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부모양육태도가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 -공격성과 충동성의 매개효과-
The Influence of Parental Rearing Attitudes on Smartphone Addiction - The Mediating Effect of Aggression and Impulse -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6 no.3, 2018년, pp.395 - 405  

임정아 (전주대학교 상담심리학과) ,  김명식 (전주대학교 상담심리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초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가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 이 과정에서 공격성과 충동성이 부모양육태도와 스마트폰 중독관계를 매개하는지 검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대상은 J지역 초등학교 4, 5학년 390명(남: 199, 여: 191)이었다. 연구에 사용한 척도는 부모양육척도, 스마트폰 중독척도, Neo 성격척도 등이다. 통계분석은 SPSS 22.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상관분석, 회귀분석 등을 사용하였다. 주요한 연구결과는 첫째, 상관분석 결과 부모양육태도, 스마트폰중독, 공격성과 충동성은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둘째, 부모양육태도 중 거부적인 부모양육태도가 스마트폰 중독에 부정적인 촉진적 영향을 주며, 이 과정에서 충동성과 공격성이 부분매개하였다. 또한 과보호적 부모양육태도가 역시 스마트중독에 부정적인 촉진적 영향을 주며, 이 과정에서 충동성과 공격성이 완전 매개한다는 것이 검증되었다. 본 연구결과 스마트폰 중독에 대한 개입과 상담 시에 부모양육태도의 변화뿐 아니라, 청소년의 충동성과 공격성에 대한 상담과 개입이 매우 중요하다는 것이 검증되었다. 본 연구는 스마트폰 중독 예방을 위한 교육 및 상담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실증적인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한계와 향후 연구과제가 논의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parental rearing attitudes on smartphone addiction and mediation effect of children's aggression and impulse between them. The randomly chosen 390 subjects of the 4th and 5th elementary school students (boy: 199, girl: 191) of J City partic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러한 물리적, 심리적, 환경적 변화에 적응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혼란과 갈등을 해결하는 방법으로 가장 쉽게 접근할 수 있는 것이 바로 스마트폰이며 기기의 편리성과 접근 용이성은 이들을 쉽게 스마트폰에 빠져들게 만들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스마트폰 중독률이 가장 높은 중학교 시기의 준비기인 초등 고학년을 대상으로 하고자 한다. 초등학교 고학년에서 중학교로 넘어가면서 스마트폰 중독률이 증가하는 것으로 볼 때, 초등 고학년때부터 스마트폰 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파악하여 적극적으로 개입한다면 스마트폰 중독 문제를 미연에 방지하고 예방할 수 있을 것이다.
  • 본 연구는 초등고학년의 부모양육태도가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공격성과 충동성이 부모 양육태도와 스마트폰 중독의 관계를 매개하는지 검증하고자 하였다. 스마트폰에 대한 노출과 보급이 보편화되어 있는 초등고학년은 올바른 스마트폰 사용교육 및 프로그램의 개발이 시급하며 스마트폰 중독률이 가장 높은 중학생 시기의 준비단계인 초등고학년 시기에 스마트폰 중독의 위험성을 알리고 예방할 수 있는 교육 및 상담프로그램을 제공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마련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 즉, 부모양육태도가 거부적이거나 과보호적일 경우 스마트폰 중독이 촉진되며 이 과정에서 공격성, 충동성의 문제가 더욱 스마트폰 중독을 높이는 요인으로 작용한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와 같은 이론적 논의를 실증적으로 검증하여, 추후 청소년의 스마트폰 중독 예방과 치료를 위한 프로그램 개발과 접근방법에 대해 기여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초등고학년의 부모양육태도가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공격성과 충동성이 부모 양육태도와 스마트폰 중독의 관계를 매개하는지 검증하고자 하였다. 스마트폰에 대한 노출과 보급이 보편화되어 있는 초등고학년은 올바른 스마트폰 사용교육 및 프로그램의 개발이 시급하며 스마트폰 중독률이 가장 높은 중학생 시기의 준비단계인 초등고학년 시기에 스마트폰 중독의 위험성을 알리고 예방할 수 있는 교육 및 상담프로그램을 제공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마련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연구적 함의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스마트폰의 적극적인 소비층인 청소년의 스마트폰 중독률은? 스마트폰의 적극적인 소비층인 청소년의 스마트폰 중독률은 30.6%로 60대 미만의 성인 중독률 16.1%에 비해 2배 이상 높은 수치이며 학령별로는 초등학생이 26.7%, 중학생이 33%, 고등학생이 27.7%로 초등학생의 스마트폰 중독률도 높은 수준에 있다[7]. 특히 초등학생은 중,고등학생에 비해 자기통제력이 낮은 특성을 보이기 때문에[8] 스마트폰 중독률이 더 높아질 것으로 예상되며, 이에 스마트폰 중독 예방 대책이 시급하다.
스마트폰 사용과 보급은 청소년의 일상에 어떠한 변화를 가져왔는가? 스마트폰 사용과 보급은 청소년의 일상에 많은 변화를 가져왔다. 자신의 의견을 자유롭게 개진하고 사교 및 문화활동을 할 수 있다는 긍정적인 측면도 있지만 부작용도 나타나고 있는데 대표적인 역기능이 스마트폰 중독이라 할 수 있다. 스마트폰 중독의 개념은 합의된 정의가 없고 행위중독의 하위유형으로 간주하는 등 학자들마다 의견이 분분하지만 스마트폰 중독 연구자들에 의해서 정의가 이루어져오고 있다.
2016년 2월 스마트폰 가입자 수는? 스마트폰의 사용과 활용 면에서 가장 적극적인 사용자는 10대 청소년으로서 이들은 디지털 매체와 매우 친숙한 세대이다. 2016년 2월 스마트폰 가입자 수는 5,300만 명이며 이중 중학생은 95.3%, 고등학생은 9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8)

