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관개지구 물관리기법에 따른 농업용 저수지 공급량 평가
Impact of Water Management Techniques on Agricultural Reservoir Water Supply 원문보기

한국농공학회논문집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Agricultural Engineers, v.60 no.2, 2018년, pp.121 - 132  

류정훈 (Department of Rural Systems Engineering, Seoul National University) ,  송정헌 (Research Institute for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Seoul National University) ,  강석만 (Rural Research Institute, Korea Rural Community Corporation) ,  장중석 (Rural Research Institute, Korea Rural Community Corporation) ,  강문성 (Department of Rural Systems Engineering, Research Institute for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Institute of Green Bio Science and Technology, Seoul National University)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long with climate change, it is reported that the extreme climate events such as severe drought could cause difficulties of agricultural water supply. To minimize such damages, it is necessary to secure the agricultural water resources by using or saving the amount of irrigation water efficiently.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관개지구 물관리기법 적용을 위한 물관리 시나리오를 구성하고 수문 모니터링 계측망을 구성하여 논 물수지 분석을 통해 관개량 절감 효과를 분석하고자 한다. 또한 농업용 저수지 및 저수지 상・하류 연계 수문 모델링을 통해 논 및 저수지에서의 물수지 요소 변화를 분석하고 물관리 시나리오 적용에 따른 농업용 저수지의 공급량 변화를 분석하고자 한다.
  • 또한 물관리기법에 따라 담수심 관리가 실제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농민 간담회를 두 차례 개최하여 시험포장별 담수심 관리방법, 자동 관개물꼬 사용방법, 배수물꼬 사용방법 등 물관리기법 운영에 대한 교육을 실시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관개지구 물관리기법 적용에 따른 관개량 절감 효과와 농업용 저수지 용수공급능력을 평가하였다. 이를 위해 물관리 시나리오를 구성하고 물관리기법 적용을 위한 수문 모니터링 계측망을 구성하였으며, 논 물수지 분석을 통해 관개량 절감 효과를 분석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관개지구 물관리기법 적용을 위한 물관리 시나리오를 구성하고 수문 모니터링 계측망을 구성하여 논 물수지 분석을 통해 관개량 절감 효과를 분석하고자 한다. 또한 농업용 저수지 및 저수지 상・하류 연계 수문 모델링을 통해 논 및 저수지에서의 물수지 요소 변화를 분석하고 물관리 시나리오 적용에 따른 농업용 저수지의 공급량 변화를 분석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물관리 시나리오 적용에 따른 논 물수지 요소 모의를 위하여 농업용저수지 및 저수지 상・하류 연계 수문 모형인 MASA를 통해 논 물수지 모델링을 수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물관리기법에 따른 관개량 절감 효과에 관한 국내외 연구의 한계는? 이상과 같이 국내・외에서는 물관리기법에 따른 관개량 절감 효과에 관한 많은 연구가 수행되어왔으나, 이는 관개지구 단위에 국한되어 있었다. 하지만, 기후변화에 따른 극한 수문사상의 영향이 변화하고 용수수요는 증대되는 여건 변화 속에서 효율적 농업용수 이용을 위해 관개지구의 물관리기법 적용에 따른 관개량 절감 효과뿐만 아니라 공급원인 농업용 저수지의 용수공급능력 개선 효과까지 평가하는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관리담수심에 따른 효과와 선행되어야 할 것은? Sohn and Chung (2004)은 Sohn et al. (2004)의 연구를 확장하여 물수지 모형을 통해 관리담수심에 따른 관개량 절감 효과를 분석하였으며, 관리담수심이 낮아질수록 유효우량이 증가하여 관개량을 절약할 수 있으나, 담수심 관리를 위한 노동력이 증가하기에 자동 관개물꼬의 실용화가 선행되어야 한다고 보고하였다. Kim et al.
농업용수의 효율적 이용 및 용수 절약이 필요해진 배경은? 최근 들어 기후변화에 의한 가뭄과 같은 극한 수문사상의 영향으로 일부 농업용 저수지는 본연의 기능인 관개용수 공급에 어려움이 발생하여 안정적인 농업생산에 어려움을 초래하고 있다 (Choi, 2015). 하지만, 용수 수요가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사회적인 변화 여건 변화 속에서 최근 들어 농업용 저수지는 관개용수 공급 목적 이외에 환경용수 공급 또한 요구되고 있으며 (Yoo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Allen, R. G., L. S. Pereira, D. Raes, and M. Smith, 1998. Crop evapotranspiration-Guidelines for computing crop water requirements -FAO Irrigation and drainage paper No. 56. 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 of the United Nations. 

  2. Ashouri, M., 2012. The effect of water saving irrigation and nitrogen fertilizer on rice production in paddy fields of Iran. International Journal of Bioscience, Biochemistry and Bioinformatics 2(1): 56-59. 

  3. Belder, P., B. A. M. Bouman, R. Cabangon, L. Guoan, E. J. P., Quilang, L. Yuanhua, J. H. J. Spiertz, and T. P. Tuong, 2004. Effect of water-saving irrigation on rice yield and water use in typical lowland conditions in Asia. Agricultural Water Management 65(3): 193-210. doi:10.1016/j.agwat.2003.09.002. 

  4. Bouman, B. A. M., and T. P. Tuong, 2001. Field water management to save water and increase its productivity in irrigated lowland rice. Agricultural Water Management 49: 11-30. doi:10.1016/S0378-3774(00)00128-1. 

  5. Cho, J. H., 2010. Evaluation of environmental values at agricultural water supply system, Sejong: Ministry for Food, Agriculture, Forestry and Fisheries (in Korean). 

