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간호대학생의 스트레스, 임상실습 스트레스, 대처, 심리적 안녕감에 관한 융합 연구
Convergence Study on Stress, Stress of Clinical Practice, Coping, and Psychological well-being in Nursing Students. 원문보기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9 no.3, 2018년, pp.91 - 99  

김은아 (동신대학교 간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대학생의 스트레스, 임상실습 스트레스, 대처, 심리적 안녕감 정도와 그 관계를 파악하여 간호대학생의 성공적인 대학생활 및 추후 간호사 생활을 지속할 수 있는 방안을 확인하고자 시도된 연구이다. 연구 대상은 임상실습을 경험한 간호대학생 242명으로, 자료수집 기간은 2015년 10월부터 11월까지 시행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21.0 program으로 ANOVA, t-test, Pearson correlation coeffient, Multiple regression analysis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문제에 직면했을 때 문제를 회피하지 않고 직접 해결하고자 할수록, 그리고 스트레스를 적게 받을수록 심리적 안녕감은 증가하며, 심리적 안녕감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변수는 문제중심 대처기제(${\beta}=.446$), 회피중심 대처기제(${\beta}=-.301$), 스트레스(${\beta}=-.281$)로 설명력은 51.0%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간호대학생들이 스트레스를 회피하기 보다는 이를 직시하고, 스스로 또는 사회적 지지체계를 이용하여 문제해결 방안을 적극적으로 간구하려는 스트레스 관리 전략을 통해 심리적 안녕감의 함양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stress, clinical practice, coping with the stress, and the degree of psychological well-being of nursing student. A descriptive research study was conducted to confirm successful university life of nursing college students and how to continue their nu...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지금까지 간호대학생의 스트레스 및 임상실습 스트레스, 대처에 대한 계속적인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으나 이들을 직접적으로 심리적 안녕감과 연계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따라서 임상실습을 경험한 간호대학생들의 스트레스, 임상실습 스트레스, 대처의 기제 및 심리적 안녕감과의 관계와 심리적 안녕감에 나머지 변수들이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파악하고, 간호대학생이 심리적 안녕감을 함양할 수 방안을 확인하여 간호대학생의 건강하고 성공적인 대학생활뿐 아니라 추후 간호사 생활을 지속하는데 이바지 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스트레스, 임상실습 스트레스, 대처,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를 파악하고 심리적 안녕감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를 확인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 연구이다.
  • 본 연구는 임상실습을 경험한 간호대학생들의 스트레스, 임상실습 스트레스, 대처의 기제 및 심리적 안녕감과의 관계와 심리적 안녕감에 나머지 변수들이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파악하고, 간호대학생이 심리적 안녕감을 함양할 수 방안을 확인하고자 하며 위의 결과에 대한 논의는 다음과 같다.
  • 즉 문제에 직면했을 때 문제를 회피하지 않고 직접 해결하고자 할수록, 그리고 스트레스를 적게 받을수록 심리적 안녕감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관련해 논의하고자 할 때 선행 연구에서 간호대학생의 심리적 안녕감에 영향을 주었던 변수들이 본 연구의 변수들과 직접적으로 비교하기에 한계가 있기에, 본 연구의 변수들과 다소 유사한 변수들과의 관계를 통해 직간접적인 논의를 하고자 한다. 먼저 간호대학생의 심리적 안녕감과 스트레스 및 대처기전에 관한 Lee[3]의 연구에서 문제중심 대처를 많이 사용하고, 스트레스가 적고, 회피중심 대처를 적게 사용 할수록 심리적 안녕감이 올라간다는 결과와 일치되며, 회피중심 대처기제가 간호대학생의 안녕감에 영향을 미치는 가장 부정적 예측 요인이라는 연구결과[36]와 일치한다.
  • Lazarus와 Folkman[22]은 스트레스 상황에 대한 개인의 지각, 대처능력에 대한 평가, 실제로 수행된 대처행동이 개인의 적응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밝혔다. 즉 스트레스 상황에서 개인이 당면한 스트레스를 어떻게 평가하고 대처하는지 그 방식에 따라 적응여부가 결정[18]된다고 볼 수 있으며, Lee[3]에 따르면 대처의 기제와 수준은 심리적 안녕감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고되기에, 본 연구에서는 스트레스 및 그 대처의 기제에 따른 심리적 안녕감의 변화정도에 대해서도 다루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간호학과 졸업생들이 양적으로는 증가하지만 간호사 부족 문제가 해결되기 어려운 이유는? 한편 우리 사회는 만성질환자 및 노인인구의 지속적인 증가상태로 간호사 부족 문제가 대두되고 있는 실정으로, 국가적 차원에서 간호학과 입학정원을 증원하여 해결하고자 하나[24], 신규간호사의 이직률이 평균 이직률의 두 배 이상 높은 실정으로[25], 아직까지 해결이 어려운 상황이다. 즉 간호학과 졸업생들이 양적으로는 증가하지만 간호사생활을 오랫동안 지속하지 못하는 안타까운 상황이 반복되고 있다는 점이 심각한 문제인 것이다.
심리적 안녕감이란 무엇인가? 최근 사회적으로 삶에 질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면서 인간의 강점, 건강한 발전 등 개인의 사회적 기능에 대한 개념인 심리적 안녕감에 대한 연구들이 이어지고 있다[1-9]. 심리적 안녕감이란 개인의 삶의 질의 구성하는 심리적 측면으로 사회의 구성원으로서 개인이 얼마나 잘 기능하고 있는 가의 기준으로 삼을 수 있는 지표[10]라 할 수 있다. 특히 고등학교에서의 수동적인 생활에서 벗어나 대학에 입학한 대학생의 경우 자신의 삶을 주체적으로 살아가야 하며, 자신의 발전 및 사회인으로 적절히 기능을 발휘해야 하며, 이러한 역량들은 심리적 안녕감의 개념과 밀접하게 관련된다[1].
간호학과 학생이 겪는 스트레스는 어떠한 것들이 있는가? 2017년 우리나라 대학생의 스트레스 원인에 대한 조사에서 학업적 부담이 1위를 차지했고, 장래문제, 경제문제, 인간관계 문제 순으로 보고되었다[15]. 특히 간호학과 학생의 경우 전문적인 지식습득을 위해 타과 학생들에 비해 많은 학점을 이수해야 하고 학업량, 시험, 임박한 과제 제출에 대한 압박감, 학업실패에 대한 두려움, 장시간의 공부 등 다양한 스트레스를 겪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16]. 이러한 높은 스트레스가 지속되는 경우 불안이나 우울을 경험하게 되고, 이는 신체적․심리적 건강 문제를 유발하게 되어 삶의 질 저하에 영향을 미칠 수 있기에[1,15], 스트레스라는 변인을 심리적 안녕감과 연계하여 고려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본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8)

