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공과대학에서 문제중심학습 적용 사례 연구 : 인공지능 과목을 중심으로
Case Study for the Application of PBL in Engineering School : Focused on an Artificial Intelligence Class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9 no.4, 2018년, pp.154 - 160  

이근수 (한경대학교 컴퓨터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논문은 공과대학에서 인공지능 교과목에 문제중심학습(PBL : Problem-Based Learning) 활용을 위하여 PBL 문제를 개발하여 수업에 적용하고 PBL 효과를 확인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현대 산업사회에서는 협동 학습 능력, 자율적인 학습능력, 통합지식 활용 능력, 창의 문제해결 능력을 갖춘 인재를 필요로 하고 있다. 대학은 사회에서 요구하는 인재를 양성하기 위해 학습자들에게 문제해결능력 향상과 협동학습의 기회를 제공해 주어야 한다. PBL 활동은 이러한 실천을 위한 적합한 학습방법이다. 연구대상은 '인공지능'교과목을 수강한 H대학 2학년 학생 37명이었으며, PBL수업은 15주에 5개의 PBL문제를 적용하였다. 학생들은 주어진 문제의 PBL 활동이 끝날 때마다 성찰일지를 작성하여 제출하였으며, 5번째 PBL문제의 활동이 끝난 후에 강의 평가지를 작성하였다. 연구 결과는 학습내용에 대한 이해(86.48%), 협동학습에 대한 이해(94.59%), 실제적 경험(75.67%), 문제해결력(89.18%), 프리젠테이션 스킬(97.29%), 창의성 향상(81.08%), 지식획득 능력(86.48%), 의사소통 능력 향상(97.29%), 통합지식 활용 능력(78.37%), 자기주도적 학습 능력(86.48%), 자신감(97.29%)과 같은 다양한 PBL의 효과를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다. 학생들은 이 PBL 학습 활동은 현대 산업사회에서 요구하는 미래의 유능한 엔지니어로서의 전문성을 기를 수 있는 중요한 방법이라고 인식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thesis aims to develop PBL (Problem-Based-Learning) problems. Its goal is for some groups of students to creative their own problems and to confirm the effectiveness of PBL as they apply it to AI (Artificial Intelligence) in engineering schools. Modern industrial society needs competent people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3%)에 해당되는 적지 않은 비율이어서 전공문제를 해결하는데 팀원들이 많은 시간을 함께 토론해야만 했다. 따라서 만날 수 있는 시간과 장소를 정하는 것과 토론 시간이 길어지게 되는 팀 활동의 어려움을 지적하였다.
  • 3%)에 해당되는 적지 않은 비율이어서 전공문제를 해결하는데 팀원들이 많은 시간을 함께 토론해야만 했다. 따라서 만날 수 있는 시간과 장소를 정하는 것과 토론 시간이 길어지게 되는 팀 활동의 어려움을 지적하였다.
  • 아이디어는 최근 이슈나 학생들의 관심사로부터 자유로운 상상을 통해 이끌어 낼 수 있다. 따라서 본 과목에서의 문제는 각 단원별 특성이 유사한 내용에 따른 문제가 개발되었다.
  • 본 과목에서는 인공지능 교과목에서 학습해야 할 학습 내용을 분석하여 어떤 단원들을 통합하여 PBL 문제로서 적합한지 탐색하였다. 인공지능 교과목의 주요 단원과 각 단원들이 어떻게 통합되었는지를 제시하고 있다.
  • 본 논문은 공과대학에서 인공지능 교과목에 PBL 활용을 위하여 PBL 문제를 개발하여 수업에 적용하고 PBL 효과를 확인하는데 목적을 두었으며,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연구 결과는 최근 관심이 집중되고 있는 인공지능에 대하여 이해할 수 있었으며 앞으로 어떻게 적용해야 할지 알게 되었다.
  • 문제를 개발하기 위해서는 학생들에게 제시할 문제는 학생들이 달성해야 할 교육목표와 학습할 내용을 연관 지울 수 있어야하기 때문에 교육과정과 교육 내용에 대한 파악이 가장 먼저 이루어져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인공지능 교과목에서 학습해야할 학습 내용을 분석하여 PBL 문제로서 적합한지 먼저 탐색하였다.
  • 본 논문은 공과대학에서 인공지능 교과목에 PBL 활용을 위하여 PBL 문제를 개발하여 수업에 적용하고 PBL 효과를 확인하는데 목적을 두었으며,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연구 결과는 최근 관심이 집중되고 있는 인공지능에 대하여 이해할 수 있었으며 앞으로 어떻게 적용해야 할지 알게 되었다. 산업사회에서 왜 창의성, 지식획득 능력, 의사소통 능력, 통합지식 활용 능력, 협동학습 능력, 실제적 경험, 문제해결력, 프리젠테이션 스킬, 자기주도적 학습 능력, 자신감이 필요하고 중요한지를 알게 되었다.
  • 이러한 고차적 사고 능력과 태도는 21세기 새로운 교육패러다임에서 추구하는 핵심적인 역량일 뿐만 아니라 특히 학생들의 자율적인 학습 능력과 전문성을 강조하는 대학교육에 있어 중요한 교육 목표이기도 하다[3].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학생들이 현대 산업사회에서 요구하는 여러 가지 능력을 기르고, 공과대학에 PBL 활용을 확산하고자 공과대학 수업에서 인공지능 과목에 PBL문제를 개발하여 PBL을 적용하고 PBL의 효과를 확인해 보고자 한다[1,4,5]. 본 논문은 1장 서론, 2장 PBL 문제 개발 절차, 3장 연구방법, 4장 연구결과, 5장 결론으로 구성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PBL은 무엇인가? PBL은 학습자들에게 실제적인 문제를 제시하여 학습자들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공동으로 문제해결 방안을 논의한 후 개별학습과 협동학습을 통해 공통의 해결안을 마련하는 과정에서 학습이 이루어지는 학습방법 및 학습환경을 말한다[6,9].
우리나라의 교육환경에서는 창의성과 문제해결 능력을 신장시키기에 매우 어려운 여건이므로 저자는 어떤 방법을 적용하고자 하는가? 그러나 우리나라의 교육환경에서는 창의성과 문제해결 능력을 신장시키기에 매우 어려운 여건에 있다. 따라서 인공지능 교과목을 수강하는 학생들에게 창의성 신장과 문제해결 능력 등 많은 능력을 기를 수 있는 문제중심 학습(PBL : Problem Based Learing)을 적용하고자 한다[11-15].
문제중심학습은 어떤 효과가 있는가? 문제중심학습은 전통적인 학업 성취도뿐만 아니라 문제해결력, 창의력 등 고차적인 인지능력을 기르는데 유용한 방법이며, 긍정적인 학습태도, 자기주도적 학습 능력 등을 기르는데도 효과가 있음이 증명되고 있다[1,2]. 이러한 고차적 사고 능력과 태도는 21세기 새로운 교육패러다임에서 추구하는 핵심적인 역량일 뿐만 아니라 특히 학생들의 자율적인 학습 능력과 전문성을 강조하는 대학교육에 있어 중요한 교육 목표이기도 하다[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5)

