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공학설계와 지역사회봉사활동을 통합한 서비스러닝 교육프로그램 운영 사례 및 효과
A case study on the effect of service learning education program integrating engineering design and community service activities 원문보기

공학교육연구 = Journal of engineering education research, v.21 no.4, 2018년, pp.35 - 45  

진성희 (한밭대학교 인문교양학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service learning education program for engineers and to investigate its educational effects. This study reviewed the concept and characteristics of service learning and examined the service learning education programs operated in higher education environmen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 연구에서는 공학전공교과목과 연계하여 서비스러닝활동을 구상하기보다 서비스러닝 활동을 체계적으로 제공하기 위해 창의공학기초설계 또는 창의적사고 수업을 선수강한 학생들을 대상으로 독립된 서비스러닝 교과목을 개발하여 운영하였다. 공학설계활동중심의 서비스러닝 교수학습절차에 따라 서비스활동의 주제를 결정하고 지역사회기관과 협력해야 할 내용에 대해 정리하였다. 대학 내 서비스러닝지원센터가 없는 관계로 직접 협력기관을 찾아보았다.
  • 그러나 학기 마지막에 각 팀별 서비스러닝활동과정 및 결과에 대해 공유하고 서로 격려 및 피드백을 제공하는 시간이 그동안의 노력에 대해 보람을 느끼는 순간임을 매학기 운영하면서 확인하였다. 또한 성찰일지를 작성하게 함으로써 서비스러닝활동을 통해 무엇을 배우고 느꼈는지, 서비스러닝활동이 대학생활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 이러한 경험이 향후 진로설계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 등에 대해서 생각하고 정리하도록 하였다.
  • 윤리의식과 인성과 같은 학습자들의 정의적 영역에 대한 교육은 이론적 탐색과 숙지보다는 실천적인 경험과 자기성찰을 통해서 그 교육적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이 연구에서는 공학도들에게 우리가 속해 있는 지역사회의 사회적 약자들에 대한 깊이 있는 공감대를 형성함으로써 주변을 살펴보고 자신의 생활에 대해서도 성찰해 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자 공학도를 위한 서비스러닝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국내 대학에서의 성공적인 서비스러닝 운영 사례를 살펴보고 관련 선행문헌을 분석함으로써 공학도를 위한 서비스러닝 활동 유형 중 가장 대표적인 유형인 공학설계활동과 지역사회봉사활동을 통합한 서비스러닝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 이 연구에서는 공학전공교과목과 연계하여 서비스러닝활동을 구상하기보다 서비스러닝 활동을 체계적으로 제공하기 위해 창의공학기초설계 또는 창의적사고 수업을 선수강한 학생들을 대상으로 독립된 서비스러닝 교과목을 개발하여 운영하였다. 공학설계활동중심의 서비스러닝 교수학습절차에 따라 서비스활동의 주제를 결정하고 지역사회기관과 협력해야 할 내용에 대해 정리하였다.
  • 이 연구에서는 대학생들이 예비공학자로써 사회에 기여할 수 있는 마인드를 제고하면서 공학설계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서비스러닝 교과목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공학설계중심의 서비스러닝 활동에 대한 학습자들의 만족도는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 대체로 지역사회의 장애인복지관, 장애인시설, 특수학교, 저소득층지원센터, 보육원, 사회적 기업 등과 협력하여 대학생들이 직접 사회적 약자들을 만나고 그들이 겪고 있는 애로사항을 직접 듣고 관찰한 뒤 대학생들이 해결할 수 있는 문제를 정의하고, 아이디어를 산출한 뒤 직접 프로토타입을 만들어 제공해 주는 봉사활동이다. 이 프로그램의 목적은 공학도들의 사회적 약자에 대한 인식 개선과 개념적으로 배운 공학설계지식을 실제 문제에 적용하여 해결해 보는 경험에 있다. 따라서 팀마다 설정한 문제를 해결하는 완성도가 다를 수 있고 아직 학생이라 프로젝트를 점을 완성하지 못할 수도 있다는 감안하여 사전에 협력기관과의 조율이 매우 중요하다.