  1. O. H. Lee. (2012). The influence of life stress, ego-resilience and social support on psychological well-being among college students. Korean Journal of Youth Studies, 19(1), 29-57. 

  2. S. K. Son & M. S. Kim, Y. S. Lee, H. K. Park & M. Y. Roh. (2014). The medi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and stress on optimism and psychological well-being in clinical nurses. Journal of East-West Nursing Research, 20(1), 63-71. DOI : 10.14370/jewnr.2014.20.1.63 

  3. E. S. Lee. (2016). Moderated effects of coping strategies in the relation between life stress and psychological well-being in university students.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30(3), 470-482. DOI : 10.5932/JKPHN.2016.30.3.470 

  4. J. H. Park. (2006).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dolescent's perception of stress, self-efficacy, psychological well-being and social support.. master's thesis. Sogang University, Seoul. 

  5. N. M. Kim & S. S. Kim. (2013). Mediation effects of social support and resilience between life stress and psychological well-being among korean college students. Korea Journal of Counseling. 14(2), 1125-1144. DOI : 10.15703/kjc.14.2.201304.1125 

  6. J. W. Lee. (2016). The relationship among daily stress, optimism and psychological well-being of college students. The Korean Journal of East West Science, 19(1), 1-17. 

  7. S. M. Lee & J. H. Lim. (2015). Effects of temperament and stress coping strategies on psychological well-being of adolescents. The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27(2), 121-135. 

  8. M. J. Lee & J. A. Choi. (2013). The effect of optimism on psychological well-being: stress coping strategies as a mediating variable. Korea Journal of Counseling, 14(6), 3739-3751. DOI : 10.15703/kjc.14.6.201312.3739 

  9. E. J. Shin. (2013). The influence of emotional intelligence, ego-resilience on nursing students' psychological well-being. Keimyung Journal of Nursing Science, 17(1), 1-12. 

  10. Ryff, C. D. (1989). Happiness is everything, or is it? explorations on the meaning of psychological well-being,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7(6), 1069-1081. DOI : 10.1037//0022-3514.57.6.1069 

  11. E. A. Kim & K. I, Park. (2014). Factor affecting adjustment of freshmen nursing students to college life.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20(2), 234-2434. DOI : 10.5977/jkasne.2014.20.2.234 

  12. Y. S. Kim & J. Y. Seo. (2015). Construction of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on college adaptation in nursing student.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26(5), 1439-1452. DOI : 10.7465/jkdi.2015.26.6.1439 

  13. S. M. Kang & S. H. Bae. (2015). The mediating effect of emotional intelligen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labor and psychological well-being of clinical nurses. The Journal of Muscle and Joint Health. 22(3), 185-194. OI : 10.5953/JMJH.2015.22.3.185 

