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공유경제 서비스의 이용의도에 관한 실증 연구
An Empirical Study on Intention of the Sharing Economy Services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9 no.3, 2019년, pp.183 - 196  

조연수 (충남대학교 대학원 경영학과) ,  정용길 (충남대학교 경영학부)

초록

오늘날 소비는 재화의 소유권을 획득하는 것으로 인식되었던 것에서 점차 벗어나면서 재화를 구매하여 소유하는 대신 일시적으로 접근하고 이용하기 위해 비용을 지불하는 방식으로 변하고 있다. 이렇게 소유하지 않고 사용하는 경제활동을 공유경제라고 하며 이는 기본적으로 한 번 생산된 제품, 서비스 등의 자원을 많은 사람과 함께 나누어 사용하는 방식으로써 현재 전 세계에서 주목받고 있는 경제 패러다임이다. 본 연구는 공유경제 서비스의 성공요인을 이용의도로 규정하고, 유용성, 즐거움, 위험성을 공유경제 서비스의 특성으로 제시하여 이러한 특성이 소비자의 태도와 신뢰에 미치는 영향과 태도와 신뢰가 공유경제 서비스 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고자 하였다. 이들 변수를 기초로 하여 8개의 연구 가설이 설정되었다. 자료는 인터넷 설문을 통해 수집하였다. 표본 크기는 250개이고, SPSS와 AMOS를 이용하여 통계분석을 하였다. 분석 결과 유용성은 태도에, 즐거움은 태도와 신뢰에, 위험성은 신뢰에 유의한 영향을 주고, 태도와 신뢰는 이용의도에 의미 있는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유용성은 신뢰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고, 위험성은 태도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Economy is transforming from the ownership of goods and services to the use or sharing of ideas, goods and services these days. This is called as 'sharing economy', it has attracted as a economic paradigm a great deal of attention in recent year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influen...

주제어

표/그림 (6)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공유 서비스 이용의도를 종속변수로 하고 이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 서비스 공유경제의 특징변수인 유용성, 즐거움, 위험성을 독립변수로 설정하고자 한다. 또한 태도와 신뢰라는 개념을 모형에 포함하여 이들이 공유경제 서비스 이용의도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를 파악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최근 많은 이슈가 되고 있는 공유경제 서비스의 특징적 요인인 유용성, 즐거움, 위험성 등이 소비자의 태도 및 신뢰에 어떤 영향을 미치고, 이들 태도와 신뢰가 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공유경제 서비스의 이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공유경제 서비스의 이용의도를 종속변수로 설정하고, 공유경제 서비스 속성들을 독립변수로 설정하였다.