  1. KISDI. (2017). Media Statistics Handbook. Seoul: KISDL. 

  2. KISDI. (2017. Dec). Key findings of the Korea Media Panel in 2017. KISDISTAT REPORT, 17-23, 3. 

  3. M. D. Griffths. (1995). Technological Addictions. Clinical Psychology Forum, 76, 14-19. 

  4. J. D. Marks. (1989). Television exposure, fear of crime and concern about serious illness. Amy Sekde, U.M.I. 

  5. H. Y. Kang, & C. H. Park. (2012).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Smartphone Addiction Inventory. Korean Journal of Psychology : General, 31(2), 563-580. 

  6. M. S. Kim, E. M. Choi, S. H. Lee & J. H. Bae. (2013). Development and Preliminary Outcome Study of Smartphone Overuse Prevention Education Program for Adolescents of Middle School.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Services, 12(4), 307-318. 

  7. National Information Society Agency. (2016). Internet and Reliance Survey Results in 2016. Seoul: National Information Society Agency. 

  8. K. A. Jung & B. W. Kim. (2015). The Differences of the Ego-Resilience and Disagreement in Parent's Rearing Attitude according to the Levels of the Smartphone Addiction of Adolescents.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3(2), 299-308. 

  9. H. J. Kang. (2016). The relationships among smartphone use, mental health and physical health-Focusing on smartphone users' attitudes.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4(3), 483-488. 

  10. M. Fishbein. (1975). Belief, Attitude, Intention, and Behavior. An Introduction to Theory and Research. Reading. MA: Addison-Wesley. 

  11. J. I. Oh. (2014). Adolescents who perceived parenting attitudes impact on mental health and delinquent behavior. Master's thesis. Kwangwoon University, Seoul. 

  12. K. H. Jo, S. H. Kim, & S. K. Han. (2014). The Relationship Analysis between Smartphone Addiction and Ecological Factors of Elementary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Information Education, 18(4), 491-498. 

  13. D. S. Mun & E. S. Choi. (2015). The Effect of Parental Rearing Attitudes on Smart Phone Addiction of Adolescents: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steem. Korean Journal of youth studies, 22(10), 213-236. 

  14. S. J. Paik & H. S. Oh. (2017). The Relation between Adolescent's perceived Parenting Attitude and Smartphone Addiction proneness: Interpersonal Anxiety As a Mediator. Korean Journal of youth studies, 24(5), 31-54. 

  15. S. J. Lee & E. J. Lee. (2002). Sex Differences in Mental Health Indices of the College Students and The Influence of Parent-Child Bonding on them. Korean Journal of Woman Psychology, 7(2), 75-92. 

  16. Y. S. Kim, B. H. Jo. (2009). The Relationship among Children's Perception of Parenting Attitude, Self-Concept and Career Maturity. Journal of Evaluation on Counseling, 2(1), 87-103. 

