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음성·영상 신호 처리 알고리즘 사례를 통해 본 젠더혁신의 필요성
Gendered innovation for algorithm through case studies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6 no.12, 2018년, pp.459 - 466  

이지연 (중원대학교 생체의공학과) ,  이혜숙 (한국여성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젠더혁신연구센터)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젠더혁신은 연구개발의 전 과정에서 남녀의 생물학적, 인지적, 사회적 특성 및 행동방식의 차이에 의한 성 젠더 요소를 고려하여 남녀 모두를 위한 보다 나은 연구개발과 지식을 창출하는 과정을 의미한다. 본 논문의 연구목적은 ICT산업, 자동차 산업, 빅데이터, 로봇 산업 등에 활용할 수 있는 영상 음성신호처리에서 문헌연구 및 기존 자료를 분석하고 사례 조사를 통하여 젠더혁신의 중요성을 고찰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젠더 연구를 기반으로 영상 음성신호처리의 관련된 최신 국내외 문헌을 검색하고 총 8편의 논문을 선정한다. 그리고 젠더분석 측면에서, 연구대상, 연구 환경, 연구 설계로 구분하여 살펴본다. 연구결과로써, 노인음성 신호처리, 기계학습과 젠더, 기계번역 기술, 안면 젠더인식 기술의 음성 영상신호 처리 알고리즘 논문 사례 분석을 통하여 기존의 알고리즘에 젠더편향성이 있음을 밝히고 이들 알고리즘 개발에서 상황에 맞는 성 젠더 분석이 필요함을 보인다. 또한 알고리즘 개발에 다양한 성 젠더 요소를 반영하는 젠더혁신 방법과 정책을 제안한다. 추후 ICT에서의 젠더혁신은 남녀 모두의 요구를 반영한 제품과 서비스를 개발로 새로운 시장 창출에 기여할 수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Gendered innovations is a term used by policy makers and academics to refer the process of creating better research and development (R&D) for both men and women. In this paper, we analyze the literatures in image and speech signal processing that can be used in ICT, examine the importance of gendere...

주제어

표/그림 (3)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ICT분야에서 젠더혁신을 도입하기 위해서 연구에 직접 적용할 수 있는 성·젠더 분석 방법과 연구과정에서 고려해야할 질문들을 열거하는 등 젠더혁신 연구 방법론을 제시하였다. 또한 연구개발의 수월성과 사회적 책임성을 높이기 위한 젠더혁신 정책도입을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에서는 연구개발에서 인적자원의 다양성과 연구개발팀의 젠더에 대한 높은 인식이 필요함을 보였다.
  • 본 논문의 목적은 인공지능분야에 핵심 기술인 알고리즘과 같은 수리 논리적인 분야에도 젠더 고려가 필요함을 밝혀서 ICT분야에서 젠더혁신의 필요성을 제기하고 관련 연구방법론 개발을 촉진하는 계기를 마련하고자 한다. 현 사회 흐름을 반영하여 ICT 산업, 자동차산업, 로봇 산업 등에 활용할 수 있는 영상·음성신호처리에 대하여 젠더연구 국내외 문헌연구 및 기존 자료를 분석하고 사례 조사 및 젠더혁신분석방법을 소개할 것이다.
  • 특히 만들어진 알고리즘을 수정보완하기 위해서는 막대한 비용이 추가되기 때문에 투자의 효율화를 위해서도 알고리즘 개발단계에서 젠더혁신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ICT분야에서 젠더혁신을 도입하기 위해서 연구에 직접 적용할 수 있는 성·젠더 분석 방법과 연구과정에서 고려해야할 질문들을 열거하는 등 젠더혁신 연구 방법론을 제시하였다. 또한 연구개발의 수월성과 사회적 책임성을 높이기 위한 젠더혁신 정책도입을 제시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과학기술 연구개발이 성별특성을 반영하지 못해서 여성의 요구와 기대치에 충분히 부응하지 못하고 젠더 편견을 강화할 수 있음을 살펴보았다. 특히 본 논문에 제시된 노인음성 신호처리, 기계학습과 젠더, 기계번역기술, 안면 젠더 인식 기술의 음성·영상 신호 처리 알고리즘 사례 분석을 통하여 이 기술들이 젠더 편향성을 가지고 있음을 보였고 이로 인한 사회적 폐해가 심각할 수 있음을 보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젠더혁신이 처음 쓰이기 시작한 것은? 젠더혁신은 연구개발 전 과정에 성별차이를 반영하여 남녀 모두를 위한 지식을 창출하고 기술을 개발하는 것이며, 유럽연합의 연구개발 정책과 연구 커뮤니티에서 처음 쓰이기 시작했다. ‘성별’이라는 용어는 성과 젠더를 함께 뜻하는 것으로 ‘성’은 염색체 조성 및 생리학적 특징과 같은 생물학적 기준으로 남성, 여성으로 구분된다.
젠더혁신에서 '젠더'는 무엇을 뜻하는가? ‘성별’이라는 용어는 성과 젠더를 함께 뜻하는 것으로 ‘성’은 염색체 조성 및 생리학적 특징과 같은 생물학적 기준으로 남성, 여성으로 구분된다. ‘젠더’는 사회문화적 관점에서 ‘여성스러운’ 혹은 ‘남성스러운’ 행동이나 역할 또는 제품, 기술, 지식을 형성하는 사회문화적 태도를 뜻한다[1]. 연구개발에서 성별 차이와 특성을 고려하지 않아 문제가 된 큰 사례는 1997년부터 2000년 사이에 부작용으로 미국에서 시판이 중지된 10가지 약 중에서 8가지가 남성보다 여성에게 더 부작용이 큰 것으로 알려진 것이다.
젠더혁신은 무엇인가? 젠더혁신은 연구개발 전 과정에 성별차이를 반영하여 남녀 모두를 위한 지식을 창출하고 기술을 개발하는 것이며, 유럽연합의 연구개발 정책과 연구 커뮤니티에서 처음 쓰이기 시작했다. ‘성별’이라는 용어는 성과 젠더를 함께 뜻하는 것으로 ‘성’은 염색체 조성 및 생리학적 특징과 같은 생물학적 기준으로 남성, 여성으로 구분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Center for Women in Science, Engineering, and Technology. (2013). How gender analysis of science and technology gender innovation contributes to research. Seoul : WISET. ISBN 978-89-97520-24-4 

