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별불가사리로부터 분리된 Asterosaponin P1의 항노화 효능
Anti-aging Effect of Asterosaponin P1 Isolated from Asterina pectinifera 원문보기

大韓化粧品學會誌 = Journal of the society of cosmetic scientists of Korea, v.44 no.4, 2018년, pp.389 - 397  

진무현 (LG 생활건강 기술연구원) ,  이소영 (LG 생활건강 기술연구원) ,  여혜린 (LG 생활건강 기술연구원) ,  김효진 (LG 생활건강 기술연구원) ,  장윤희 (LG 생활건강 기술연구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별불가사리(Asterina pectinifera Muller and Troschel)는 우리나라 전국 연안에서 흔히 볼 수 있는 토속종으로, 패류 양식장에 피해를 주는 불가사리류 중의 하나이다. 별불가사리 퇴치를 위해 대부분 건조하여 비료로 활용하고 있으며, 고부가가치 창출을 위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었으나 실제 활용은 미미한 실정이다. 따라서, 별불가사리로부터 피부 유용성분을 밝혀 새로운 활용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성분연구를 통해 별불가사리로 부터 2종의 polyhydroxysteroid와 1종의 saponin을 분리하였으며, 이의 구조를 각각 $5{\alpha}$-cholestane-$3{\beta},6{\alpha},7{\alpha},8,15{\alpha},16{\beta},26$-heptol, $5{\alpha}$-cholestane-$3{\beta},4{\beta},6{\alpha},7{\alpha},8,15{\beta},16{\beta},2$6-octol 및 asterosaponin $P_1$으로 동정하였다. 이 물질들의 피부 효능을 확인한 결과 asterosaponin $P_1$이 표피 줄기세포의 증식을 촉진시키고, 각질형성세포에서 히알루론산을 합성하는 효소인 hyaluronan synthase-2와 hyaluronan synthase-3 유전자의 발현을 증가시킴을 확인하였다. 또한, asterosaponin $P_1$섬유아세포에서 진피의 주요 콜라겐인 type 1 콜라겐의 생합성을 촉진하는 효능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들로부터, 별불가사리로부터 분리한 asterosaponin $P_1$은 노화에 동반되는 피부 증상을 개선하는 항노화 화장품 소재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starfish, Asterina pectinifera Muller and Troschel (Asterinidae) is an indigenous species commonly found in all coasts of Korea causes damages to shellfish farms. In order to exterminate A. pectinifera, they are dried and used as fertilizer. Although various studies have been conducted to create...

주제어

표/그림 (6)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개체수의 급격한 증가로 해양 생태계를 파괴해 어촌에 피해를 주고 있는 별불가사리의 산업적인 이용방안을 마련하고, 경제적 부가가치를 창출하기 위해 기능성 화장품 소재로의 가능성을 확인하고자 진행하였다. 충남 보령 무창포 해수욕장에서 별불가사리를 채집하고 이들의 성분 연구를 통해서, 2종의 polyhydroxysteroid와 1종의 saponin을 분리하였으며, 각각을 5α-cholestane-3β,6α,7α,8,15α,16β,26-heptol (1), 5α-cholestane-3β,4β,6α,7α,8,15β,16β,26-octol (2) 및 asterosaponin P1 (3)으로 동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콜라겐과 피부 노화 간에는 어떤 관계가 있는가? 진피에 존재하는 섬유아세포에서 합성되는 콜라겐은 피부 탄력의 주요 인자이나, 자외선 등의 유해 인자에 의해 증가되는 matrix metalloproteinase (MMP)가 콜라겐을 분해하여 그 양이 감소되어, 피부 노화가 촉진된다고 알려져 있다[12,13].
별불가사리의 성분과 그 성분들의 효능은 무엇인가? 별불가사리는 북태평양에 널리 분포하며, 한국, 일본, 러시아 연해주 지역 등에 분포한다고 알려져 있다. 알려진 성분으로는 polyhydroxysteroid, saponin, ganglioside, cerebroside 등이 분리 보고된 바 있으며, 20종 이상의 polyhydroxysteroid와 saponin이 Asterina 속에서 분리되었다[23-27]. 이러한 성분들의 항암, 항바이러스, 항염, 용혈작용 및 항박테리아 효능에 대해서도 보고된 바 있다[27-30].
불가사리는 무엇인가? 불가사리는 극피 동물문에 속하는 해양 저서생물로 전 세계에 1,700여 종이 보고되어 있으며 우리나라 근해의 경우 약 200여 종이 서식하고 있다. 외래종인 아무르불가사리(A.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R. M. Lavker and T. T. Sun, Epidermal stem cells: properties, markers, and location, Proc. Natl. Acad. Sci. USA, 97(25), 13473 (2000). 

