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PBL(문제 중심 학습)을 적용한 방재안전분야의 재해 심리 수업사례 연구
A Study on the Cases of the Disaster Psychology Course in the field of Disaster & Security based on the Problem-Based Learning 원문보기

한국방재안전학회논문집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Disaster and Security, v.11 no.2, 2018년, pp.75 - 82  

이미숙 (강원대학교 소방방재학부) ,  김수진 (가톨릭 관동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재해심리학 수업에서 문제중심학습을 적용한 수업을 설계하고, 실제 교육현장에 적용한 뒤 학생들이 느끼는 교육적 경험을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은 재해심리 수업을 수강한 56명의 대학생이다. 재해심리 수업은 강의식 수업과 문제중심학습 방식을 혼합하여 실시하였고, 문제중심학습 수업은 3주간 진행되었다. 수업에 대한 결과물은 문제분석지, 조별활동일지, 성찰일기, 조별평가지이고 이러한 자료를 토대로 반복비교법, 삼각측정법을 통해 질적 자료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전문지식 습득, 다각적 분석을 통한 자신감, 실제적 문제해결력, 타인의 관점 수용을 통한 의사소통능력, 직업적 소명의식, 유사상황 대처에 대한 효능감, 관점의 변화라는 7가지 범주의 역량이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문제중십학습 수업 모델 적용 사례를 소개하여 향후 후속 수업적용과 연구를 기대하게 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designed to apply the model of the problem-based learning in the class of Disaster Psychology and then analyze the experiences that its students felt. The participants in this research are 56 undergraduates. The class of Disaster Psychology was conducted with blended lea...

주제어

표/그림 (1)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간접적인 경험을 통해 소방공무원들이 PTSD로 인해 얼마나 많은 고통을 느끼며 동료애를 느끼는지 알았다. 나중에 제가 공무원이 된다면 미리 예방을 할 수 있게 조치를 취해야겠다라고 생각하는 계기가 되었다.
  • 본 연구에서는 PBL을 적용한 재해심리 수업에서 학습자의 교육 경험을 분석하기 위해 개인 성찰일기, 조별활동일지, 조별평가지를 연구 자료로 수집하였다. 개인 성찰일기는PBL을 통해 학생들이 배우고 느낀 점, PBL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 설명, 학습내용의 실제 적용, 팀원들의 문제해결 기여도 등을 작성하는 것이다.
  • 본 연구의 목적은 PBL을 활용한 수업으로 방재안전관련 분야 전공 대학생들이 어떤 전문적 역량을 성취할 수 있는지 탐색해 보는 데 있다.
  • 소방관이 되었을 때 PTSD를 겪게되면 어떻게 치료하고 어떤 기관에서 도움을 받으면 되는지 알게 되었다.
  • 문제중심학습은 다양한 교육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는 교수 방법으로, 전공과 관련된 시나리오를 바탕으로 실제 상황에 대한 문제를 해결해 나가는 과정을 통해 해당 교과분야의 전문역량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방재 안전 분야 전공 학습자를 대상으로 전공교과목 재해 심리 과목에 PBL의 방법을 적용하였을 때 학습자들에게 어떤 교육적 효과가 있는지 탐색해 보고자 하였다.
  • 자료조사하면서 PTSD에 대해 알게 되었고 소방관이 어떤 스트레스를 받는지 알게 되었다.

가설 설정

  • PBL 조는 학생들의 특성파악을 위한 사전 조사를 실시한 후 한 조에 개인별 특성이 고루 분포되도록 구성하였다. 학생들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한 사전 조사내용은 1. 나는 리더십이 있다. 2.
  • 나는 리더십이 있다. 2. 나는 자료를 잘 찾는다. 3.
  • 나는 자료를 잘 찾는다. 3. 나는 PPT를 잘 만든다. 4.
  • 나는 PPT를 잘 만든다. 4. 나는 발표를 잘한다. 5.
  • 나는 발표를 잘한다. 5. 나는 자료 정리를 잘 한다.의 5가지 항목에 1순위, 2순위, 3순위를 선택하도록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재난관리의 핵심 역량은 무엇인가? 재난관리 핵심역량은 재난관리업무 수행을 위해 요구되는 전문역량이며 소통, 분석, 리더십, 통찰 등으로 구성된다. Kapucu 등(2011)은 재난관리 핵심역량으로 역할의 명확성, 효과적 조직관리, 소통과 분석을 이용한 효과적인 리더십, 수평적·평등적 신뢰 관계, 효과적 네트워킹·조정·협력, 모든 위험을 고려한 통합적·사전적 접근, 규칙기반의 유연한 구조·활동·사고, 환경 및 지역사회에 적절한 업무, 문제해결을 위한 학제간의 접근, 통합적인 기술과 연구의 적용 등을 제시하였다.
PBL은 어떤 수업 방식인가? PBL(Problem-Based Learning: 문제중심학습)은 실제적 경험을 다루는 문제를 토대로 학생이 주도적으로 지식을 찾고 과제를 수행하는 수업방식이라고 할 수 있다. PBL은 기존 강의의 암기, 주입식 교육방법의 대안으로 연구되었으며(강인애, 2003; 박양미, 2011), 교수자가 복잡하고 실제적인 문제를 제시하는 것으로 시작된다.
재해심리 수업에 대한 결과물은 무엇인가? 재해심리 수업은 강의식 수업과 문제중심학습 방식을 혼합하여 실시하였고, 문제중심학습 수업은 3주간 진행되었다. 수업에 대한 결과물은 문제분석지, 조별활동일지, 성찰일기, 조별평가지이고 이러한 자료를 토대로 반복비교법, 삼각측정법을 통해 질적 자료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전문지식 습득, 다각적 분석을 통한 자신감, 실제적 문제해결력, 타인의 관점 수용을 통한 의사소통능력, 직업적 소명의식, 유사상황 대처에 대한 효능감, 관점의 변화라는 7가지 범주의 역량이 확인되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Bang, K.-S. and Lee, Y.-J. (2013). "A Study on Demanded Competency of Emergency Manager in Korea", J. Korean Soc.. Hazard Mitig, Vol. 13, No. 6, pp. 231-238. 

