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논문]Changes in ruminal fermentable characteristics and nutrient degradabilities of corn flake according to chamber type in Hanwoo: chamber type for corn flake in the rumen of Hanwoo원문보기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a steam chamber type on the ruminal fermentable characteristics and nutrient degradabilities of corn flakes in Hanwoo. Three Hanwoo equipped with a ruminal fistula were used as experimental animals. There were two treatments: Corn flake using a 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a steam chamber type on the ruminal fermentable characteristics and nutrient degradabilities of corn flakes in Hanwoo. Three Hanwoo equipped with a ruminal fistula were used as experimental animals. There were two treatments: Corn flake using a steam chamber (CFSC, 1.0 atm - $100^{\circ}C$ 96 min) or corn flake using a pressurized steam chamber (CFPSC, 1.5 atm - $111^{\circ}C$ 12 min), respectively. In the in vitro trial, the ruminal pH was significantly lower in the CFPSC than in the CFSC (p < 0.01). The ammonia concentration was increased by 14.1% in the CFPSC compared to the CFSC (p < 0.05). The concentration of acetic acid was higher in the CFSC than in the CFPSC (p < 0.01). The concentrations of propionate, butyrate and total-VFA at 24 and 48 h were higher in the CFPSC than in the CFSC (p < 0.05). In the in situ trial, the degradability of dry matter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CFSC than in the CFSC (p < 0.01). In addition, the degradabilities of starch and crude protein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CFSC than in the CFSC (p < 0.01). Thus, the present results indicate that the pressurized steam chamber could be recommended to improve the feed value of corn flake according to the increase in the starch degradability and volatile fatty acid production.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a steam chamber type on the ruminal fermentable characteristics and nutrient degradabilities of corn flakes in Hanwoo. Three Hanwoo equipped with a ruminal fistula were used as experimental animals. There were two treatments: Corn flake using a steam chamber (CFSC, 1.0 atm - $100^{\circ}C$ 96 min) or corn flake using a pressurized steam chamber (CFPSC, 1.5 atm - $111^{\circ}C$ 12 min), respectively. In the in vitro trial, the ruminal pH was significantly lower in the CFPSC than in the CFSC (p < 0.01). The ammonia concentration was increased by 14.1% in the CFPSC compared to the CFSC (p < 0.05). The concentration of acetic acid was higher in the CFSC than in the CFPSC (p < 0.01). The concentrations of propionate, butyrate and total-VFA at 24 and 48 h were higher in the CFPSC than in the CFSC (p < 0.05). In the in situ trial, the degradability of dry matter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CFSC than in the CFSC (p < 0.01). In addition, the degradabilities of starch and crude protein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CFSC than in the CFSC (p < 0.01). Thus, the present results indicate that the pressurized steam chamber could be recommended to improve the feed value of corn flake according to the increase in the starch degradability and volatile fatty acid production.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따라서 본 연구는 반추위 fistula가 장착된 한우를 대상으로 스팀 챔버 및 가압식 스팀 챔버를 이용하여 생산된 옥수수 후레이크의 반추위 발효특성 및 영양소 분해율을 비교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본 연구는 챔버의 종류가 한우에서 옥수수 후레이크의 반추위 발효특성 및 영양소 분해율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공시동물은 반추위 fistula가 장착된 한우 암소 3두를 이용하였다.
제안 방법
5 atm - 111℃ - 12분)를 이용하여 생산된 옥수수(남미산) 후레이크 2종을 이용하였다. In vitro 및 in situ 시험을 위한 시험구는 스팀 챔버를 이용하여 생산된 옥수수 후레이크 처리구(Corn flake using steam chamber, CFSC)와 가압식 스팀 챔버를 이용하여 생산된 옥수수 후레이크 처리구(Corn flake using pressurized steam chamber, CFPSC)의 2처리로 하였다. 본 연구에서 이용된 옥수수 후레이크의 화학적 조성은 Table 1과 같다.
