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물 수요관리를 위한 물 사용실태 및 물 절약 설문조사
Survey on water utilization status and saving mind for water demand management 원문보기

上下水道學會誌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Water and Wastewater, v.32 no.6, 2018년, pp.507 - 515  

임봉수 (대전대학교 환경공학과) ,  권정인 (대전대학교 환경공학과) ,  저소웅 (대전대학교 환경공학과) ,  이범희 (배재대학교 건설환경철도공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results of the survey on water utilization status, the wasted water factor, the awareness, and the education and promotional activities of water saving in Daejeon City are as follows: The percentage of using tap valve with a closure was 66% when showering. 74% of water was used with closing the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종합계획은 지역적 여건과 특색을 고려한 합리적이고 현실적인 계획을 하고, 수도사업의 효율성을 높여야 한다. 또한, 물 수요관리 목표를 정하고 이를 달성하기 위하여 수립하는 종합계획으로서 수도에 대한 정책의 우선순위는 물 수요관리에 두어 국가의 물 부족사태를 미리 예방하는데 목적이 있다. 환경부의 3차 종합계획은 목표연도 2020년, 계획기간 5년(2010~2016년)으로 지난 2차 종합계획(2012~2015년)에 비해 공급자 입장의 수요관리에서 수요자 입장의 수요관리로 전환하고, 대상지역에 부합하는 계획으로 추진하여야 하므로 주요 주안점은 수요처의 물 사용량 계획, 물 절약, 교육 홍보, 물 낭비 요인, 비상시 물 수요 대응, 수도요금체계 등으로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정부의 물 수요관리 종합계획의 목적은? 본 종합계획은 지역적 여건과 특색을 고려한 합리적이고 현실적인 계획을 하고, 수도사업의 효율성을 높여야 한다. 또한, 물 수요관리 목표를 정하고 이를 달성하기 위하여 수립하는 종합계획으로서 수도에 대한 정책의 우선순위는 물 수요관리에 두어 국가의 물 부족사태를 미리 예방하는데 목적이 있다. 환경부의 3차 종합계획은 목표연도 2020년, 계획기간 5년(2010~2016년)으로 지난 2차 종합계획(2012~2015년)에 비해 공급자 입장의 수요관리에서 수요자 입장의 수요관리로 전환하고, 대상지역에 부합하는 계획으로 추진하여야 하므로 주요 주안점은 수요처의 물 사용량 계획, 물 절약, 교육 홍보,물 낭비 요인, 비상시 물 수요 대응, 수도요금체계 등으로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다.
단기적 수요관리방안은 무엇이 있는가? 물 수요관리는 일반적으로 수요를 억제 또는 절수하여 공급가능량을 맞추어가는 소극적인 관리방식으로 인식되고 있다. 단기적 수요관리방안으로는 절수기기의 보급, 수도요금의 인상, 홍보, 급수제한 등이 있고,장기적 수요관리방안은 수도요율체계 개선, 중수도 보급확대, 절수형 산업구조 유도 등이 고려되고 있다(Shin, 2003). 물 수요관리 정책을 추진함에 있어 가장 중요한 정책 대상 중의 하나는 가정에서 사용되는 생활용수의 관리인데, 이는 특히 모든 주민들이 물 사용습관 및 물 절약에 대한 인식 확산과 가장 밀접한 관계가 있다 (Choi, 2003; Shin, 2003; Baek, 2000).
물 수요관리는 어떻게 인식되는가? 물 수요관리는 일반적으로 수요를 억제 또는 절수하여 공급가능량을 맞추어가는 소극적인 관리방식으로 인식되고 있다. 단기적 수요관리방안으로는 절수기기의 보급, 수도요금의 인상, 홍보, 급수제한 등이 있고,장기적 수요관리방안은 수도요율체계 개선, 중수도 보급확대, 절수형 산업구조 유도 등이 고려되고 있다(Shin, 200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0)

  1. Baek, K.H. (2000). Management policy of water demand, Busan Development Institute, Nakdong River, 38, 2-8. 

  2. Cho, S.H. (2012). A Study on the methodology of water saving in multi-family residental buildings , Master’s Thesis, Chung Ang University. 

  3. Choi, S.Y. (2003). Recent water conservation partices in U.S., J . Environ. Polic. Adm., 11(1), 105-126. 

  4. 10.21186/IPR.2016.1.1.123 Choi. T.W. and Suh, K.W. (2016). A study on the effect of water saving awareness on purchasing intention of water saving product at home , Ind. Promot. Res., 1(1), 123-128. 

  5. Lee, B.H. and Daejeon Green Environment Center. (2017). Establishment for the comprehensive plan of water demand management in Daejeon metropolitan city , No.17-06-01-02-14, 6-9-6-12. 

  6. Kim, Y.H. (2003). Water saving of water supply equipment by considering world and our country's water resource , Magazine of the SAREK, 32(6), 17-22. 

  7. MOE(Ministry of Environment). (2016). Drawing guideline for the comprehensive plan of water demand management by three step in water demand(2016-2020). 

  8. Oh, C.W. (2010). Survey of water education for water deficiency in KOREA , Master’s Thesis,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Kyung Hee University. 

  9. 10.20434/krmc.2016.02.7.1.123 Park, J.A. and Lim, S.H. (2016). A study on the effect of the perception of water reuse on water reuse practice at home , Korean Rev. Corp. Manag., 7(1), 123-132. 

  10. Shin, W.W. (2003). Comprehensive countermeasures for water saving , Magazine of the SAREK, 32(6), 5-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