가설 설정

  • 가설 1: 공유경제 서비스에 대한 유용성을 높게 지각할수록 공유경제에 대해 긍정적 태도를 가질 것이다.
  • 가설 2: 공유경제 서비스에 대한 유용성을 높게 지각할수록 공유경제에 대해 신뢰성을 높게 가질 것이다.
  • 가설 3: 공유경제 서비스에 대한 즐거움을 높게 지각할수록 공유경제에 대해 긍정적 태도를 가질 것이다.
  • 가설 4: 공유경제 서비스에 대한 즐거움을 높게 지각할수록 공유경제에 대해 신뢰성을 높게 가질 것이다.
  • 가설 5: 공유경제 서비스에 대한 위험성을 높게 지각할수록 공유경제에 대해 부정적 태도를 가질 것이다.
  • 가설 6: 공유경제 서비스에 대한 위험성을 높게 지각할수록 공유경제에 대해 신뢰성을 낮게 가질 것이다.
  • 가설 7: 공유경제 서비스에 대한 태도가 호의적일수록 이용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 가설 8: 공유경제 서비스에 대한 신뢰는 이용 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 셋째, 본 모형에서는 유용성, 즐거움, 위험성이 태도와 신뢰에 영향을 미치고, 다시 이것이 이용의도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 생각하여 가설을 설정하였다. 그러나 태도와 신뢰가 매개의 역할로 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력이 유용성 등의 변수가 이용의도에 직접 영향을 미치는 것보다 영향력이 있을 것이라는 검증을 포함시키지 않아, 향후 신뢰 및 태도 두 변수를 매개변수로 한 가설을 설정하여 좀 더 세밀한 연구를 할 필요성이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IT 기반 서비스의 확산이 공유경제에 미친 영향은 무엇인가? IT 기반 서비스의 확산으로 공유경제를 보다 쉽고 안전하게 이용할 수 있는 생태계가 마련되었고, 모바일기술의 발전 및 확대로 수요자와 공급자 간의 시간적·공간적 거리가 단축되면서 공유경제가 확산하게 되었다. 특히, 2000년대 미국에서 시작된 세계 경제위기로 구매력이 저하됨에 따라 새로운 제품의 구매보다는 함께 소비하는 것에 대한 요구가 높아지면서 공유경제가 관심을 끌기 시작했다.
공유경제란 무엇을 의미하는가? 이렇듯 오늘날 소비는 재화의 소유권을 획득하는 것으로 인식되었던 것에서 벗어나 재화를 일시적으로 이용하기 위해 비용을 지불하는 방식으로 변하고 있다. 이렇게 소유하지 않고 함께 사용하는 경제활동을 간단하게 표현한 것이 ‘공유경제(Sharing Economy)’이다[2].
인터넷 시대는 소유에 대한 생각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가? 그러나 인터넷 시대가 열리면서 사람들의 생각이 바뀌었다. 어떤 물건을 이용하기 위한 최선의 방법은 그 물건이나 서비스를 구매해 소유권을 독점하는 것이 아니라, 잠시만 이용하거나 타인과 함께 이용하는 방법으로 서로 돕고 나누는 방식에 주목하게 된 것이다. 다시 말해 현대의 소비자들은 ‘재화의 소유’가 아닌 ‘소비 생활양식’에 관심을 갖기 시작했다[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2)

  1. 이하나, 성부영, 황혜선, "대학생 소비자의 공유경 제서비스 참여의도에 관한 탐색적 연구," 생활과학논총, 제20권, 제1호, pp.169-181, 2016. 

  2. 마화텅, 장샤오롱, 쑨이, 공유경제, 열린책들, 양성희 옮김, 2018. 

  3. F. Bardhi and G. W. Eckhardt, "Access-based Consumption: The Case of Car Sharing," J. of Consumer Research, Vol.39, No.4, pp.881-898, 2012. 

  4. R. Vaughan and J. Hawksworth, The Sharing Economy: How will It Disrupt Your Business. Megatrends: the Collisions, London: Price Waterhouse & Cooper, 2014. 

  5. 나승권, 김은미, 최은혜, 국제사회의 공유경제 추진현황과 시사점,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7. 

  6. L. Lessig, Remix: Making Art and Commerce Thrive in the Hybrid Economy, London : Penguin Book, 2008. 

  7. 김경호, "4차 산업시대를 열어가는 공유경제 서비스," 지속가능과학회학술대회, pp.137-139, 2016. 

  8. 박문수, 김천곤, 고대영, 이동희, 이순학, 공유경제 활성화를 통한 서비스업 성장전략, 산업연구원, 2016. 

  9. R. Botsman and R. Rogers, What's Mine Is Yours: The Rise of Collaborative Consumption, New York: Harper Collins, 2010. 

  10. J. Owyang, A. Samuel, and A. Grenville, Sharing is the New Buying: How to Win in the Collaborative Economy, Vision Critical, Crowd Companies, 2014. 

  11. 김한범, 김용희, 장미호, 최정일, "소셜네트워크 서비스의 기능적 속성과 개인의 심리적 동기요인이 사용자의 정보 공유 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IT서비스학회지, 제12권, 제4호, pp.145-164, 2013. 

  12. 박홍석, 공유경제 서비스의 지각된 위험과 가치, 신뢰, 그리고 이용의도간의 관계 연구: 카쉐어링 서비스를 대상으로, 숭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15. 

  13. I. Ajzen and M. Fishbein, Understanding Attitudes and Predicting Social Behavior, Englewood Cliffs, NJ: Prentice-Hall. 1980. 

  14. 전현규, 김민용, "잠재적 경쟁상황에서 지식공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경영교육연구, 제28권, 제4호, pp.553-582, 2013. 