옥수수 후레이크의 호화도(Gelatinization)는 적정법(MFDS, 2016)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0.5 mm로 분쇄한 시료 1 g을 총 5개의 250 mL 삼각플라스크(A1, A2, A3, A4 및 B)에 각각 정량한 후 증류수 50 mL를 가하였다. 그 후 A1 및 A2를 15분 간 100℃의 water bath에서 마개를 막고 가열한 뒤 급속히 냉각 시킨 다음 A1, A3 및 B에 각각 5% diastase를 첨가한 후 5개의 플라스크(A1, A2, A3, A4 및 B)를 37℃ water bath에서 90분간 진탕하였다.
5 mm로 분쇄한 시료 1 g을 총 5개의 250 mL 삼각플라스크(A1, A2, A3, A4 및 B)에 각각 정량한 후 증류수 50 mL를 가하였다. 그 후 A1 및 A2를 15분 간 100℃의 water bath에서 마개를 막고 가열한 뒤 급속히 냉각 시킨 다음 A1, A3 및 B에 각각 5% diastase를 첨가한 후 5개의 플라스크(A1, A2, A3, A4 및 B)를 37℃ water bath에서 90분간 진탕하였다. 이후 1 N-HCl 2 mL 가한 다음 증류수를 첨가하여 100 mL로 정용화 하였다.
이후 1 N-HCl 2 mL 가한 다음 증류수를 첨가하여 100 mL로 정용화 하였다. 정용화된 용액을 건조여과지(No.2)로 여과하였으며, 여과된 용액과 증류수를 각각 10 mL 씩 5개의 공전플라스크(a1, a2, a3, a4, b 및 BT)에 취하고, 0.1 N-Iodine 용액 10 mL를 가한 후 stop watch를 사용하여 같은 시간 간격으로(5분) 18 mL의 0.1 N-NaOH를 가하여 밀전, 진탕 및 혼합 시킨 후 정확히 15분간 방치하였다. 이후 최초의 공전플라스크가 15분이 경과하면 위와 같은 시간 간격으로 10% H2 SO4 를 2 mL 첨가 한 후 0.
1 N-NaOH를 가하여 밀전, 진탕 및 혼합 시킨 후 정확히 15분간 방치하였다. 이후 최초의 공전플라스크가 15분이 경과하면 위와 같은 시간 간격으로 10% H2 SO4 를 2 mL 첨가 한 후 0.1 N-Na2S2O3 용액을 사용하여 종말점이 무색이 되는 점을 기준으로 하여 적정하였다.
In vitro 배양액은 rumen inoculum 400 mL를 미리 제조된 인공타액(buffersolution A 및 B) 1,596 mL에 첨가하여 제조하였다(Mc Dougall, 1948). 인공타액은 buffer solution A 및 B로 구분하여 조제하였으며, 시험 개시 전에 buffer solution A (1,330 mL)와 B (266 mL)를 동시에 혼합한 후 pH가 6.8이 되도록 조정 하였다.
gas를 5초간 주입하여 배양 bottle반추위의 공기를 제거한 다음 즉시 전용 마개를 이용하여 밀봉한 후 혐기 상태를 유지하였다. 그 다음 39℃의 shaking incubator (HB-201SLI)에서 3, 6, 9, 12, 24 및 48시간 동안 배양을 실시하였다.
배양액의 pH는 시간대별로 배양중인 100 mL bottle에서 pH meter (Corning 445, Corning, USA)를 이용하여 측정기를 bottle 내부로 삽입한 다음 3회 반복하여 측정하였다. 암모니아 농도의 분석을 위해 배양 시간대별로 100 mL bottle에서 pipette (P09-59-101, Brand GmBH, Germany)을 이용하여5 mL의 배양액을 채취한 후 자동 수질분석기(Quik Chem 8500 series2, Lachat, USA)를 이용하여 3회 반복으로 측정하였다.
배양액의 pH는 시간대별로 배양중인 100 mL bottle에서 pH meter (Corning 445, Corning, USA)를 이용하여 측정기를 bottle 내부로 삽입한 다음 3회 반복하여 측정하였다. 암모니아 농도의 분석을 위해 배양 시간대별로 100 mL bottle에서 pipette (P09-59-101, Brand GmBH, Germany)을 이용하여5 mL의 배양액을 채취한 후 자동 수질분석기(Quik Chem 8500 series2, Lachat, USA)를 이용하여 3회 반복으로 측정하였다.
