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에 대한 신속 항원 검출 검사 검출한계의 융합적 분석
Fusion Analytical Sensitivity of Rapid Influenza Antigen Limit of Detection Tests for Human Influenza virus 원문보기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9 no.3, 2018년, pp.165 - 171  

송창섭 (동남보건대학교 임상병리과) ,  성현호 (동남보건대학교 임상병리과) ,  김정현 (경복대학교 임상병리과) ,  김대은 (경복대학교 임상병리과) ,  박창은 (남서울대학교 임상병리학과 분자진단연구소) ,  윤중수 (경동대학교 임상병리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논문은 국내 인플루엔자 신속항원검사키트의 민감도검출한계를 분석하기위하여 국내 시판중인 인플루엔자 신속항원검사키트 5종을 대상으로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A형과 B형 배양액을 연속 희석하여 양성 검출 한계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A형의 육안측정결과는 웰스바이오 제품은 1:8192까지, II제품은 1:4096까지, I과 III제품은 1:512까지, IV제품은 1:128에서만 양성이 확인되었고, B형 육안측정결과는 웰스바이오 제품이 1:8192까지, II제품은 1:4096까지, I, III, IV제품의 경우 1:1024까지 양성이 확인되었다. 같은 검체의 기기 판독의 경우 A형, B형 모두 웰스바이오 제품이 1:8192까지, II제품이 1:4096까지, I제품은 1:2048까지 양성으로 확인되었다. 인플루엔자 신속항원검사의 민감도는 환자의 검체 채취부위 및 감염기간, 검체의 양 등에 따라 많은 차이가 있으므로, 검체의 채취시기 및 방법 등을 정확하게 준수해야할 것이며, 신속항원검사 키트의 민감도를 높이기 위한 다각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to analyze the detection of limit for sensitivity of the influenza rapid antigen test kit, the positive detection of limits were analyzed by serial dilution of influenza virus A and B type for five influenza rapid antigen test kits in Korea. As a result of analysis, visual measuremen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나 환자의 검체를 이용할 경우 여러 종류의 신속항원검사를 검증하기 위해서는 한 환자에게서 많은 양의 검체를 채취하여야 하는데 이 또한 검체의양을 확보하기 쉽지 않으며 환자의 고통이 따르는 문제가 있다. 본 연구에서도 여러 종류의 RIDT의 민감도를 동시에 검증하기 위해서 한 환자의 시료를 충분히 채취하기 어렵기 때문에 동일한 양의 바이러스 배양액을 배수 연속 희석하여 검출한계를 분석하였다. 검출한계란 분석대상 물질을 함유한 시료를 분석하였을 때 신뢰성 있게 검출될 수 있는 최소량의 분석대상물질을 말한다[25].
  • 국내외의 연구에서도 대부분의 연구가 RIDT와 Real-time RT-PCR과의 민감도와 특이도를 비교하거나 또는 검사 시기에 따른 민감도의 비교 등에 국한되어 있으며 여러 종류의RIDT에 대한 민감도와 특이도 비교는 연구가 거의 없다[8,15,20,21,23].이러한 배경으로, 본 연구는 국내 유통되고 있는 RIDT 5종을 대상으로 동일한 양의 바이러스 배양액을 연속 희석하여 RIDT의 검출한계(limit of detection)를 측정하여 분석 감도를 비교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RIDT의 장점은 무엇인가? 또한 중합효소연쇄반응(Real-time RT-PCR)법 역시 바이러스 검출의 민감도는 매우 높으나 검사과정이 복잡하고 검사 소요시간이 길어 진단이 늦어지는 단점이 있다[8]. 반면 인플루엔자 신속항원검사는 짧은 시간에 인플루엔자의 감염여부를 확인할 수 있고 가격이 저렴한 장점이 있어 실제 임상에서 유용한 경우가 많으나[9,10], 바이러스 배양(viral culture)방법이나 중합효소연쇄반응(Real-time RT-PCR)법에 비해 민감도가 떨어지는 단점이 있어 그 유용성에 대한 논란이 있어왔다[11-14]. 따라서 국내외 많은 개발자들이 인플루엔자 신속항원검사의 민감도를 높이기 위해 노력해 왔으며 최근에는 수 십 종의 인플루엔자 신속항원검사키트를 개발하여 많은 의료기관에서 인플루엔자의 조기 진단에 사용하고 있다[15].
인플루엔자의 감염여부를 확인하는 방법에는 무엇이 있는가? 사람에게 감염을 일으키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는 A형, B형이 있으며, 발생 빈도가 높은 A형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는 표면항원의 종류에 의해 Hemaglutintne(H1~H16)과 Neuraminase(N1~N9)의 아형이 결정되고 B형의 경우는 아형이 없다[1-3]. 인플루엔자의 감염여부를 확인하는 방법으로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진단의 표준 검사법인 바이러스 배양(viral culture)방법이나 면역형광법(immunofluoresce–nce) 또는 실시간 중합효소연쇄반응(Real- timeRT-PCR) 검사가 있으며 항원을 검출하는 항체 기반의 면역 크로마토그래피법인 인플루엔자 '신속항원검사(Rapid Influenza Diagnostic Test; RIDT)'가 사용되고 있다[4]. 바이러스 배양(viral culture)방법은 검사 소요시간이 길고 배양 방법이 까다로워 진단이 늦어지는 단점이 있으며, 면역형광법 역시 빠른 결과를 얻기 쉽지 않다.
바이러스 배양 방법의 단점은 무엇인가? 인플루엔자의 감염여부를 확인하는 방법으로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진단의 표준 검사법인 바이러스 배양(viral culture)방법이나 면역형광법(immunofluoresce–nce) 또는 실시간 중합효소연쇄반응(Real- timeRT-PCR) 검사가 있으며 항원을 검출하는 항체 기반의 면역 크로마토그래피법인 인플루엔자 '신속항원검사(Rapid Influenza Diagnostic Test; RIDT)'가 사용되고 있다[4]. 바이러스 배양(viral culture)방법은 검사 소요시간이 길고 배양 방법이 까다로워 진단이 늦어지는 단점이 있으며, 면역형광법 역시 빠른 결과를 얻기 쉽지 않다. 그리고 검사과정과 판독에 고도의 기술과 실험실이 요구된다[5-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S. Y. Ryu. (2017). Influenza, The Korean Journal of Medicine, 92(6), 494-498. DOI: https://doi.org/10.3904/kjm.2017.92.6.494 