  2. L. Alonso and E. Fuchs, Stem cells of the skin epithelium, Proc. Natl. Acad. Sci. USA, 100(suppl.1), 11830 (2003). 

  3. C. Blanpain and E. Fuchs, Epidermal stem cells of the skin, Annu. Rev. Cell. Dev. Biol., 22, 339 (2006). 

  4. A. Webb, A. Li, and P. Kaur, Location and phenotype of human adult keratinocyte stem cells of the skin, Differentiation, 72(8), 387 (2004). 

  5. J. R. Bickenbach, M. M. Stern, K. L. Grinnell, A. Manuel, and S. Chinnathambi, Epidermal stem cells have the potential to assist in healing damaged tissues, J. Investig. Dermatol. Symp. Proc., 11(1), 118 (2006). 

  6. N. Gago, V. Perez-Lopez, J. P. Sanz-Jaka, P. Cormenzana, I. Eizaguirre, A. Bernad, and A. Izeta, Age-dependent depletion of human skin-derived progenitor cells, Stem Cells, 27(5), 1164 (2009). 

  7. I. Ghersetich, T. Lotti, G. Campanile, C. Grappone, and G. Dini, Hyaluronic acid in cutaneous intrinsic aging, Int. J. Dermatol., 33, 119 (1994). 

  8. W. Manuskiatti and H. I. Maibach, Hyaluronic acid and skin: wound healing and aging, Int. J. Dermatol., 35, 539 (1996). 

  9. S. Karvinen, S. Pasonen-Seppanen, J. M. Hyttinen, J. P. Pienimaki, K. Toronen, T. A. Jokela, M. I. Tammi, and R. Tammi, Keratinocyte growth factor stimulates migration and hyaluronan synthesis in the epidermis by activation of keratinocyte hyaluronan synthase 2 and 3, J. Biol. Chem., 278(49), 49495 (2003). 

  10. S. Kim, B. Y. Kang, S. Y. Cho, D. S. Sung, H. K. Chang, M. H. Yeom, D. H. Kim, Y. C. Sim, and Y. S. Lee, Compound K induces expression of hyaluronan synthase 2 gene in transformed human keratinocytes and increases hyaluronan in hairless mouse skin, Biochem. Biophys. Res. Comm., 316, 348 (2004). 

  11. T. Sayo, Y. Sugiyama, Y. Takahashi, N. Ozawa, S. Sakai, O. Ishikawa, M. Tamura, and S. Inoue, Hyaluronan synthase 3 regulates hyaluronan synthesis in cultured human keratinocytes, J. Invest Dermatol., 118, 43 (2002). 

  12. F. Liebel, S. Kaur, E. Ruvolo, N. Kollias, and M. D. Southall, Irradiation of skin with visible light induces reactive oxygen species and matrix-degrading enzymes, J. Invest. Dermatol., 132(7), 1901 (2012). 

  13. L. Rittie and G. J. Fisher, UV-light-induced signal cascades and skin aging, Ageing Res. Rev., 1(4), 705 (2002). 

  14. Y. S. Kim, Selective feeding on the several bivalve molluscs by starfish, Asterias amurensis Lutken, Bull. Fac. Fish., 19, 244 (1969). 

