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대학생을 위한 융복합 생식건강증진 프로그램이 성 지식, 성 태도 및 생식건강행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Convergent Reproductive Health Promotion Program for Korean University Students on Sexual Knowledge, Sexual Attitude, and Reproductive Health Promoting Behavior 원문보기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9 no.3, 2018년, pp.145 - 152  

최원재 (삼육대학교 SMART 재활연구소) ,  박준혁 (구미대학교 물리치료학과) ,  이승원 (삼육대학교 물리치료학과) ,  임종은 (삼육대학교 물리치료학과) ,  정현철 (삼육대학교 간호학과) ,  임영숙 (삼육대학교 일반대학원) ,  한숙정 (삼육대학교 간호학과)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생식건강증진 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성 지식, 성 태도, 생식건강증진행위에 미치는 영향을 융복합적으로 알아보기 위해 실시하였다. 108명의 대학생이(평균연령 20.84세) 생식건강증진 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하였다. 생식건강증진 프로그램은 2016년 11월 9일부터 12월 7일까지 4주간 주 2회, 110분 동안 진행되었고 설문지를 통해 성 지식, 성 태도, 생식건강증진행위를 조사하였다. 결과적으로, 성 태도는 생식건강증진 프로그램을 진행한 뒤 유의하게 더 향상되었고 성 지식과 생식건강증진행위 사이에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으나(p<0.05) 성 지식과 생식건강증진행위는 유의한 변화가 없었다. 본 연구를 통해 생식건강증진 프로그램은 대학생의 성 태도를 유의하게 향상시키고 성 지식과 생식건강증진행위 사이에 상관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추후 대학생들의 생식건강증진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활용하고자 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aim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whether the reproductive health promotion program (RHPP) affect the sexual knowledge, sexual attitude, and reproductive health promoting behavior in University students. The students of 108 (mean 20.84 years) were participated in the RHPP, and this program was 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대학생들이 희망하는 교육 욕구도는 피임법이 가장 높다는 선행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피임법 교육을 포함해야 하고 대학생들의 생식 건강 교육이 8시간으로 짧았던 제한점을 반영할 필요가 있다[18]. 따라서, 본 연구는 대학생들의 생식건강을 증진시킬 수 있는 교육프로그램을 선행 연구를 기초로 하여 개발하고 성 지식과 성 태도에 미치는 효과를 입증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 본 연구는 대학생들의 성 지식, 성 태도 및 생식건강증 진행위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선행연구를 기반으로 생식 건강증진프로그램을 개발하였고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생식건강증진 프로그램을 적용하였다. 미국에서도 학교 기반 건강 프로그램(school-based healthcare)이 잘 정착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생식건강에 대한 과학적인 연구는 적은 점을 살펴볼 때[23], 생식건강의 효과에 대한 과학적인 증명은 필요하고 연구의 결과가 앞으로 진행될 생식건강증진을 위한 사업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진행하였다.
  • 본 연구는 대학생들의 성 지식, 성 태도 및 생식건강증 진행위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선행연구를 기반으로 생식 건강증진프로그램을 개발하였고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생식건강증진 프로그램을 적용하였다. 미국에서도 학교 기반 건강 프로그램(school-based healthcare)이 잘 정착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생식건강에 대한 과학적인 연구는 적은 점을 살펴볼 때[23], 생식건강의 효과에 대한 과학적인 증명은 필요하고 연구의 결과가 앞으로 진행될 생식건강증진을 위한 사업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진행하였다.
  • 본 연구는 대학생의 성 지식, 성 태도, 생식건강증진행 위를 향상시키기 위해 개발된 생식건강증진 프로그램의 효과를 입증하고 생식건강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실시하였다. 108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새로 개발된 생식건강증진 프로그램을 실시한 결과 성 태도에서 유의한 향상이 있었고(p<0.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성 태도란 무엇인가? 성 태도는 남녀의 구분 또는 남녀의 육체적 특성 등대립적인 두 개의 성이 존재하기 때문에 생기는 남녀의특성과 행동에 대해 어느 정도 일관성 있게 반응하는 경향을 말한다. 본 연구에서는 호선민 (2009)의 성 태도 도구로 측정한 점수를 의미한다[21].
성과 생식 건강을 위한 국내의 교육과 한계점은 무엇인가? 성과 생식 건강은 세계적으로 주요 관심사 중 하나이 지만 젊은 성인들은 자신의 건강에 대한 자만, 교육과 다른 사회 프로그램의 부재로 인해 무시되어 왔다[15]. 국내에서도 올바른 성 의식을 함양하기 위해 초중고 고육 과정에 다양한 성교육을 실시하도록 규정하고 있지만 입시위주의 교육체제에서 이러한 성교육 운영 및 진행이형식적이기 쉽다[16]. 실제 실태조사에 따르면 성교육을받은 청소년은 75.6%였으나, 도움이 되었다고 응답한 청소년은 33.1%로 보고되었다[17].
대학생의 정서에 영향을 미쳐 불건전한 성문화를 조장하는 요인은 무엇인가? 20세기에 들어서면서 빠른 정보화 사회로 인해 생활 전반에 변화가 발생하였고 누구나 손쉽게 성적 상품에 접근할 수 있게 되었다[3]. 공적인 관계에서 성을 금기시하는 사회적 풍토, 성교육 프로그램의 부재, 강압적인 입시 제도에 따른 스트레스, 무한경쟁에 따른 사회 스트레스와 같은 환경 요인이 대학생의 정서에 영향을 미쳐 불건 전한 성문화를 조장하고 있다[4, 5]. 입시 위주의 교육에서 벗어나는 대학 시절부터 성적활동이 활발해지고 이시기는 대학생들의 성에 대한 태도와 행동의 변화에 기점이 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4)