  2. P. F. Wright, G. Neumann & Y. Kawaoka. (2007). Orthomyxoviruses. In: D. M. Knipe, P. M. Howley, editors. Fields virology, 5th ed. Philadelphia: Wolters Kluwer Health/Lippincott, Williams and Wilkins; 1691-1740. 

  3. J. W. Choi, H. J..Cho, H. M..Kim & S. Hahn. (2014). Clinical and Laboratory Findings of the 2012 Winter Seasonal Influenza A and B.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21, 1-8. DOI:http://dx.doi.org/10.14776/kjpid.2014.21.1.1 

  4. C. S. Lee. (2010). The Diagnosis and Treatment of Influenza. The Journal of the Korean Medical Association, 53(1), 43-51. 

  5. L. J. Elden, G. A. Essen, C. A. Boucher, A. M. Loon, M. Nijhui & P. Schipper, et al. (2001). Clinical diagnosis of influenza virus infection : evaluation of diagnostic tools in general practice. British Journal of General Practice, 51, 630-34. 

  6. K. H. Chan, N. Maldeis, W. Pope, A. Yup, A. Ozinskas & J. Gill, et al. (2002). Evaluation of the Directigen Flu A+B test for rapid diagnosis of influenza virus type A and B infections. Journal of Clinical Microbiology, 40, 1675-1680. 

  7. A. Ruest, S. Michaud, S. Deslandes & E. H Frost. (2003). Comparison of the Directigen Flu A+B test, the QuickVue influenza test, and clinical case definition to viral culture and reverse transcription-PCR for rapid diagnosis of influenza virus infection", Journal of Clinical Microbiology, 41, 3487-493. 

  8. J. H. Song, J. S. Park, Y. J. Choi, H. L. Kim, H. S. Nam & Y. B. Kim. (2009). Clinical Utility of Rapid Influenza Antigen Test. Journal of Soonchunhyang Medical Science, 15(1), 125-132. 

  9. C. G Grijalva, K. A. Poehling, K. M. Edwards, G. A. Weinberg, M. A. Staat & M. K. Iwane, et al. (2007). Accuracy and interpretation of rapid influenza tests in children. Pediatrics, 119, 6-11. 