  15. K. H. Kang, J. M. Kim, and S. T. Oh, Predation of Asterias amurensis and Asterina pectinifera on valuable bivalves at different water temperature, Korean J. Malacol., 16(1-2), 17 (2000). 

  16. Korean Patent 0044347 (2001). 

  17. H. Y. Park, J. I. Lee, K. H. Nam, and M. S. Jang, Physiochemical characteristics of calcium supplement manufactured using starfish, Korean J. Food Preserv., 19(5), 727 (2012). 

  18. H. S. Jeong, M. C. Kwon, J. G. Han, J. H. Ha, L. Jin, J. C. Kim, H. G. Kwak, B. Y. Hwang, and H. Y. Lee, Enhancement of skin immune activation effect of collagen peptides isolated from Asterias amurensis. Korean J. Food Sci. Technol., 40(5), 522 (2008). 

  19. M. C. Kwon, C. H. Kim, H. S. Kim, B. Y. Hwang, and H. Y. Lee, Anti-wrinkle activity of low molecular weight peptides derived from the collagen isolated from Asterias amurensis, Korean J. Food Sci. Technol., 39(6), 625 (2007). 

  20. Korea Patent 10-2001-0030718 (2001). 

  21. Korea Patent 10-2002-0004701 (2002). 

  22. Korea Patent 10-2003-0090586 (2003). 

  23. R. Higuchi, Y. Noguchi, T. Komori, and T. Sasaki, Biologically active glycosides from asteroidea, XVIII. $^{1}H-NMR$ spectroscopy and biological activities of polyhydroxylated steroids from the starfish Asterina pectinifera Muller et Troschel, Liebigs Ann. Chem., 1988(12), 1185 (1988). 

  24. Z. Li, G. Chen, X. Lu, H. Wang, B. Feng, and Y. Pei, Three new steroid glycosides from the starfish Asterina pectinifera, Nat. Prod. Res., 27(20), 1816 (2013). 

  25. A. A. Kicha, A. I. Kalinovsky, E. V. Levina, V. A. Stonik, and G. B. Elyakov, Asterosaponin $P_{1}$ from the starfish Patiria pectinifera, Tetrahedron Lett., 24(36), 3893 (1983). 

  26. H. Zuo, T. Wang, Y. Qi, Q. Zhao, and Z. Li, Extraction, purification and cytotoxic activity of cerebrosides from Asterina pectinifera, Adv. Mater. Res., 781-784, 682 (2013). 

  27. Y. Peng, J. Zheng, R. Huang, Y. Wang, T. Xu, X. Zhou, Q. Liu, F. Zeng, H. Ju, X. Yang, and Y. Liu, Polyhydroxy steroids and saponins from China sea starfish Asterina pectinifera and their biological activities, Chem. Pharm. Bull., 58(6), 856 (2010). 

  28. N. P. Thao, N. X. Cuong, B. T. T. Luyen, N. V. Thanh, N. X. Nhiem, Y. S. Koh, B. M. Ly, N. H. Nam, P. V. Kiem, C. V. Minh, and Y. H. Kim, Anti-inflammatory asterosaponins from the starfish Astropecten monacanthus, J. Nat. Prod., 76(9), 1764 (2013). 

  29. N. V. Ivanchina, A. A. Kicha, A. I. Kalinovsky, P. S. Dmitrenok, V. A. Stonik, R. Riguera, and C. Jimenez, Hemolytic polar steroidal constituents of the starfish Aphelasterias japonica, J. Nat. Prod., 63(8), 1178 (2000). 

  30. W. Wang, F. Li, J. Hong, C. O. Lee, H. Y. Cho, K. S. Im, and J. H. Jung, Four new saponins from the starfish Certonardoa semiregularis, Chem. Pharm. Bull., 51(4), 435 (2003). 

  31. R. Riccio, A novel group of highly hydroxylated steroids from the starfish Protoreaster nodosus, Tetrahedron, 38(24), 3615 (198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