  1. E. J. Kim, G. M. Kim, K. W. Choi, S. S. Kim & J. Y. Lim. (2014). Gender Identity, Gender Equality, and Self Esteem of Nursing College Students.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home care nursing, 21(1), 60-68. 

  2. J. R. Choi. (2006). Sex in Adolescence and Educational Counseling. Theology and Mission, 32, 359-381. 

  3. A. J. von Rosen, F. T. von Rosen, P. Tinnemann & F. Muller-Riemenschneider. (2017). Sexual Health and the Internet: Cross-Sectional Study of Online Preferences Among Adolescents. Journal of medical Internet research, 19(11), 379. 

  4. M. H. Jo. (2004). A Study on the Recognition of University Students about Culture of Sexuality. Student Life Research, 32, 5-37. 

  5. S. H. Kim & W. C. Yoon. (2012). Sexual Consciousness and Attitude of Male University Students.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26(2), 248-257. 

  6. L. D. Lindberg, A. Sonfield & A. Gemmill. (2008). Reassessing adolescent male sexual and reproductive health in the United States: research and recommendations. American journal of men's health, 2(1), 40-56. 

  7. A. V. Marcell, S. E. Gibbs, N. A. Pilgrim, K. R. Page, R. Arrington-Sanders & J. M. Jennings. (2017). Sexual and Reproductive Health Care Receipt Among Young Males Aged 15-24. The Journal of adolescent health : official publication of the Society for Adolescent Medicine. 

  8. J. A. Kim & J. Y. Lee. (2014). Analysis of Actual Condition and the Related Predicting Factors for Sexual Experience of University Students in Korea. Korean public health research, 40(3), 71-80. 

  9. K. R. Shin, H. J. PARK, K. E. Bae & C. Y. Cha. (2010). Sexual Behavior, Health Risk Behaviors Related to Reproductive Health, and Sexual Experiences among Korean College Students.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Adult Nursing, 22(6), 624-633. 

  10. KCDC. http://www.cdc.go.kr/CDC/main.jsp:[ 

  11. G. R. Donenberg, R. Paikoff & W. Pequegnat. (2006). Introduction to the special section on families, youth, and HIV: family-based intervention studies. Journal of Pediatr Psychol, 31(9), 869-873. 

  12. A. M. Karim, R. J. Magnani, G. T. Morgan & K. C. Bond. (2003). Reproductive health risk and protective factors among unmarried youth in Ghana. International family planning perspectives, 29(1), 14-24. 

  13. O. Oladepo & M. M. Fayemi. (2011). Perceptions about sexual abstinence and knowledge of HIV/AIDS prevention among in-school adolescents in a western Nigerian city. BMC public health, 11, 304. 

  14. V. Durongritichai. (2012). Knowledge, attitudes, self-awareness, and factors affecting HIV/AIDS prevention among Thai university students. The Southeast Asian journal of tropical medicine and public health, 43(6), 1502-1511. 

  15. P. M. Godia, J. M. Olenja, J. A. Lavussa, D. Quinney, J. J. Hofman & N. van den Broek. (2013). Sexual reproductive health service provision to young people in Kenya; health service providers' experiences. BMC health services research, 13, 476. 

