 굵기>수피상처>기타 결함 순이었다. 중부지역 참나무림의 임목형질등급과 분포면적을 고려할 경우 상수리나무와 굴참나무에 대한 지속적인 관리가 실행된다면 활엽수 용재생산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정확하고 실질적인 입목형질등급을 구분하기 위해서는 평가 인자들에 대한 모니터링 연구를 통한 지속적 개선이 필요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mprove the forest management method considering the use of high value added timber in the natural broadleaf forests. For this purpose, the criteria for evaluating the quality grade of standing trees were established and applied to the oak stand in the central region of...

주제어

표/그림 (9)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국ㆍ내외 원목품등 구분 및 입목형질등급 구분 방법을 응용하여 우리나라 활엽수림에 적용 가능한 입목형질 평가 방법을 개발하는 것이며, 개발된 방법으로 우리나라 중부지방의 주요 참나무 수종의 입목형질등급을 평가하고, 천연림보육작업 개선을 위한 적용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입목형질등급의 평가인자는 어떻게 구분되는가? 활엽수림의 고부가가치 목재 이용을 고려한 산림관리 방법 개선을 위해 입목형질등급 기준을 마련하였고, 중부지역의 참나무 임분을 대상으로 적용하였다. 입목형질등급의 평가인자는 줄기의 휨, 가지 굵기, 수피상처, 기타 결함 4개이며 수간을 2.1 m 단위로 구분하여 6.3 m까지 3개의 원목이 이용 가능하면 1등급, 2개 원목이 이용 가능하면 2등급, 1개만 이용 가능하면 3등급, 제재목으로 이용할 수 없을 경우 4등급으로 구분하였다. 개발된 입목형질등급을 참나무류 임분에 적용한 결과, 3등급 38.
흉고직경이란 무엇인가? 흉고직경은 입목 가치를 평가하는 정량적 기준이며, 입목형질은 정성적 기준이라 할 수 있다. 조사구에 가장 많이 분포하는 굴참나무와 신갈나무의 흉고직경과 입목형질 간의 관계를 파악한 결과 굴참나무의 경우, 직경급이 커질수록 3등급은 감소하는 반면 1과 2등급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Table 3), 신갈나무의 경우 직경급이 커질수록 4등급의 분포비율이 감소하였다(Table 4).
산림 장기 전망에 따른 미래 우리나라 식생대는 어떻게 변화될 것으로 예상되는가? 4%를 차지하고 있다(Korea Forest Service, 2016). 산림 장기전망에 따르면 기후변화와 자연천이의 진행으로 침엽수림은 축소되고 활엽수림이 늘어나 2050년에는 산림면적의 43.9% 까지증가 할 것으로 예상되며, 대부분의 활엽수림은 참나무류로 구성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Korea Forest Service, 2018)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Andrew, P., Adrian, H., Barry, G., Elspeth, M. and Paul, M. 2017. Assessing the stem straightness of trees : Technical Note 021. Forestry Commission. pp.6. 

  2. Association of German Sawmill and Wood Industry. 2005. Guidelines for the factory measurement of logs. pp. 20. (In Germany) 

  3. Bachmann, P. 1990. Increasing of the forest production through consideration of added value. Snow and Landscape, Research Institute for Forests. Reports of the Federal 327. pp. 73. (In Germany) 

  4. Ernst, R., Norbert, B. and Burghard, L. 2013. Silviculture on an ecological basis. UTB GmbH. pp. 432. (In Germany) 

  5. Forestry Research Institute of Baden-Wuttemberg. 2001. Federal Forest Inventory II in Baden-Wuttemberg. pp. 16. (In Germany) 

  6. IBM SPSS Statistics. 1989-2011. SPSS for Window. Version 20.0. IBM corp. 

  7. James, S.M. and Daniel, A.S.Jr. 2008. A new tree classification system for southern hardwoods. Southern Journal of Applied Forestry 32(2): 69-79. 

  8. John, R.M., Gary, W.M., Harry, V.W.Jr. and Joseph, E.B. 1986. Butt-log grade distributions for five appalachian hardwood species. US Fores Service. Northeastern Station Research Paper NE-590. pp. 7. 

  9. Klaus, G. 2005. Forest management: analysis and design of forest development. Gottingen University Press. pp. 342. 

  10. Korea Forest Promotion Institute. 2016. Handbook of national forest inventory and forest health. pp. 95. (In Korean) 

  11. Korea Forest Promotion Institute. 2018. Information of price of wood. https://www.kofpi.or.kr/service/imupinfo. (In Korean) 

  12. Korea Forest Service. 2005. Standard manual for sustainable forest resource management. pp. 289. (In Korean) 

  13. Korea Forest Service. 2016. Statistical yearbook of forestry. pp. 415. (In Korean) 

  14. Korea Forest Service. 2017. Log grade. Korea Forest Service Notice. 2017-97. 

  15. Korea Forest Service. 2018. 6nd National Forest Plan. In publishing. (In Korean) 

  16. Kyle, C. 2017. Forest landowner's guide to field grading hardwood trees. Division of Agriculture, University of Arkansas System. pp. 8. 

  17. Martin, E.D and Rorbert, L.B. 1985. Butt log quality of trees in Pennsylvania oak stands. USDA Forest Service. Northeastern Station Research Paper NE-568. pp. 12. 

  18. National Institute of Forest Science. 2016a. Handbook of regeneration decision for bad quality forest. pp. 79. (In Korean) 

  19. National Institute of Forest Science. 2016b. Empirical stand yield table. pp. 64. 

  20. National Institute of Forest Science. 2017. Development of assessment technic of hardwood forest stand for enhance of quality of forest tending. pp. 127. (In Korean) 

  21. Pelletier, G., Landry, D. and Girouard, M. 2016. A tree classification system for new Brunswick. Version 2.0. Northern Hardwoods Research Institute. Edmundston, New Brunswick. pp. 53. 

  22. Robert, L.B. 1989. Central hardwood notes; Grading hardwood trees. Northeastern Forest Experiment Station. USDA Forest Service, West Virginia. pp. 5. 

  23. USDA Forest Service. 1973. A guide to hardwood log grading. USDA Forest Service General Technical Report. pp. 31.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