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소 단어 이상 선택하여야 합니다.
최대 10 단어까지만 선택 가능합니다.
다음과 같은 기능을 한번의 로그인으로 사용 할 수 있습니다.
NTIS 바로가기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8 no.3, 2018년, pp.19 - 33
황혜선 (성균관대학교 소비자가족학과) , 김지혜 (한국리서치 여론조사본부) , 김기옥 (성균관대학교 소비자가족학과)
Collaborative consumption was suggested as a new paradigm of consumption and business model that focuses on sharing and using resources to reduce the risks of resource depletion and environmental impact. Individual consumers carry out a role not only as users but also as providers for collaborative ...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핵심어 | 질문 |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
---|---|---|
협력적 소비를 활성화하기 위한 방안은? | 이는 소비자가 협력적 소비에 참여하는 데 주변 사람들의 지지와 자신의 능력에 대한 인식이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함을 의미한다. 따라서 협력적 소비를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협력적 소비에 대한 소비자의 긍정적 태도를 형성하고 협력적 소비의 필요성에 대한 사회적 공감대를 형성할 수 있는 커뮤니케이션 전략이 필요하다. | |
협력적 소비에 의미는? | 협력적 소비는 소비에 공유 패러다임을 적용하여 자원고갈과 환경오염 문제를 완화할 수 있는 대안적 소비방식이자 공유경제 시스템 내에서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는 비즈니스모델로서 의미가 있다. 협력적 소비에 참여하는 개인은 자신의 것을 공유하는 제공자가 되기도 하며 공유된 것을 사용하는 사용자가 되기도 한다. | |
협력적 소비가 소득이 낮은 집단의 소비 방식으로 활용될 수 있는 이유는 무엇인가? | 협력적 소비는 최근 온라인 미디어를 중심으로 활성화되고 있다는 점에서 인터넷을 자유롭게 활용하고 협력적 소비에 대한 정보를 교환하는 능력을 갖추는 것이 필요하다. 특히 유휴자원의 공유를 통해 소유가 아닌 사용 중심의 소비방식으로 전환함으로써 소비자에게 더 많은 소비욕구를 효율적으로 충족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여 상대적으로 소득이 낮은 집단이 자신의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경제적이고 실용적인 소비 방식으로 활용될 수 있다. 따라서 소득이 적은 집단이 협력적 소비를 통해 효율적인 소비생활을 할 수 있도록 협력적 소비를 실천하는 데 필요한 지식과 능력을 높임 으로써 이들의 소비생활복지를 향상시키는 의의가 있을 것이다. |
L. Lessig, Remix: Making Art and Commerce Thrive in the Hybrid Economy, New York: Penguin Press, 2008.
R. Botsman and R. Rogers, What's Mine is Yours: The Rise of Collaborative Consumption, London: HarperCollins, 2010.
M. Felson and J. L. Spaeth, "Community Structure and Collaborative Consumption: A Routine Activity Approach," American Behavioral Scientist, Vol.21, No.4, pp.614-624, 1978.
권애라, "서울, 공유 경제를 만나다" 기념 연구 보고서, 크라우드산업연구소, 2013.
R. Belk Russell, "Why not share rather than own?," The Annals of the American Academy of Political and Social Science, Vol.611, No.1, pp.126-140, 2007.
강현숙, 제형준, 박선, "공유경제와 도시산업," 대한지방행정공제회, 제48권, 제54호, pp.32-36, 2013.
권영용, "공유경제와 도시생활," 대한지방행정공제회, 제48권, 제540호, pp.8-9, 2013.
김동한, "IT와 新소비 문화의 만남, '공유 경제 (Sharing Economy)'," 한국방송통신전파진흥원, 제67권, 제1호, pp.33-45, 2013.
이봉형, "공유경제의 시작, 카 셰어링," 대한지방행정공제회, 제48권, 제540호, pp.22-26, 2013.
최열, "공유경제에서 시작한 하우징 셰어링," 대한지방행정공제회, 제48권, 제540호, pp.22-26, 2013.
N. A. John, "Sharing and Web 2.0: The Emergence of A Keyword," New Media & Society, Vol.15, No.2, pp.167-182, 2013.
김점산, "이슈&진단, 공유경제의 미래와 성공 조건," 경기개발연구원, 제134권, 제1호, pp.1-25, 2014.