  15. 현경석, 서비스의 물리적 환경, 고객 가치, 행동 의도의 구조적 관계에 관한 연구: 제주지역 특1급 호텔을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9. 

  16. 이승신, "소비자의 공유경제 서비스 이용태도 및 이용의도에 대한 연구,"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제55권, 제2호, pp.105-124, 2017. 

  17. M. Igbaria, T. Guimaraes, and G. B. Davis, "Testing the Determinants of Microcomputer Usage via a Structural Equation Model," J. of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s, Vol.11, No.4, pp.87-114, 1995. 

  18. E. Karahanna, D. W. Straub, and N. L. Chervany, "Information Technology Adoption Across Time: A Cross-Sectional Comparison of Pre-Adoption and Post-Adoption Beliefs," MIS Quarterly, Vol.23, No.2, pp.183-213, 1999. 

  19. F. D. Davis, A Technology Acceptance Model for Empirically Testing New End-User Information Systems: Theory and Results, Doctoral Dissertation, MIT Sloan School of Management, Cambridge, MA, 1986. 

  20. 최민수, 개인의 혁신성, 사회적 영향력, 사용자 인터페이스 요인이 스마트폰 수용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11. 

  21. D. A. Adams, R. R. Nelson, and P. A. Todd, "Perceived Usefulness, Ease of Use, and Usage of Information Technology: A Replication," MIS Quarterly, Vol.16, No.2, pp.227-247, 1992. 

  22. M. Parthasarathy and A. Bhattacherjee, "Understanding Post-adoption Behavior in the Context of Online Services," Information Systems Research, Vol.9, No.4, pp.362-379, 1998. 

  23. 조은주, 서상혁, "공유경제 서비스의 이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기술혁신학회 춘계학술대회, pp.217-246, 2018. 

  24. 윤정환, 공유경제서비스에 대한 지각된 가치와 위험 그리고 네트워크 효과가 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전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18. 

  25. 주지혁, "우리나라 대학생의 소셜커머스 이용에 대한 탐색: 구전효과와 인지적 즐거움으로 확장한 기술수용모형의 적용," 한국디지털정책학회, 제12권, 제8호, pp.147-155, 2014. 

  26. G. Hackbarth, V. Grover, and Y. Mun, "Computer Playfulness and Anxiety: Positive and Negative Mediators of the System Experience Effect on Perceived Ease of Use," Information & Management, Vol.40, No.3, pp.221-232, 2003. 

  27. F. D. Davis, R. P. Bagozzi, and P. R. Warshaw, "Extrinsic and Intrinsic Motivation to Use Computers in the Workplace," J. of Applied Social Psychology, Vol.22, No.14, pp.1111-1132, 1992. 

  28. 한광현, 김태웅, "게임 콘텐츠 특성과 단말기 요인을 고려한 모바일 게임 사용의도의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경영정보학회, 제7권, 제2호, pp.41-59, 2005. 

  29. V. Venkatesh, "Determinants of Perceived Ease of Use: Integrating Control, Intrinsic Motivation, and Emotion into the Technology Acceptance Model," Information Systems Research, Vol.11, No.4, pp.342-365, 2000. 

  30. J. Hamari, M. Sjoklint, and A. Ukkonen, "The Sharing Economy: Why People Participate in Collaborative Consumption," J. of the Association for Information Science and Technology, Vol.67, No.9, pp.2047-2059, 2016. 

  31. V. Bellotti, A. Ambard, D. Turner, C. Gossmann, K. Demkova, and J. Carroll, "A Muddle of Models of Motivation for Using Peer-to-Peer Economy Systems," Proceedings of the 33rd Annual CHI Conference on Human Factors in Computing Systems, p.1085-1094, 2015. 

  32. J. P. Peter and J. Ryan, "An Investigation of perceived risk at the brand level," J. of Marketing Research, Vol.13, pp.184-188, 1976. 

  33. M. S. Featherman and P. A. Pavlou, "Predicting e-service adoption: A Perceived Risk Facets Perspective," International Journal of Human-Computer Studies, Vol.59, No.4, pp.451-474, 2003. 

