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MEMS 센서 기반 지반진동 정보 크라우드소싱 수집시스템 개발 현황
Development Status of Crowdsourced Ground Vibration Data Collection System Based on Micro-Electro-Mechanical Systems (MEMS) Sensor 원문보기

터널과 지하공간: 한국암반공학회지 = Tunnel and underground space, v.28 no.6, 2018년, pp.547 - 554  

이상호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지오플랫폼연구본부) ,  권지회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지오플랫폼연구본부) ,  류동우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지오플랫폼연구본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크라우드소싱을 활용한 센서 자료 수집은 기존의 방식으로 얻기 어려운 고밀도 지반 진동 정보의 수집이 가능하다. 본 연구에서는 스마트폰과 같은 소형 전자기기에 탑재된 MEMS 센서를 활용한 크라우드소싱 방식 지반 진동 수집 시스템을 개발하였으며, 이를 위한 기반 체계 설계 및 클라이언트와 서버에 대한 구현을 수행하였다. 해당 시스템은 Android 기반의 스마트폰이나 Android Things 기반의 고정식 장비를 통해 진동 데이터를 신속히 수집하면서 하드웨어의 전력 및 데이터 사용량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Using crowdsourced sensor data collection technique, it is possible to collect high-density ground vibration data which is difficult to obtain by conventional methods. In this study, we have developed a crowdsourced ground vibration data collection system using MEMS sensors mounted on small electron...

주제어

표/그림 (4)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스마트폰 등의 전자기기에 탑재된 MEMS 가속도계 및 Android Things 기반의 고정형 장비를 통한 크라우드소싱 기반의 지반 진동 수집 체계를 제안하고 이를 시범 구현하였다. 개발된 체계는 다중 방식의 클라이언트 및 수집 기법과 자원 사용최적화를 위한 구조적인 설계를 통해 활용성 및 효율성을 최대화하고자 하였다
  • 이와 같은 응답은 지진을 경험한 적이 있는 사람들을 대상으로도 마찬가지였으므로, 이는 많은 사람들이 기존에 국가가 제공하는 것 이외의 조기 경보에 대한 필요성을 크게 느끼지 못하거나, 별도의 앱 등을 설치하면서까지 해당 서비스를 이용할 의사가 적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자원 사용의 최적화 및 다양한 활용 기반의 마련을 통해 참여도를 높일 수 있는 체계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상시 모니터링을 수행하되 이상값이 발생하는 경우 해당 이상 구간의 최대값 및 발생 위치 등의 기초 자료만을 우선적으로 서버에 보고하도록 하였다. 서버에서는 수신된 해당 진동이 단일 장비의 진동인지에 대한 여부를 분석하여 최소한의 지역적 범위를 갖는 진동임이 파악되면 전체 자료를 클라이언트에 요청한다.
  • 본 연구에서는 스마트폰 등의 전자기기에 탑재된 MEMS 가속도계 및 Android Things 기반의 고정형 장비를 통한 크라우드소싱 기반의 지반 진동 수집 체계를 제안하고 이를 시범 구현하였다. 개발된 체계는 다중 방식의 클라이언트 및 수집 기법과 자원 사용최적화를 위한 구조적인 설계를 통해 활용성 및 효율성을 최대화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장점들을 활용하여 스마트폰 및 고정식 장비 기반의 크라우드소싱 지반 진동 자료 수집 시스템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전체 시스템 구조에 대한 설계 및 하드웨어 자원 사용과 자료 수집의 효율화를 위한 수집 체계를 개발하였으며, 시스템을 구성하는 서버와 클라이언트에 대한 시범 구현을 수행하였다.
  • , 2016a) 및 Earthquake Network(Finazzi, 2016)만이 출시 및 상용화되어 있다. 양 사례 모두 스마트폰으로부터 수집된 자료들을 기반으로 한 지진 조기 경보(EEW, Earthquake Early Warning)를 목적으로 하고 있으며, 사용자들로부터 수집된 정보를 이용하여 조기 경보를 수행함으로써 참여에 대한 보상을 제공하는 방식을 갖는다. MyShake의 경우 아직 조기 경보는 이루어지지 않고 있으나 실제 배포를 통한 자료 수집을 통해 6개월간 200건 이상의 지진을 감지하여 크라우드소싱 기반 지반진동 수집 체계의 효용성을 입증한 바 있으며(Kong et al.

가설 설정

  • 본 연구에서 개발하고자 하는 시스템은 분산된 장비로부터 진동 자료를 실시간으로 취득하여 서버로 취합하되, 취득을 위한 하드웨어는 고정식 장비와 이동식 장비(스마트폰)로 구분된다. 고정식 장비는 생활 또는 활동 공간 내 콘센트 등의 전원과 Wi-Fi 무선네트워크에 대한 항시 연결 및 물리적 고정을 가정하였으며, 이동식 장비는 Android 기반의 휴대용 기기를 대상으로 하여 양 장비 모두 원격으로 소프트웨어를 전달함으로써 활용할 수 있다. 이동식 장비의 경우 고정식 장비와 달리 각 장비에서 소모되는 전력 및 데이터 전송량을 최소화하여야 할 필요가 있으므로, 수집 체계는 다중의 클라이언트가 서버에 접속하는 일반적 체계를 따르되 REST(Representational State Transfer) 기반의 데이터 전달 방식과 소켓 기반 연결을 통해 항시 연결을 유지하는 형태를 병용하도록 설계하였다(Fig.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MEMS 센서를 활용한 크라우드소싱 방식 지반 진동 수집 시스템은 어떻게 설계되었는가? 본 연구에서는 스마트폰과 같은 소형 전자기기에 탑재된 MEMS 센서를 활용한 크라우드소싱 방식 지반 진동 수집 시스템을 개발하였으며, 이를 위한 기반 체계 설계 및 클라이언트와 서버에 대한 구현을 수행하였다. 해당 시스템은 Android 기반의 스마트폰이나 Android Things 기반의 고정식 장비를 통해 진동 데이터를 신속히 수집하면서 하드웨어의 전력 및 데이터 사용량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고밀도로 측정된 지반 진동 자료는 어디에서 활용할 수 있는가? , 2017). 고밀도로 측정된 지반 진동 자료는 조기 경보, 국지적 지반 해석이나 구조물의 피해 산정 등의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이 가능하나(D'Alessandro et al., 2014, Feng et al.
크라우드소싱 방식의 자료 수집 기법이란 무엇인가? , 2011). 특히 크라우드소싱(crowdsourcing) 방식의 자료 수집 기법은 참여자가 자발적으로 소프트웨어를 설치하여 이에 따른 보상을 얻도록 하는 방법으로서, 참여자가 동의하는 한 지속적으로 센서로부터 값을 취득 가능하므로 기존의 방법으로 얻기 어려운 자료를 취득할 수 있다(Cartwright, 201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Cartwright, J., 2016, Technology: smartphone science, Nature 531.7596, 669-671. 