  14. Y. J. Choi & Y. H. Sung. (2013). Psychological well-being, perceived health status, and health promoting behavior of clinical nurses. The Journal of Korean Nursing Administration Academic Society. 19(5), 589-598. DOI : 10.11111/jkana.2013.19.5.589 

  15. E. H. Jung. (2017. 5 .7). The first place stressing the opening of university students is 'homework'. JoongAngIlbo[Online]. http://news.joins.com/article/21450826 

  16. P. Burnard. et al. (2008). A Comparative, longitudinal study of stress in student nurses in five countries: Albania, Brunei, the Czech Republic, Malta and Wales. Nurse Education Today, 28(2), 134-145. DOI : 10.1016/j.nedt.2007.04.002 

  17. I. S. Kwon. (2002). An analysis of research on clinical nursing education. Journal of Nurses Academic Society, 32(5), 706-715. DOI : 10.4040/jkan.2002.32.5.706 

  18. S. J. Hwang. (2006). The relationship between clinical stress, self-efficacy, and self-esteem of nursing college students. The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12(2), 205-213. 

  19. N. Seyedfatemi, M. Tafreshi & H. Hagani. (2007). Experienced stressors and coping strategies among Iranian nursing students. Biomed Central Nursing, 6(11), Retrieved November, 13, 2007 from http://www.biomedcentral.com DOI : 10.1186/1472-6955-6-11 

  20. M. H. Chin, H. A. Nam & S. H. Kim. (2015). Stress of nursing college students in an area. Journal of wellness, 10(4), 129-138. 

  21. Y. J. Jang. (2006). Mental health of modern man. Seoul: Hakjisa Publishing. 

  22. R. S. Lazarus & S. Folkman. (1984). Stress, appraisal, and coping. New York: Springer Publishing. 

  23. C. M. Aldwin & T. A. Revenson. (1987). Does coping helps? A reexamination of the relation between coping and mental health.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3(2), 337-348. DOI : 10.1037//0022-3514.53.2.337 

  24. Korean Nurse Association. (2014). The number of nurses who are going backwards even if the number of enrollment increase. The Korean Nurse, 52(1), 21-22. 

  25. Hospital Nurse Association. (2016). Survey on the status of hospital nursing staff placement. Seoul. http://www.khna.or.kr/web/information/resource.php 

  26. K. K. Chon, K. H. Kim & J. S. Lee. (2000). Development of the revised life stress scale for college students.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5(2), 316-335. 

  27. E. S. Lee. (2017). Impact of life stress on depression, subjective well-being and psychological well-being in nursing students: mediation effects of coping.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8(1), 55-65. DOI : 10.5762/KAIS.2017.18.1.55 

  28. S. L. Kim. & J. E. Lee. (2005). Relationship among stress coping strategies, and self-esteem in nursing students taking clinical experience.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11(1), 98-106. 

  29. J. H. Amirkhan. (1990). A factor analytically derived measure of coping. the coping strategy indicator.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9(5), 1066-1074. DOI : 10.1037//0022-3514.59.5.1066 

  30. H. J. Shin. (2002). A validation study of coping strategy indicator(CSI) in korean university students. Seoul University, master's thesis, Seoul. 

  31. M. S. Kim. H. W. Kim & K. H. Cha. (2001). Analyses on the construct of psychological well-being(pwb) of korean male and female adults. The Korean Journal of Social and Personality Psychology, 15(2), 19-37. 

  32. H. S. Jung & K. L. Lee. (2015). Empathy and clinical practice stress in nursing student. korea Academia 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6(9), 6044-6052. DOI : 10.5762/KAIS.2015.16.9.6044 

  33. S. W. Jung, R. I. Hwang & Y. S. Lee. (2017). Satisfaction to college life and stress of clinical practice among nursing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8(4), 265-272. DOI : 10.15207/JKCS.2017.8.4.265 

  34. J. G. Lam, W. S. Wong, S. M. Mary, K. F. Lam & S. L. Pang. (2010). Psychological well-being of interns in Hong Kong: what causes them stress and what helps them. Medical Teacher, 32(3), 120-126. DOI : 10.3109/01421590903449894 

  35. G. J. Park, Y. S. Bae & K. H. Son. (2017). A convergence study on factors influencing quality of life of nursing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8(6), 65-73. DOI : 10.15207/JKCS.2017.8.6.065 

  36. C. Gibbons, M. Dempster & M. Moutray. (2011). Stress, coping and satisfaction in nursing students. Journal of Advanced Nursing, 67(3), 621-632. DOI: 10.1111/j.1365-2648.2010.05495.x 

  37. H. G. An. (2006). The relationship between stress of clinical practice and mental health in nursing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8(6), 2249-2263. 

  38. G. O. Park & Y. S. Kim. (2013). Stress of clinical practice, self-concept, mental health of nursing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15(4), 2149-216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