  16. G. S. Jeon, H. Y. Lee & S. J. Rhee. (2004.) Sexual Knowledge, Attitudes and Behaviors of Korea College Students and Effects of Sexual Education on Sexual Knowledge and Attitudes. Korean Journal of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21(1), 45-68. 

  17. G. Y. Kim & J. L. Oh. (2014). A Study of on the Sexual Knowledge, Sexual Consciousness and Values of University Student. The Korean society for school & community health education, 15(1), 1-13. 

  18. K. R. Shin, H. J. Park, & C. M. Hong. (2010). Effects of an Educational Program about Reproductive Health Promotion on Sexual Knowledge and Attitudes of University Students from Korea.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Adult Nursing, 22(4), 448-456. 

  19. K. S. Koh. (2014). Mediating effects of birth control knowledge in relation to effects of high schoolers' birth control self-efficacy on birth control attitude, Masters thesis. Jeju National University, Jeju. 

  20. G. H. Woo. (2011). Sexual knowledge, attitude and sexual behavior of Univeristy students. Masters thesis, KongJu National University, KongJu. 

  21. S. M. Ho. (2009). Sexual Knowledge, Attitude and Sexual Behavior of the University Students. Masters thesis, Hanyang University, Seoul. 

  22. H. Y. Jo, Y. H. Kim & H. M. Son. (2014). Development of a Scale to Measure Reproductive Health Promoting Behavior of Undergraduates. Korean Journal of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31(5), 29-43. 

  23. A. J. Mason-Jones, C. Crisp, M. Momberg, J. Koech, P. De Koker & C. Mathews. (2012). A systematic review of the role of school-based healthcare in adolescent sexual, reproductive, and mental health. Systematic reviews, 1, 49. 

  24. H. R. Kim & H. W. Lee. (2006). Sex Knowledge of Korean Soldiers and Their Need for Sex Education. Korean journal of family social work, 18, pp.77-104. 

  25. Byeon In Jeong & J. Y. Guk (2012). The Effects of Sexuality Reporting and Sexuality Exposure on Sexual Affect, Cognition, and Intention of Male College Students. Media & performing arts, 7(3), 30-62. 

  26. L. Berkowitz. (1984). Some effects of thoughts on anti- and prosocial influences of media events: a cognitive-neoassociation analysis. Psychological bulletin, 95(3), 410-427. 

  27. C. A. Anderson, L. Berkowitz, E. Donnerstein, L. R. Huesmann, J. D. Johnson, D. Linz, N. M. Malamuth & E. Wartella. (2003). The Influence of Media Violence on Youth. Psychological science in the public interest : a journal of the American Psychological Society, 4(3), 81-110. 

  28. J. S. Sim. (2016). The Study on Sexual Knowledge, Contraception Knowledge and Sexual Permissiveness in Health Department College Students. Asia-pacific journal of multimedia services convergent with art, humanities, and sociology, 6(8), 1-14. 

  29. S. C. Sung & Y. C. Lin. (2013). Effectiveness of the sexual healthcare education in nursing students' knowledge, attitude, and self-efficacy on sexual healthcare. Nurse education today, 33(5), 498-503. 

  30. G. M. Mounir, N. H. Mahdy & I. M. Fatohy (2003). Impact of health education program about reproductive health on knowledge and attitude of female Alexandria University students. The Journal of the Egyptian Public Health Association, 78(5-6), 433-466. 

  31. Y. S. Kang, & H. N. Hwang, (2017). A Study on Sexual Knowledge, Sexual Attitudes, and Reproductive Health Promoting Behaviors in Male and Female College Students. Journal of East-West Nursing Research, 23(1), No.1, 9-17. 

  32. S. H. An, I. S. Park, J. S. Han, T. I. K. Kim, M. S. Kwak & H. S. Chung. (2008). Health Behaviors, Reproductive Health History, and Sexual Behaviors of College Students.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14(3), 205-212. 

  33. M. S. Kim & Y. S. Eo. (2015). A Study on Rreproductive Health Promoting Behavior among Male and Female Uundergraduate Students of One University. Journal of East-West Nursing Research, 21(2), pp.140-147. 

  34. V. Mevsim, D. Guldal, T. Gunvar, O. Saygin & E. Kuruoglu. (2009). Young people benefit from comprehensive education on reproductive health. The European journal of contraception & reproductive health care : the official journal of the European Society of Contraception, 14(2), 144-15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