  10. A. Kwon, J. S. Kim, H. S. Kim, W. Song, J. Y. Park, H & C. Cho, et al. (2010). Comparison of rapid antigen test and real-time reverse transcriptase PCR for diagnosing novel swine influenza A(H1N1). Korean Journal of Clinical Microbiology, 13, 109-113. 

  11. S. Vasoo, J. Stevens & K. Singh. (2009). Rapid antigen tests for diagnosis of pandemic (Swine) influenza A/H1N1. Clinical Infectious Diseases, 49, 1090-1093. 

  12.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09). Evaluation of rapid influenza diagnostic tests for detection of novel influenza A (H1N1) virus-United States. Morbidity and Mortality Weekly Report, 58, 826-829. 

  13. J. F. Drexler, A. Helmer, H. Kirberg, U. Reber, M. Panning, M. Muller, K. Hofling, B. Matz, C. Drosten & A. M. Eis-Hubinger. (2009). Poor clinical sensitivity of rapid antigen test for influenza A pandemic (H1N1) 2009 virus. Emerging Infectious Diseases, 5, 1662-1664. 

  14. D. J Faix, S. S Sherman & S. H. Waterman. (2009). Rapid-test sensitivity for novel swine-origin influenza A(H1N1) virus in humans. The 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 361(7), 728-729. 

  15. J. S. Kim, H. J. Choi, Y. M. Ahn & Y. O. Hwang. (2005). Clinical Usefulness of Rapid Antigen Test on the Diagnosis of Influenza. Korean Journal of Pediatrics, 48(12), 1348-1353. 

  16. D. H. Kwon, K. C. Shin, M. H. Kwon, H. B. Oh, C. Kang & J. Y. Lee. (2011).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a Rapid Influenza Diagnostic Test for the Pandemic (H1N1) 2009 Influenza Virus. Journal of Clinical Microbiol, 49(1), 437-438. 

  17. H. J. Lee. (2012). Rapid diagnostic tests for influenza. Public health weekly report, KCDC, 5(8), 137-145. 

  18. J. Y. Lee, S. Lee, H. S. Kim & K. N. Kim. (2017). The Efficacy of Rapid Antigen Tests for Detection of Seasonal Influenza Virus.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24(1), 31-36. 

  19. H. Wang, S. Guo, Z. Li X. Xu, Z. Shao & G. Song. (2017). Suspension culture process for H9N2 avian influenza virus (strain Re-2). Archives of Virology, 162(10), 3051-3059 

  20. M. J. Park, H. S. Kim, Y. K. Lee & H. J. Kang, J. S. Kim, W. K. Song, K. M. Lee. (2012). Comparison of Rapid Antigen Test and Real-Time Reverse. Journal of Laboratory Medicine and Quality Assurance, 34, 93-97. 

  21. Y. K. Kim, H. Y. Kim, U. Uh & J. K. Chun. (2010). Detection Rate of Rapid Antigen Test for Pandemic Influenza A (H1N1 2009). Infection & Chemotherapy, 42(2), 95-98. 

  22. W. G. Lee, H. K. Lee, H. J. Kim, J. K. Chung, E. H. Lee & H. R. Moon. (2004). Evaluation of a Rapid Antigen Test for Detection of Influenza Virus. Korean Journal of Clinical Microbiology, 7(2), 119-123. 

  23. B. K. Lee, J. K. Ju, B. S. Choi, S. G. Jung, J, A. Jung & H. J. Yun. (2012). Usefulness of Influenza Rapid Antigen Test in Influenza A (H1N1). Allergy Asthma & Respiratory Disease, 22(1), 71-77. 

  24. J. Y. Lee, S. Lee, H. S. Kim & K. N. Kim, (2017) The Efficacy of Rapid Antigen Tests for Detection of Seasonal Influenza Virus.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24(1), 31-36. 

  25. S. R. Ryu, J. H. Shin, S. Y. Baek, J. O. Kim & K. I. Min, at al. (2003). Evaluation of Limit of Cetection and Range of Quantitation for RT-PCR, Real-Time RT-PCR and RT-PCR-ELISA Detection of Bovin Viral Diarrhoea Virus Contamination in Biologics Derived from Cell Cultures. Journal of Bacteriology and Virology, 33(2), 161-16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