휘발성지방산의 농도를 분석하기 위해 배양 시간대별로 100 mL bottle에서 pipette을 이용하여10 mL의 배양액을 채취한 후 20%의 HPO3 1 mL 및 포화 HgCl2 0.5 mL를 첨가하고, 4℃에서 3000 RCF 조건으로 15분간 원심 분리하여 상층액을 취한 다음 gas chromatograph (Shimadzu-17A, Shimadzu, Japan)를 이용하여 휘발성지방산 농도를 측정하였다.
시간대별로 채취한 nylon bag은 맑은 물이 나올 때까지 세척한 후 70℃ 열풍 순환식 건조기에서 72시간 동안 건조 시켰다. 건조가 완료된 시료는 무게를 측정하여 건물 분해율 계산에 이용하였으며, 시료를 1.0 mm 크기로 분쇄시켜 화학적 조성을 분석하는데 사용하였다.
건물 분해율은 반추위 배양 전후 건물의 무게 차이를 이용하여 산출하였으며, 전분 및 조단백질 분해율은 배양 전후의 건물 무게와 전분 및 조단백질 함량을 이용하여 산출하였다.
가압식 스팀 챔버를 이용하여 생산된 옥수수 후레이크와 스팀 챔버를 이용하여 생산된 옥수수 후레이크가 in vitro 조건의 반추위 발효특성과 in situ 조건의 영양소 분해율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챔버의 종류를 처리로 설정하였다. 또한 각 챔버에서 생산된 옥수수 후레이크를 이용하여 in vitro 조건의 반추위 pH, acetate, propionate, butyrate 및 total volatile fatty acids (total-VFA) 결과와 in situ 조건의 건물, 전분 및 조단백질 분해율 결과를 다음과 같은 선형 모형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가압식 스팀 챔버를 이용하여 생산된 옥수수 후레이크와 스팀 챔버를 이용하여 생산된 옥수수 후레이크가 in vitro 조건의 반추위 발효특성과 in situ 조건의 영양소 분해율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챔버의 종류를 처리로 설정하였다. 또한 각 챔버에서 생산된 옥수수 후레이크를 이용하여 in vitro 조건의 반추위 pH, acetate, propionate, butyrate 및 total volatile fatty acids (total-VFA) 결과와 in situ 조건의 건물, 전분 및 조단백질 분해율 결과를 다음과 같은 선형 모형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공시동물은 반추위 fistula가 장착된 한우 암소 3두를 이용하였다. 시험구는 스팀 챔버를 이용하여 생산된 옥수수 후레이크(CFSC, 1.0 atm - 100℃ - 96분) 및 가압식 스팀 챔버를 이용하여 생산된 옥수수 후레이크(CFPSC, 1.5 atm - 111℃ - 12분)의 2처리로 하였다. 반추위 pH는 CFSC에 비해 CFPSC에서 유의적으로 낮은 결과를 보였으며(p < 0.
대상 데이터
공시동물은 반추위 fistula가 장착된 한우 암소 3두(평균 체중 327 ± 41 kg)를 이용하였다.
본 연구는 강원대학교 부속 실험목장에서 7개월간 수행 되었다. 공시동물은 반추위 fistula가 장착된 한우 암소 3두(평균 체중 327 ± 41 kg)를 이용하였다.
공시재료는 스팀 챔버(1.0 atm - 100℃ - 96분) 및 가압식 스팀 챔버 (CFPSC, 1.5 atm - 111℃ - 12분)를 이용하여 생산된 옥수수(남미산) 후레이크 2종을 이용하였다. In vitro 및 in situ 시험을 위한 시험구는 스팀 챔버를 이용하여 생산된 옥수수 후레이크 처리구(Corn flake using steam chamber, CFSC)와 가압식 스팀 챔버를 이용하여 생산된 옥수수 후레이크 처리구(Corn flake using pressurized steam chamber, CFPSC)의 2처리로 하였다.
본 연구는 챔버의 종류가 한우에서 옥수수 후레이크의 반추위 발효특성 및 영양소 분해율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공시동물은 반추위 fistula가 장착된 한우 암소 3두를 이용하였다. 시험구는 스팀 챔버를 이용하여 생산된 옥수수 후레이크(CFSC, 1.