  1. K. S. Lee, "A Study on PBL Instructional Design for Creative Engineering Design Education," Journal of the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 15, no. 7 pp. 4573-4579, 2014. DOI: http://dx.doi.org/10.5762/KAIS.2014.15.7.4573 

  2. Y. K. Kim, "The Effects of Problem-Based Learning Instruction Student's Intrinsic Motivation and Sociality : Centering on the "Plan and Management of Housing," in Home Economics of High School, Chungang University, M.S. Thesis, 2001. 

  3. J. I. Choi, "A Case Study for the Application of PBL in Higher-Education : Focused on the Effectiveness of PBL," presented in Reflective Journal. 2007. 

  4. Jeon, Y. H., "A Study on Instruction in Education Applying the PBL Theory and Evaluation Methods: Centering on the Curriculum for Third-Graders,"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M.S. Thesis. 2008. 

  5. K. S. Lee, "Study on the Applications of Introduction of Computer Engineering Class using PBL," Journal of the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 15, no. 10 pp. 6303-6309, 2014. DOI: https://doi.org/10.5762/KAIS.2014.15.10.6303 

  6. K. S. Lee, "Case Study for the Application of PBL in Engineering -School : Focused on an Element Design Class," Journal of the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 16, no. 1, pp. 671-676, 2015. DOI: http://dx.doi.org/10.5762/KAIS.2015.16.1.671 

  7. Trop, L., & Sage, S., "Problems as possibilities : Problem-based learning for k-16 education(2nd Ed.)", Alexandria, Virginia : Association for Supervision and Curriculum Development, 2002. 

  8. Jeong-Im, Choi, "A Study on the problem design principle for Problem-Based Learning thought the case analysis", Educational Technology Research, vol. 20, no. 1, pp. 37-61. 2004. 

  9. Weiss, R. E., "Designing problems to promote higher-order thinking", In D. Knowlton and D. Sharp(Ed.), Problem-Based Learning in the Information Age(pp. 25-31). CA : Jossey-Bass Publishers, 2003. DOI: https://doi.org/10.1002/tl.109 

  10. Kyoseok Song, "Artificial Intelligence," Hanbit Media, 2017. 

  11. Soo-Jin Kim, Hee-Kyeung Kang, "The Effect of Tutor's Expertise and Teaching Experience on Learners' Satisfaction in the Problem-Based Learning," Asia-pacific Journal of Multimedia Services Convergent with Art, Humanities, and Sociology, vol. 6, no. 7, pp. 279-290, July, 2016. DOI: http://dx.doi.org/10.14257/AJMAHS.2016.07.40 

  12. Soo-Jin Kim, Hyun-Hee Kang, "A Study on Student Factors Affecting in Problem-Based Learning," Asia-pacific Journal of Multimedia Services Convergent with Art, Humanities, and Sociology, vol. 5, no. 4, pp. 601-612, Aug. 2015. DOI: http://dx.doi.org/10.14257/AJMAHS.2015.08.75 

  13. Sun-Young Kim, Soo-Jin Kim, "Effects of Learning Style on Self-Directed Readiness of Student inProblem-Based Learning," Asia-pacific Journal of Multimedia Services Convergent with Art, Humanities, and Sociology, vol. 6, no. 4, pp. 261-270, April, 2016. DOI: http://dx.doi.org/10.14257/AJMAHS.2016.04.28. 

  14. Sung-Eun Lee, Yoon-Jung Huh, "Community-Based Art Project Using PBL and Google Maps," Asia-pacific Journal of Multimedia Services Convergent with Art, Humanities, and Sociology, vol. 7, no. 10, pp. 169-181, Oct. 2017. DOI: http://dx.doi.org/10.14257/ajmahs.2017.10.06. 

  15. Hye Jin Kim, "Effects of PBL Applied to a Teaching Training Course on Cognitive, Affective, and Social Features of Pre-service Teachers," Asia-pacific Journal of Multimedia Services Convergent with Art, Humanities, and Sociology, vol. 6, no. 11, pp. 181-190, Nov. 2016. DOI: http://dx.doi.org/10.14257/AJMAHS.2016.11.4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