  6. Choi, D. H., J. W. Jung, K. S. Yoon, W. J. Baek, and W. J. Choi, 2016. Farmers' water management practice and effective rainfall and runoff ratio of paddy fields. Irrigation and Drainage 65(S1): 66-71. doi:10.1002/ird.1962. 

  7. Choi, J. Y., 2015. Agricultural drought and countermeasures for 2015 year. The Magazine of The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15(6): 56-62 (in Korean). 

  8. Kang, M. S., P. Srivastava, J. H. Song, J. Park, Y. Her, S. M. Kim, and I. Song, 2016. Development of a Component-Based Modeling Framework for Agricultural Water-Resource Management. Water, 8(8), 351. doi:10.3390/w8080351. 

  9. Kim, H. Y., and S. W. Park, 1988. Simulating daily inflow and release rates for irrigation reservoirs (1) Modeling inflow rates by a linear reservoir model. Journal of Korea Society of Agricultural Engineers 30(1): 50-62 (in Korean). 

  10. Kim, J. S., S. Y. Oh, K. Y. Oh, and J. W. Cho, 2005. Delivery management water requirement for irrigation ditches associated with large-sized paddy plots in Korea. Paddy Water Environment 3: 57-62. doi:10.1007/s10333-005-0072-9. 

  11. Kim, S. J., S. J. Kim, C. G. Yoon, H. J. Kwon, and G. A. Park, 2003.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paddy storage estimation model during storm periods.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36(6): 901-910 (in Korean). doi:10.3741/JKWRA.2003.36.6.901 

  12. Lee, S. H., S. H. Yoo, N. Y. Park, and J. Y. Choi, 2013. An analysis of environmental water release patterns considering operation rules in enlarged agricultural reservoir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Agricultural Engineers 55(3): 51-62 (in Korean). doi:10.5389/KSAE.2013.55.3.051 

  13. Lee, Y. J., S. J. Kim, P. S. Kim, W. J. Joo, and Y. S. Yang, 2006. Study on the effective calculation method of irrigation water in a paddy fields are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Agricultural Engineering 48(3): 11-20 (in Korean). doi:10.5389/KSAE.2006.48.3.011. 

  14. Ministry of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 (MAFRA), 2016. Statistical yearbook of land and water development for agriculture, Sejong, Korea (in Korean). 

  15. Ministry of Land, Transport and Maritime Affairs (MOLTM), 2016. Long-term Korea National Water Resources Plan, Sejong, Korea (in Korean). 

  16. Sohn, S. H., and S. O. Chung, 2004. Development of water saving irrigation method using water balance model.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Agricultural Engineering, 46(5): 3-11 (in Korean). doi:10.5389/KSAE.2004.46.5.003. 

  17. Sohn, S. H., K. J. Park, and S. O. Chung, 2004. Analysis of water balance for ponding depth treatment in paddy field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Agricultural Engineering, 46(4): 13-21 (in Korean). doi:10.5389/KSAE.2004.46.4.013. 

  18. Song, J. H., 2017. Hydrologic Analysis System with Multi-Objective Optimization for Agricultural Watersheds. Ph.D. diss., Seoul: Seoul National University (in Korean). 

  19. Song, J. H., I. Song, J. T. Kim, and M. S. Kang, 2015a. Characteristics of irrigation return flow in a reservoir irrigated district.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Agricultural Engineering 57(1): 69-78 (in Korean). doi:10.5389/KSAE.2015.57.1.069. 

  20. Song, J. H., I. Song, J. T. Kim, and M. S. Kang, 2015b. Simulation of agricultural water supply considering yearly variation of irrigation efficiency.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48(6): 425-438 (in Korean). doi:10.3741/JKWRA.2015.48.6.425. 

  21. Song, J. H., J. H. Ryu, J. Park, S. M. Jun, I. Song, J. Jang, S. M. Kim, and M. S. Kang, 2016a. Paddy field modelling system for water quality management. Irrigation and Drainage, 65(S2), 131-142. doi:10.1002/ird.2034. 

  22. Song, J. H., M. S. Kang, I. Song, and S. M. Jun, 2016b. Water balance in irrigation reservoirs considering flood control and irrigation efficiency variation. Journal of Irrigation and Drainage Engineering, 142(4): 04016003. doi:10.1061/(ASCE)IR.1943-4774.0000989. 

  23. Song, J. H., Y. Her, J. Park, K. D. Lee, and M. S. Kang, 2017. Simulink implementation of a hydrologic model: A Tank model case study. Water, 9(9): 639. doi:10.3390/w9090639. 

  24. Yoo, S. H., J. Y. Choi, and M. W. Jang, 2006. Estimation of paddy rice crop coefficients for FAO Penman-Monteith and modified Penman method.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Agricultural Engineering 48(1): 13-23 (in Korean). doi:10.5389/KSAE.2006.48.1.013. 

  25. Yoo, S. H., S. H. Lee, J. Y. Choi, and T. Park, 2012. Optimizing rules for releasing environmental water in enlarged agricultural reservoir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Agricultural Engineers, 54(5): 17-24 (in Korean). doi:10.5389/KSAE.2012.54.5.017. 

  26. Yoon, K. S., S. M. Choi, J. H. Yoo, S. H. Yoo, D. H. Choi, S. G. Yoon, C. H. Lee, K. H. Jung, and G. C. Shin, 2017. Assessment of domestic water supply potential of agricultural reservoirs in rural area considering economic index.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Rural Planning 23(1): 85-96 (in Korean). doi:10.7851/ksrp.2017.23.1.08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