데이터처리
본 연구에서 설정한 선형모형을 SAS 9.2 GLM Procedure (SAS Institute, USA)를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GLM 분석결과에서 불균형된 자료의 적합한 TYPE III 제곱합을 이용하여 분산분석을 실시하였고, 분산분석 후 평균간 비교를 위해 처리의 효과는 t-검정을 하였으며, 시간의 효과는 Duncan의 다중검정을 실시하였다.
옥수수 후레이크의 호화도(Gelatinization)는 적정법(MFDS, 2016)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0.
전분은 비색법(MAFRA, 2017)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시료 0.
성능/효과
In vitro 반추위 배양액의 pH는 CFSC에 비해 CFPSC에서 유의적으로 낮았으며(p < 0.05), ammonia 농도는 CFSC에 비해 CFPSC에서 14.1% 증가되는 결과를 보였다(17.48 vs 19.94 mg/dL).
챔버 종류는 옥수수 후레이크의 건물, 전분 및 조단백질 분해율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p < 0.01), 챔버의 종류는 배양시간별 건물, 전분 및 조단백질 분해율 변화에도 유의적인 영향을 미쳤다(p < 0.01).
Butyrate 및 Total-VFA 농도는 배양 24 및 48시간에 CFSC에 비해 CFPSC에서 높은 결과를 보였다(p < 0.05).
Propionate 농도는 CFSC에 비해 CFPSC에서 각각의 배양시간에서 20.3, 10.9, 4.2, 7.0, 13.5 및 5.1% 증가되는 경향을 보였으며, 특히 배양 24 및 48시간의 propionate 농도는 CFSC에 비해 CFPSC에서 유의적으로 높았다(p < 0.05).
Ammonia 농도는 배양 6, 9 및 24시간에 CFSC에 비해 CFPSC에서 높은 결과를 보였으며(p < 0.05), 처리에 관계없이 배양시간에 따라 증감을 반복했다.
Butyrate 및 TotalVFA 농도도 CFSC에 비해 CFPSC에서 높은 결과를 보였다(p < 0.05).
Eggum (1979)는 사료를 133℃에서 10분간 가열하였을 때 105 및 118℃에 비해 단백질 이용효율이 낮아졌으며, 조단백질 소화율 이외에도 라이신 및 메치오닌의 이용성도 저하되는 것으로 보고한 바 있다. 비록 본 연구에서 스팀 챔버에 비해 가압식 스팀 챔버의 온도 조건(100 vs 111℃) 높았지만, 챔버 체류 시간이 1/8로 월등히 짧았기 때문에 변성 단백질 생성량이 적어 조단백질 소화율이 개선되었던 것으로 판단된다. 한편, 본 연구에서 처리에 관계없이 ammonia 생성량이 일관된 경향을 보이지 않고 증감을 반복했던 원인은 반추위 미생물에 의한 ammonia-N의 이용경로에 따른 미생물체 단백질 합성(Jang, 2016)과 미생물의 자가 분해(Xin, 2010)의 영향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에서 propionate 및 total-VFA 농도가 가압식 스팀 챔버의 도입으로 인해 증가된 결과는 옥수수 후레이크 전분의 호화도 및 소화율 증가에 원인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Gomes et al.
, 2006). 본 연구에서 가압식 스팀 챔버의 온도는 111℃로 스팀 챔버의 100℃에 비해 약간 높았지만, 챔버 체류 시간은 가압식 스팀 챔버에서 12분으로 스팀 챔버의 96분에 비해 현저히 낮았기 때문에 저항전분의 생성이 상대적으로 적었을 것으로 추측된다. 결과적으로 스팀 챔버에 비해 상대적으로 열에 대한 노출 시간이 짧았던 가압식 스팀 챔버를 이용하여 생산된 옥수수 후레이크에서 내성전분 함량의 감소와 호화도의 증가로 인해 건물 및 전분 분해율이 높았던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에서 가압식 스팀 챔버의 온도는 111℃로 스팀 챔버의 100℃에 비해 약간 높았지만, 챔버 체류 시간은 가압식 스팀 챔버에서 12분으로 스팀 챔버의 96분에 비해 현저히 낮았기 때문에 저항전분의 생성이 상대적으로 적었을 것으로 추측된다. 결과적으로 스팀 챔버에 비해 상대적으로 열에 대한 노출 시간이 짧았던 가압식 스팀 챔버를 이용하여 생산된 옥수수 후레이크에서 내성전분 함량의 감소와 호화도의 증가로 인해 건물 및 전분 분해율이 높았던 것으로 판단된다.