J. Rifkin, The Age of Access: The New Culture of Hypercapitalism Where All of Life is a Paid for Experience, New York: Penguin, 2000.
김가연, 김흥규, "협력적 소비, 공유경제 서비스 모델에 관한 소비자 선호 유형 연구," 한국주관성연구학회, 제27권, pp.23-40, 2013.
변미리, "공유경제와 사회 변동," 대한지방행정공제회, 제48권, 제540호, pp.27-31, 2013.
장영화, 예비 공유경제 기업인/활동가를 위한 공유경제 시작학교, 서울: 공유허브, 2013.
김형균, 오재환, 도시재생 소프트전략으로서 공 유경제 적용방안, 부산발전연구원, 2013.
M. Flat and S. M. H. V. D. Fehr, The Motivation Factors of Non-ownership Consumption (Master's thesis), 2012.
S. Moeller and K. Wittkowski, "The Burdens of Ownership: Reasons for Preferring Renting," Marketing Service Quality, Vol.20, No.2, pp.176-191, 2010.
S. J. Lawson, Forsaking ownership: Three Essays on Non-ownership and Alternative Forms of Exchange,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Florida State University, College of Business. Florida, USA, 2011.
J. Hamari, M. Sjoklint, and A. Ukkonen, "The Sharing Economy: Why People Participate in Collaborative Consumption," Journal of the Association for Information Science and Technology, Vol.67, No.9, pp.2047-2059, 2016.
M. Matzner, F. Chasin, and L. Todenhofer, "To Share or Not to Share: Towards Understanding the Antecedents of Participation in IT-enabled Sharing Services," Twenty-Third European Conference on Information Systems, Munster, Germany, 2015.
P. van de Glind, "The consumer potential of Collaborative Consumption," Research MSc in Sustainable Development-Environmental Governance Faculty of Geosciences, Utrecht University, Netherlands August, 2013.
J. F. Durgee and G. Colarelli O'Connor, "An Exploration Into Renting as Consumption Behavior," Psychology and Marketing, Vol.12, No.2, pp.89-104, 1995.
J. Bendell and A. Kleanthous, Deeper luxury: Quality and style when the world matter, 2007.
M. Fishbein and I. Ajzen, Belief, Attitude, Intention, and Behavior: An Introduction to Theory and Research, MA: Addison-Wesley, 1975.
I. Ajzen, Attitudes, Personality, and Behavior, Chicago: Dorsey Press, 1988.
I. Ajzen and T. J. Madden, "Prediction of Goal-directed Behavior: Attitudes, Intentions, and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Journal of Experimental Social Psychology, Vol.22, pp.453-474, 1986.
L. Gansky, The Mesh: Why the Future of Business is Sharing, New York: Penguin Group, 2012.
A. Kaplan and M. Haenlein, "Users of the World, Unite! The Challenges and Opportunities of Social Media," Business Horizons, Vol.53, No.1, pp.59-68, 2010.
G. Ritzer, "Prosumption: Evolution, Revolution, or Eternal Return of the Same?," Journal of Consumer Culture, Vol.14, No.1, pp.3-24, 2014.
R. Batra and O. T. Ahtola, "Measuring the Hedonic and Utilitarian Sources of Consumer Attitudes," Marketing Letters, Vol.2, No.2, pp.159-170, 1991.
R. Chitturi, R. Raghunathan, and Y. Mahajan, "Delight by Design: The Role of Hedonic Versus Utilitarian Benefits," Journal of Marketing, Vol.72, No.3, pp.48-63, 2009.
R. Dhar and K. Wertenbroch, "Consumer Choice Between Hedonic and Utilitarian Goods,"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Vol.37, No.1, pp.60-71, 2000.
I. Ajzen, "Constructing a TpB Questionnaire: Conceptual and Methodological Considerations," http://people.umass.edu/ajzen, 2002.
P. A. Albinsson and B. Yasanthi Perera, "Alternative Marketplaces in the 21st Century: Building Community Through Sharing Events," Journal of Consumer Behaviour, Vol.11, No.4, pp.303-315, 2012.
강응구, 김영한, 김광용, "스마트폰 이용동기와 활용능력이 스마트패드 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연구," 한국 IT 서비스학회지, 제11권, 제2호, pp.1-23, 2012.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원문 PDF 파일 및 링크정보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KISTI DDS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원문복사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