  34. R. A. Bauer, "Consumer Behavior as Risk Taking, Dynamic Marketing for a Changing World," Proceedings of the 4rd Conference of the American Marketing Association, pp.280-400, 1960 

  35. J. Jacoby and L. B. Kaplan, "The Components of Perceived Risk," Association for Consumer Research Special Volumes, pp.382-393, 1972. 

  36. A. Mukherjee and P. Nath, "Role of Electronic Trust in Online Retailing: A Re-Examination of the Commitment-Trust Theory," European Journal of Marketing, Vol.41, No.9/10, pp.1173-1202, 2007. 

  37. V. Swaminathan, E. Lepkowskawhite, and B. P. Rao, "Browsers or Buyers in Cyberspace, an Investigation of Factors Influencing Electronic Exchange," J. of Computer-Mediated Communication, Vol.5, No.2, 1999. 

  38. 김해중, 박종우, 조동혁, "공유경제 서비스의 성공요인에 관한 실증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6권, 제1호, pp.214-229, 2016. 

  39. M. R. Ward and M. J. Lee, "Internet Shopping, Consumer Search and Product Branding," Journal of Product and Brand Management, Vol.9, No.1, pp.6-20, 2001. 

  40. 김기연, 김흥규, "협력적 소비, 공유경제 서비스 모델에 관한 소비자 선호 유형 연구: 마케팅 커뮤니케이션 관점에서," 주관성연구, 제27호, pp.23-40, 2013. 

  41. H. Abadi, B. Ranjbarian, and F. Zade, "Investigate the Customers' Behavioral Intention to Use Mobile Banking based on TPB, TAM and Perceived Risk," International J. of Academic Research in Business and Social Sciences, Vol.2, No.10, pp.312-322, 2012. 

  42. D. Y. Ahn and J. S. Kim, "A study on Influence of Brand Community's Characteristics in Community Loyalty Brand Attitude and Purchase Intention," J. of Industrial Relations, Vol.34, No.34, pp.165-198, 2009. 

  43. M. F. Farah and A. J. Newman, "Exploring Consumer Boycott Intelligence Using a Socio - Cognitive Approach," J. of Business Research, Vol.63, No.4, pp.347-355, 2010. 

  44. 이중원, 박철, "공유서비스 이용 후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신뢰와 효용가치를 중심으로," 국제 e-비즈니스 연구, 제17권, 제4호, pp.71-88, 2016. 

  45. R. C. Mayer, J. H. Davis, and F. D. Schoorman, "An Integrative Model of Organizational Trust,"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Vol.20, No.3, pp.709-734, 1995. 

  46. A. Everard and D. F. Galletta, "How Presentation Flaws Affect Perceived Site Quality, Trust, and Intention to Purchase from an Online Store," J. of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s, Vol.22, No.3, pp.55-95, 2005. 

  47. S. L. Jarvenpaa, N. Tractinsky, and M. Vitale, "Consumer Trust in an Internet Store," Information Technology and Management, Vol.1, No(1/2), pp.45-71, 2000. 

  48. K. B. Mansour, K. Kooli, and R. Utama, "Online Trust Antecedents and Their Consequences on Purchase Intention: An Integrative Approach," J. of Customer Behavior, Vol.13, No.1, pp.25-42, 2014. 

  49. 노미진, "스마트폰 뱅킹의 지각된 위험과 가치가 신뢰 및 의도에 미치는 영향: 신뢰의 매개효과 분석," 대한경영학회지, 제24권, 제5호, pp.2599-2615, 2011. 

  50. 정영수, 정철호, "개인 커뮤니티의 지각된 특성이 만족 및 지속적 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정보시스템연구, 제16권, 제3호, pp.133-159, 2007. 

  51. M Koufaris and W. Hampton-Sosa, "The Development of Initial Trust in an Online Company by New Customers," Information & management, Vol.41, No.3, pp.377-397, 2004. 

  52. Z. W. Lee, T. K Chan, M. S. Balaji, and A. Y. L. Chong, "Why People Participate in the Sharing Economy: An Empirical Investigation of Uber," Internet Research, Vol.28, No.3, pp.829-850, 201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