  17. M. S. Jeong & D. W. Kim. (2017). Effects of Parental Parenting Attitudes Perceived by Children on Empathy Ability : Focusing on Children's Ego-resilience Mdiation Effect. Journal of Rehabilitation Psychology, 24(3), 441-456. 

  18. J. R. Jeon. (2014). A Study on the Effects of Resilience, Parental Behaviors, and Marital Conflict on a Child's Aggression. Journal of family relations, 18(4), 135-153. 

  19. D. I. Kim & H. N. Ahn. (2006). A Validation Study of NEO Personality Assessment System(NEO-PAS) for Adolescents. The Korean Journal of Youth Counseling, 14(1), 77-91. 

  20. J. O. (2014). A Study on the Major factors to Teenager's Addiction to Smart-phone. The Korean Association for Public Welfare Administration, 24(1), 47-76. 

  21. Y. J. Lee & J. H. Park. (2014). The Effect of Use Motive, Self-Control and Social Withdrawal on Smartphone Addiction.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2(8), 459-465. 

  22. C. M. Keum. (2013). Research into smartphone Addiction Proneness and Mental Health Probelm For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 at Korea. Master'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23. A. Bandura. (1973). Aggression: A Social learning analysis. NJ: Prentice-Hall. 

  24. K. S. Choi. (2007). Child Development Psychology. Seoul : Kyomonsa. 

  25. S. C. Shin & S. K. Paik. (2013). The Influence of Adolescent's Smart Phone Addiction on Aggression. Journal of Safety and Crisis Management, 9(11), 345-362. 

  26. H. J. Kim, H. J. Park & H. J. Ahn. (2016). A Multi-Group Path Analysis among smartphone-Internet Addiction, Depression, Aggression, Social Relationships, and School Violence. Korean Journal of Education Research. 54(1), 77-104. 

  27. D. I. Kim & H. N. Ahn. (2006). A Validation Study of NEO Personality Assessment System(NEO-PAS) for Adolescents. The Korean Journal of Youth Counseling, 14(1), 77-91. 

  28. R. M. Baron & D. A. Kenny. (1986). The Moderator-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Conceptual, St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1(6), 1173-1182. 

  29. S. J. Paik & H. S. Oh. (2017). The Relation between Adolescent's perceived Parenting Attitude and Smartphone Addiction proneness : Interpersonal Anxiety As a Mediator. Korean Journal of youth studies, 24(5), 31-54. 

  30. E. J. Lee & J. K. Eo. (2015). The Effects of Perceived Stress and Impulsivity of High School Students as well as the Parent's Parenting Attitude on Smartphone Addiction. Family and Family Therapy, 23(1), 1-22. 

  31. D. K. Lee & S. C. Yeom. (2015). Multiple Mediated Effects of Ego-Resiliency and Depression in the Relation between the Affectionate Parenting Attitude and Aggression. Korean Journal of youth studies, 23(2), 277-298. 

  32. H. L. Jang & I. J. Chung. (2013). The Effects of Parenting Attitudes on Adolescent Prosocial Behavior and Aggression Mediated by Self-esteem. Korean Journal of Family Social Work, 40, 33-61. 

  33. J. H. Jeong. (2000). Impact of parental attitude and social support on impulsiveness. Master's thesis. Hanyang University, Seoul. 

  34. E. M. Park & K. H. Park. (2014). The Mediating Effects of Depression and Aggress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Parental Rearing Attitudes and Smart Phone Addiction -A Focus on Gender Differences. Korean Journal of Play Therapy, 17(2), 209-224. 

  35. E. J. Lee & J. K. Eo. (2015). The Effects of Perceived Stress and Impulsivity of High School Students as well as the Parent's Parenting Attitude on Smartphone Addtiction. Family and Family Therapy, 23(1), 1-22. 

  36. B. N. Kim & H. I. Choi. (2013). Effects of Study Overprotective Parent's Raising Attitudeon University Student's Smartphone-Addiction: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control. Social Science Research Review, 29(1), 1-25. 

  37. H. Kang. (2017). Effects of perceived parenting attitude and attachment on smartphone addiction of high school students.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38. H. I. Jo. (2011). The Effect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Perceived Parenting Attitude and Internet Use Motives on Internet Addiction: Self-Control as a Mediator. Journal of Adolescent Welfare, 13(4), 269-28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