반추위 pH는 CFSC에 비해 CFPSC에서 유의적으로 낮은 결과를 보였으며(p < 0.01), ammonia 농도는 CFSC에 비해 CFPSC 에서 14.1% 증가되었다(p < 0.05).
반추위 건물(p < 0.01), 전분(p < 0.01) 및 조단백질(p < 0.05) 분해율은 CFSC에 비해 CFPSC에서 높았다.
In vitro 배양 24 및 48시간의 propionate, butyrate 및 total-VFA 농도는 CFSC에 비해 CFPSC에서 높은 결과를 보였다(p < 0.05).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에서 옥수수 후레이크 제조 과정에서 가압식 스팀 챔버의 도입으로 propionate, total-VFA 및 ammonia 생성량이 증가되었으며, 건물, 전분 및 조단백질 분해율도 개선되는 결과를 보였다. 또한 가압식 스팀 챔버는 챔버 체류 시간 단축에 따른 저항전분 및 단백질 변성 감소와 압력효과로 인한 전분의 호화도 개선을 통해 옥수수 후레이크의 사료가치를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인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에서 옥수수 후레이크 제조 과정에서 가압식 스팀 챔버의 도입으로 propionate, total-VFA 및 ammonia 생성량이 증가되었으며, 건물, 전분 및 조단백질 분해율도 개선되는 결과를 보였다. 또한 가압식 스팀 챔버는 챔버 체류 시간 단축에 따른 저항전분 및 단백질 변성 감소와 압력효과로 인한 전분의 호화도 개선을 통해 옥수수 후레이크의 사료가치를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인 것으로 판단된다.
05) 분해율은 CFSC에 비해 CFPSC에서 높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가압식 스팀 챔버는 전분 소화율 향상 및 휘발성지방산 생성량 증가를 통해 옥수수 후레이크의 사료적 가치를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인 것으로 판단된다.
챔버 의 종류는 in vitro 반추위 배양액의 pH (p < 0.05), ammonia (p < 0.01), acetate (p < 0.01), propionate (p < 0.01), butyrate (p < 0.01) 및 Total-VFA (p < 0.01) 농도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는 결과를 보였으며, 반추위 배양시간별 발효특성 결과에서도 챔버의 종류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p < 0.01).
건물 및 전분 분해율은 CFSC에 비해 CFPSC에서 높은 결과를 보였으며(p < 0.01), 조단백질 분해율도 CFSC에 비해 CFPSC에서 높았다(p < 0.05).
건물 분해율은 전체 배양시간 동안 CFSC에 비해 CFPSC에서 유의적으로 높았으며(p < 0.01), 배양시간별로 CFSC에 비해 CFPSC에서 각각 6.3, 7.7, 9.9, 9.3, 9.4 및 8.1% 높은 결과를 보였다.
전분 분해율은 전체 배양시간에서 CFSC에 비해 CFPSC 에서 높았으며(p < 0.01), 특히 배양 9시간에 가장 많은 차이를 보였다.
조단백질 분해율도 CFSC에 비해 CFPSC에서 배양시간에 관계없이 높은 결과를 보였으며(p < 0.01), 배양시간별 처리간의 차이는 2.4 - 4.1% 범위로 나타났다.
반추위 pH 및 대사산물(휘발성지방산 및 암모니아 등)은 사료의 영양소 함량, 분해율, 미생물의 접근성 및 효소 활성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Owens and Basalan, 2016). 본 연구에서 챔버 종류는 옥수수 후레이크의 반추위 pH, ammonia 및 휘발성지방산 생성량과 영양소(건물, 전분 및 조단백질) 분해율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압력의 유무(챔버의 종류)가 옥수수 후레이크의 품질 및 사료가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인 것으로 추정된다.
참고문헌 (46)
AOAC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2005.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18th ed. AOAC, Arlington, Virginia, USA.