  2. Clayton, R. W., T. Heaton, M. Chandy, A. K. Krause, M. Kohler, J. Bunn, R. Guy, M. Olson, M. Faulkner, M. Cheng, L. Strand, R. Chandy, D. Obenshain, A. Liu and M. Aivazis, 2011, Community Seismic Network, Ann. Geophys. 54, 738-747. 

  3. Cochran, E., J. Lawrence, C. Christensen and A. Chung, 2009, A novel strong-motion seismic network for community participation in earthquake monitoring, IEEE Instrum. Meas. Mag. 12, 8-15. 

  4. D'Alessandro, A., D. Luzio and G. D'Anna, 2014, Urban MEMS based seismic network for post-earthquakes rapid disaster assessment, Adv. Geosci. 40.40, 1-9. 

  5. Dunn, P. T., A. Y. Ahn, A. Bostrom and J. E. Vidale, 2016, Perceptions of earthquake early warnings on the US West Coast, Int. J. Disast. Risk Re. 20, 112-122. 

  6. Feng, M., Y. Fukuda, M. Mizuta and E. Ozer, 2015, Citizen sensors for SHM: Use of accelerometer data from smartphones, Sensors 15.2, 2980-2998. 

  7. Finazzi, F. and Fasso, A., 2017, A statistical approach to crowdsourced smartphone-based earthquake early warning systems, Stoch. Env. Res. Risk A. 31.7, 1649-1658. 

  8. Finazzi, F., 2016, The earthquake network project: Toward a crowdsourced smartphone-based earthquake early warning system, B. Seismol. Soc. Am. 106.3, 1088-1099. 

  9. Haddadi, H., A. Shakal, M. Huang, J. Parrish, C. Stephens, W. Savage and W. Leith, 2012, Report on progress at the center for engineering strong motion data (CESMD), In Proc. World Conf. Earthq. Eng., Lisbon, 1-7. 

  10. Hsieh, C. Y., Y. M. Wu, T. L. Chin, K. H. Kuo, D. Y. Chen, K, S, Wang, Y. T. Chan, W. Y. Chang, W. S. Li and S. H. Ker, 2014, Low Cost Seismic Network Practical Applications for Producing Quick Shaking Maps in Taiwan. Terr. Atmos. Ocean. Sci. 25.5, 617-624. 

  11. InvenSense, 2014, MPU-6500 Product Specification Revision 1.1. 

  12. Kim, Y., T. S. Kang and J. Rhie, 2017,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a Real-Time Warning System Based on a MEMS Seismic Network and Response Procedure for the Day of the National College Entrance Examination in South Korea, Seismol. Res. Lett. 88.5, 1322-1326. 

  13. Kong, Q., Allen, R. M., Schreier, L. and Y. W. Kwon, 2016a, MyShake: A smartphone seismic network for earthquake early warning and beyond, Science Adv. 2.2, e1501055. 

  14. Kong, Q., R. M. Allen and L. Schreier, 2016b, MyShake: Initial observations from a global smartphone seismic network, Geophys. Res. Lett. 43.18, 9588-9594. 

  15. Krizhevsky, A., I. Sutskever and G. E. Hinton, 2012, Imagenet classification with deep convolutional neural networks, In Adv. Neur. In. 1097-1105. 

  16. Pierleoni, P., S. Marzorati, C. Ladina, S. Raggiunto, A. Belli, L. Palma, M. Cattaneo and S. Valenti, 2018, Performance Evaluation of a Low-Cost Sensing Unit for Seismic Applications: Field Testing During Seismic Events of 2016-2017 in Central Italy, IEEE Sens. J. 18.16, 6644-6659. 

  17. Qiuping, W., Z. Shunbing and D. Chunquan, 2011, Study on key technologies of Internet of Things perceiving mine, Procedia Engineer. 26, 2326-2333. 

  18. Shrestha, A., J. Dang and X. Wang, 2018, Development of a smart-device-based vibration-measurement system: Effectiveness examination and application cases to existing structure. Struct. Control Health Monit. 25.3, e2120. 

  19. Yang, D., G. Xue, X. Fang and J. Tang, 2012, Crowdsourcing to smartphones: incentive mechanism design for mobile phone sensing. In Proc. Int. Conf. Mob. Comp. Networking, Istanbul, 173-184. 

  20. Zambrano, A. M., I. Perez, C. Palau and M. Esteve, 2017, Technologies of internet of things applied to an earthquake early warning system, Future Gener. Comp. Sy. 75, 206-215.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