  2. Beck, Y. G., Han, S. R., Park, J. S., Choi, M. S., Beun, H. S., Park, J. H., Kang, S. C., and Yoon, S. C. (2015). Educational Method and Technology, Seoul: Hakjisa. 

  3. Boyatzis, R. E. (1982). The Competent Manager: A Model for Effective Performance, John Wiley & Sons, New York, NY. 

  4. Choi, J.-I. (2007). "A Case Study for the Application of PBL in Higher-Education : Focused on the Effectiveness of PBL Presented in Reflective Journal", The Korean Society For Educational Technology, Vol. 23, No. 2, pp. 36-65. 

  5. Choo, H. J. and Park, J. H. (2010). "Web based PBL teaching, learning development model for medical education",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ol. 10, No. 10, pp. 246-254. 

  6. Drabek, T. E. (1987). The professional emergency manager: Structures and strategies for success. In Program on Environment and Behavior Manograph (Vol. 44), US University of Colorado, Institute of Behavioral Science. 

  7. Ericsson, K. A. and Lehmann, A. C. (1996). "Expert and exceptional performance: Evidence of maximal adaptation to task constraints", Annual Review of Psychology, Vol. 47, No. 1, pp. 273-305. 

  8. Hansen, J. D. (2006). "Using problem-based learning in accounting", Journal of Education for Business, Vol. 81, No. 4, pp. 221-224. 

  9. Hall, R. H. (1968). "Professionalization and bureaucratization", American Sociological Review, pp. 92-104. 

  10. Herling, R. E. (1998). Expertise: The development of an operational definition for human resource development, In R. J.. Torraco (Ed.), Academy of human resource development(pp. 715-722), Baton Rouge, LA: AHRD. 

  11. Kang, I. A. (2003). The theory and practice of PBL, Seoul: Moonumsa. 

  12. Kapucu, N. and Garayev, V. (2011). "Collaborative decision-making in emergency and disaster management", International Journal of Public Administration, Vol. 34, No. 6, pp. 366-375. 

  13. Kim, B.-K. (2014). "Development of flipped classroom model for teaching profession courses", The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Vol. 12, No. 2, pp. 25-56. 

  14. Kong, H.-R. (2014). "A study on applying problem-based learning methods in college-level composition courses", Journal of Korean Culture. Vol. 25, pp. 7-42. 

  15. Lee, H. M. and Kim, J. I. (2003). Seoul: Core competence, Core talent: Development of human resource core competency model and competency evaluation, Korea Management Association. 

  16. Lee, K. H. and Yoo, B. I. (2001). "A study on community physical activity leaders' perceptions on vocational environment and condition", Korean Society for Sport Management, Vol. 6, No. 2, pp. 25-36. 

  17. McClelland, D. C. (1973). "Testing for competence rather than for intelligence", American Psychologist, Vol. 28, pp. 1-14. 

  18. Park, J. H. (2013). "A theoretical foundation for and the educational value of problem-based learning", The Journal of Future Education, Vol. 3, No. 1, pp. 17-26. 

  19. Park, Y. M. (2011). "A study on the effects of applying PBL in class design", Journal of Basic Design & Art, Vol. 12, No. 5, pp. 187-197. 

  20. Ryu, S.-Y. (2013). "Case study: problem-based learning in business education", The Korean Society For Educational Technology, Vol. 29, No. 1, pp. 103-131. 

  21. Slatter, P. E. (1990). "Models of expertise in knowledge engineering", Knowledge Engineering, Vol. 1, pp. 130-156. 

  22. Taylor, K. M. and Betz, N. E. (1983). "Applications of self-efficacy theory to the understanding and treatment of career indecision",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Vol. 22, No. 1, pp. 63- 81.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