Bahrani SA, Loisel C, Rezzoug SA, Doublier JL, Maache-Rezzoug Z. 2012. Role of vacuum steps added before and after steaming treatment of maize starch. Impact on pasting, morphological and rheological properties. Carbohydrate polymers 89:810-820.
Blaszczak W, Fornal J, Kiseleva VI, Yuryev VP, Sergeev AI, Sadowska J. 2007. Effect of high pressure on thermal, structural and osmotic properties of waxy maize and Hylon VII starch blends. Carbohydrate Polymers 68:387-396.
Cardozo PW, Calsamiglia S, Ferret A, Kamel C. 2005. Screening for the effects of natural plant extracts at different pH on in vitro rumen microbial fermentation of a high-concentrate diet for beef cattle. Journal of animal science 83:2572-2579.
Chuck-Hernandez C, Perez-Carrillo E, Serna-Saldivar SO. 2009. Production of bioethanol from steam-flaked sorghum and maize. Journal of Cereal Science 50:131-137.
Cooper R, Milton T, Klopfenstein TJ, Clark D. 2001. Economic evaluation of corn processing for finishing cattle. Nebraska Beef Cattle Reports. pp. 51-54.
Depenbusch BE, Loe ER, Sindt JJ, Cole NA, Higgins JJ, Drouillard JS. 2009. Optimizing use of distillers grains in finishing diets containing steam-flaked corn. Journal of animal science 87:2644-2652.
Domby EM, Anele UY, Gautam KK, Hergenreder JE, Pepper-Yowell AR, Galyean ML. 2014. Interactive effects of bulk density of steam-flaked corn and concentration of Sweet Bran on feedlot cattle performance, carcass characteristics, and apparent total tract nutrient digestibility. Journal of animal science 92:1133-1143.
Eggum BO. 1979. In decontamination of animal feeds by irradiation: Effect of radiation treatment on protein quality and vitamin content of animal feeds. The joint FAO/IAEA division of atomic energy in food and agriculture. pp. 55-67. International Atomic Energy Agency, Vienna, Austria.
Fiems LO, Cottyn BG, Boucque CV, Vanacker JM, Buysse FX. 1990. Effect of grain processing on in sacco digestibility and degradability in the rumen. Archives of Animal Nutrition 40:713-721.
Focant M, Van Hoecke A, Vanbelle M. 1990. Influence of steam flaking wheat on rumen fermentations and duodenal nitrogen and amino acid flows in heifers. Animal Feed Science and Technology 30:69-78.
Hale WH, Cuitun L, Soba WJ, Theurer B. 1967. Effect of steam processing and flaked milo and barley on performance and digestion by steers. Journal of Animal Science 25:392-396.
Hale WH. 1973. Influence of processing on the utilization of grains (starch) by ruminants 1, 2. Journal of Animal Science 37:1075-1080.
Hsu ST, Yang ST. 1991. Propionic acid fermentation of lactose by Propionibacterium acidipropionici: Effects of pH. Biotechnology and Bioengineering 38:571-578.
Jang HR. 2016. Evaluation of in vitro rumen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and in situ disappearance rate of banana and cabbage by-products. M.S. dissertation, Kyungpook National Univ., Daegu, Korea. [in Korean]
Julliand V, De Fombelle A, Varloud M. 2006. Starch digestion in horses: The impact of feed processing. Livestock Science 100:44-52.
Keles G, Demirci U. 2011. The effect of homo fermentative and hetero fermentative lactic acid bacteria on conservation characteristics of baled triticale-Hungarian vetch silage and lamb performance. Animal Feed Science and Technology 164:21-28.
Kim H, Lee S, Jeong S, Park J, Shin T, Cho B, Cho S, Kim B, Seo J. 2016. Nutrient analysis and in vitro rumen fermentation of commercial formulated concentrates for finishing Hanwoo steers.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Science 43:802-809. [in Korean]
Kokic B, Levic J, Chrenkova M, Formelova Z, Polacikova M, Rajsky M, Jovanovic R. 2013. Influence of thermal treatments on starch gelatinization and in vitro organic matter digestibility of corn. Food & Feed Research 40:93-99.