  • 그 이유는 해당 기관들은 대학생들의 공학설계봉사활동이 필요하지 않거나 대학생들의 활동에 대해 지원할 만한 시간적 여유가 없다는 것이 거절의 이유였다. 이에 서로 상생적 관계를 형성할 수 있는 기관이면서 이미 다양한 유형의 봉사활동을 운영하고 있는 기관이 적절하다고 판단되어 장애인복지관 및 시설, 특수 학교 중심으로 연락하여 대학생들의 서비스러닝활동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직접 방문하여 설명하고 대학생들의 활동의 의미에 대해 심도 있게 설명하는 자리를 마련하였다. 처음에는 어렵게 4개의 기관과 협력관계를 구축하였고, 2-3차년도에는 유사한 방법으로 협력기간을 더 확보하여 전체 8개의 지역사회기관과 협력하여 서비스러닝활동을 진행하였다.
  • 다시 말해서 서비스러닝 교과목 운영 체계가 수립됨에 따라 대학마다 다양한 유형의 서비스러닝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으나 공학도를 위한 서비스러닝 교육 프로그램 운영을 안내해 줄 가이드라인에 대한 연구는 아직 미흡 하다. 이에 이 연구에서는 공학이라는 학문적 특성을 고려한 서비스러닝 유형을 정리하고 이를 실제 어떻게 적용하여 운영할 수 있는지에 대한 실천적인 가이드라인을 제공하고 교수학습절차 및 운영사례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공학전공 학생들을 대상으로 수행하고 있는 서비스러닝 교육프로그램을 분석한 선행연구에서는 공학도를 위한 서비스러닝 학습활동의 대표적인 유형으로 공학설계활동중심의 서비스러닝활동을 제안하고 있다(Astin et al.
  • 서비스러닝 교육프로그램의 학습목표가 대학에서 배운 공학설계지식과 기술을 현실세계의 문제에 적용해 봄으로써 공학설계능력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지역사회 사회적 약자들에 대한 공감을 통해 자발적 봉사활동에 대한 동기를 부여하는데 있었다. 이에 학업성취도는 교과목의 학습목표를 고려하여 공감능력과 공학설계능력을 조사하였다. 서비스러닝활동에 대한 만족도는 홍연숙(2001), 설경란(2002), 최현수(2007)의 연구에서 사용한 봉사활동만족도문항을 서비스러닝활동에 적합하게 수정하여 사용하였고 총 7문항(a =.
  • 처음에는 공학설계활동으로 봉사를 할 수 있는 기관이라 판단되는 장애인복지관, 저소득층 지원센터, 특수학교 등 중 지리적 위치가 대중교통수단을 이용하여 1시간 이내에 방문할 수 있는 곳을 중심으로 우선순위를 정하였다. 해당 기관들과 전화통화로 서비스러닝활동을 소개하고 구체적으로 협력해야 할 사항들에 대해 설명을 하였다. 그러나 처음 연락한 3개 기관에서는 참여를 거절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서울여자대학교의 학생들이 수행하는 서비스러닝은 어떠한가? 서울여자대학교에서 운영하고 있는 서비스러닝 교과목은 학생들의 학문적 기술 향상과 시민적 책임성 함양이 라는 교육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교과목과 관련 있는 봉사활동을 추가적으로 수행할 경우 1학점에 해당되는 교양학점을 이수하게 된다. 총 이수시간은 32시간이며, 이 중 봉사시간은 22시간 이상이 되어야 하고 활동시간이 부족할 경우에는 지도 교수님의 권한으로 별도의 활동으로 인정받을 수 있도록 융통성 있게 운영하고 있다. 서비스러닝 수강생들은 1주차에 기관에 배치되고, 2주차에 서비스 러닝활동에 대한 전체 오리엔테이션 교육을 받은 후 해당 기관을 방문한다.
서비스러닝의 도입 배경은? 서비스러닝은 1885년 미국의 대학 총장들이 자원봉사 결사 체인 Campus Compact를 조직하여 학생들의 학습경험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교육개혁의 일환으로 대학교육에 적극적으로 도입되었다(유숙영․서윤경, 2011). 서비스러닝은 미국을 중심 으로 중·고등교육에서 급격하게 보급되어 발전되어 왔으며, 서비스러닝이 빠르게 발전할 수 있었던 배경은 연방정부가 주도 적으로 입법을 통해 국가의 정책으로 채택함으로써 큰 발전을 가져오게 되었다(정기오․이혜진, 2011).
서비스러닝의 급성장 원인은 무엇인가? 서비스러닝은 1885년 미국의 대학 총장들이 자원봉사 결사 체인 Campus Compact를 조직하여 학생들의 학습경험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교육개혁의 일환으로 대학교육에 적극적으로 도입되었다(유숙영․서윤경, 2011). 서비스러닝은 미국을 중심 으로 중·고등교육에서 급격하게 보급되어 발전되어 왔으며, 서비스러닝이 빠르게 발전할 수 있었던 배경은 연방정부가 주도 적으로 입법을 통해 국가의 정책으로 채택함으로써 큰 발전을 가져오게 되었다(정기오․이혜진, 2011). 우리나라에서 봉사활 동을 대학교육에 접목한 시도는 1990년대 중반부터 이루어졌고, 지속적인 연구와 노력으로 점차 확대․적용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서울여자대학교(2017). 대학자율역량강화지원사업 3차년도 연차 보고서. from http://eduup.kcue.or.kr/support/supportUniv.do?projectSeq201705010000001 

  2. 설경란(2001). 대학생 자원봉사자들의 자원봉사활동 향후 지속성 예측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3. 손승남(2014). 대학 인성교육의 교수학적 고찰. 교양교육연구, 8(2), 11-41. 