Krause KM, Oetzel GR. 2006. Understanding and preventing subacute ruminal acidosis in dairy herds: A review. Animal Feed Science and Technology 126:215-236.
Lardy GP. 2002. Feeding corn to beef cattle. North Dakota State University. North Dakota, USA.
Lee SJ, Lee JH, Shin NH, Hyun JH, Moon YH, Lee SS, Lee SS. 2008. Effects of steam flaking on in situ DM digestibility and aflatoxin and ochratoxin contents during storage of corns. Journal of Life Science 18:1561-1569. [in Korean]
Liu H, Yu L, Dean K, Simon G, Petinakis E, Chen L. 2009. Starch gelatinization under pressure studied by high pressure DSC. Carbohydrate polymers 75:395-400.
Ljokjel K, Harstad OM, Prestlokken E, Skrede A. 2003. In situ digestibility of starch in barley grain (Hordeum vulgare) and peas (Pisum sativum L.) in dairy cows: Influence of heat treatment and glucose addition. Animal Feed Science and Technology 107:105-116.
Mackie RI, Gilchrist FM. 1979. Changes in lactate-producing and lactate-utilizing bacteria in relation to pH in the rumen of sheep during stepwise adaptation to a high-concentrate diet. Applied and Environmental Microbiology 38:422-430.
May ML, Quinn MJ, Reinhardt CD, Murray L, Gibson ML, Karges KK, Drouillard JS. 2009. Effects of dry-rolled or steam-flaked corn finishing diets with or without twenty-five percent dried distillers grains on ruminal fermentation and apparent total tract digestion. Journal of animal science 87:3630-3638.
MAFRA (Ministry of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 2017. Feed standard analysis method. pp. 310-311. MAFRA, Sejong, Korea. [in Korean]
MFDS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2016. Korean food standards codex. p. 279. MFDS, Cheongju, Korea. [in Korean]
Owens FN, Basalan M. 2016. Ruminal fermentation. ruminology. pp. 63-102. Springer Nature, Cham, Switzerland.
Park JW, Chae SH, Yoon S. 2009. The effects of steeping and cooking pressure on qualities of cooked brown ric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Culture 24:69-76. [in Korean]
Perry TW. 1970. Value of roasting corn for finishing heifers. Purdue research, Purdue Univercity, West Lafayette, USA.
Plascencia A, Zinn RA. 1996. Influence of flake density on the feeding value of steam-processed corn in diets for lactating cows. Journal of Animal Science 74:310-316.
Rubens P, Heremans K. 2000. Pressure-temperature gelatinization phase diagram of starch: An in situ Fourier transform infrared study. Biopolymers 54:524-530.
Safaei K, Yang W. 2017. Effects of grain processing with focus on grinding and steam-flaking on dairy cow performance. pp. 117-131. Intech Open, London, United Kingdom.
Salariya AM. 2005. The effects of hydrothermal processing on antinutrients, protein and starch digestibility of food legumes. International Journal of Food Science & Technology 40:695-700.
Schwandt EF, Hubbert ME, Thomson DU, Vahl C, Bartle SJ, Reinhardt CD. 2017. Flake density, roll diameter, and flake moisture all influence starch availability of steam-flaked corn. Kansas Agricultural Experiment Station Research Reports 3:22.
Schwandt EF. 2015. Grain processing considerations influencing starch digestion and performance of feedlot cattle. Ph.D. dissertation, Kansas State Univ., Manhattan, USA.
Siddhuraju P, Becker K. 2001. Effect of various domestic processing methods on antinutrients and in vitro protein and starch digestibility of two indigenous varieties of Indian tribal pulse, Mucuna pruriens var. utilis.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od Chemistry 49:3058-3067.
Tan FJ, Dai WT, Hsu KC. 2009. Changes in gelatinization and rheological characteristics of japonica rice starch induced by pressure/heat combinations. Journal of Cereal Science 49:285-289.
Xin HS, Schaefer DM, Liu QP, Axe DE, Meng QX. 2010. Effects of polyurethane coated urea supplement on in vitro ruminal fermentation, ammonia release dynamics and lactating performance of Holstein dairy cows fed a steam-flaked corn-based diet.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23:491-500.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