  4. 양영근.정원희(2014). NCS 직업기초능력에 기반한 교양교과목 개편방향 연구. 한국교양교육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133-146. 

  5. 유숙영.서윤경(2011). 기독교대학의 봉사-학습(service-learning) 프로그램의 운영 및 평가. 기독교교육정보, 31, 185-211. 

  6. 이난주.이강현(2004). 학교중심 학생봉사활동에서 교사의 역할 수행 제고방안 연구. 한국비영리연구, 3, 45-78. 

  7. 이재성(2012). 의사소통 관련 교과목과 연계한 서비스 러닝(Service-Learning) 수업 모델 개발 연구. 인문논총, 24, 89-109. 

  8. 이주성, 정봉주(2010). 지역사회경험학습과 공학설계교육. 공학교육연구, 13(6), 180-187. 

  9. 이혜영 외(2013). 초중등 학생 인성교육 활성화 방안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연구보고서(RR2013-01) 

  10. 장정윤.이영선(2013). 정서.행동장애학생이 참여한 봉사학습 프로그램 분석. 특수교육, 12(1), 275-304. 

  11. 정기오.이혜진(2011). 학술논문 : 서비스러닝의 개념, 맥락, 비용-효과. 경제교육연구, 18(2), 185-217. 

  12. 주용국.손유미.윤여인(2002). 직업교육에 대한 산업체의 요구 및 만족도 조사. 한국직업능력개발원. 

  13. 최지은.진성희.김학일 (2018). 공학중심의 융합프로젝트 교수 학습모형의 교육적 효과. 공학교육연구, 21(1), 3-13. 

  14. 최현수(2007). 대학생 자원봉사활동 지속 결정 요인에 관한 연구: 공주지역 대학생을 중심으로. 공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5. 홍연숙(2001). 대학생의 자원봉사활동 지속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중앙대학교. 

  16. Anderson, C. S. & Witmer, J. T. (1994). Addressing school board and administrative concerns about service-learning. Democracy & Education, 9 (1), 33. 

  17. Astin, A. W., Vogelgesang, L. J., Ikeda, E. K. & Yee, J. A. (2000). How service learning affects students. Retrieved January 3, 2018, from https://digitalcommons.unomaha.edu/slcehighered/144/ 

  18. Butin, D. W. (2003). Of what use is it? multiple conceptualizations of service learning within education. Teachers College Record, 105 (9), 1674-1692. 

  19. Davis, M. H. (1980). A Multidimensional approach to individual differences in empathy. JSAS Catalog of Selected Documents in Psychology, 10, 85. 

  20. Dymond, S. K., Renzaglia, A., & Chun, E. J. (2008). Elements of high school service learning programs. Career Development for Exceptional Individuals, 31 (1), 37-47. 

  21. Furco, A. (1996). Service-learning: A balanced approach to experiential education. 

  22. Hammond, C. (1994). Integrating service and academic study: Faculty motivation and satisfaction in Michigan higher education. Michigan Journal of Community Service Learning, 1 (1), 21-28. 

  23. Hergert, L. E. (2002). Snapshots of service-learning: Factors for its integration and sustainability in school districts. Educational Horizons, 80 (4), 195-199. 

  24. Jin, S., Song, K, Shin, D, & Shin, S. (2015). A Performance-Based Evaluation Rubric for Assessing and Enhancing Engineering Design Skills in Introductory Engineering Design Courses. International Journal of Engineering Education, 31 (4), 1007-1020. 

  25. Lord, S. M. (1999). Service Learning in Introduction to Engineering at the University of San Diego: First Lessons, Frontiers in Education Conference, San Juan, Puerto Rico, November 1999. 

  26. Nelson, J. A. & Eckstein, D. (2008). A service-learning model for at-risk adolescents. Education & Treatment of Children, 31 (2), 223-238. 

  27. Reigeluth, C. M., & Frick, T. W. (1999). Formative research: A methodology for creating and improving design theories. In In CM Reigeluth (Ed.), Instructional-design theories. 

  28. Wood, S. W. (2013). Design for good: A core professional practice. Master thesis. The University of Minnesota.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