  2. KOFWST. (2017). http://gister.re.kr/#!/main 

  3. M. O. Moon. (2014). 'Gender Innovation' in Science and Technology R & D and Knowledge Diffusion. Seoul : Policy Research Report of Science and Technology Advisory Council. 

  4. L. Zhang & M. S. Na. (2017). A qualitative study on women's daily lives and smartphone use - focusing on interviews with Chinese women in their twenties.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15(10), 467-483. 

  5. D. C. Park. (2013). Effect of news anchor's gender on affect of viewers and memory of news.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11(9), 333-339. 

  6. J. Y. Lee. (2018). Gender Analysis in Elderly Speech Signal Processing.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10(10), 351-356. 

  7. J. H. Moon & J. Y. Lee. (2015). Development of medical/electrical convergence software for classification between normal and pathological voices.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13(12), 187-192. 

  8. K. N. Lee. (2017). Voice language processing technology, how far have you come. National Korean Language Institute, New Language Life, 27(4), 99-116. 

  9. B. C. Cho, S. Cheon, K. N. Kim & H. S. Yuk. (2018). A policy study for the voice recognition technology based on elderly health care.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16(2), 9-17. 

  10. S. Y. Lee. (2011). The overall speaking rate and articulation rate of normal elderly people, Graduate program in speech and language pathology, Master these, Yonsei University. 

  11. J. Lee. (2014). KHIDI Brief. 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140(2014), 1-2. 

  12. H. T. Kim, S. H. Cho, S. M. Youn, D. I. Sun & M. S. Kim. (2000). The Changes and Characteristics of Acoustic Parameters with Aging in Korean, Korean J Otolaryngol, 2000(43), 69-74 

  13. H. J. Moon, M. H, Lee & K. H. Jeong. (2015). Authentication Performance Optimization for Smart-phone based Multimodal Biometrics.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13(6), 151-156. 

  14. S. W. Kim, H. H. Park, E. S. Park & H. S. Choi. (2010). Acoustic Characteristics of Normal Healthy Koreans with Advancing age, Phonetics and Speech Sciences, 2(4), 19-28 

  15. J. Y. Lee. (2016). Development of Voice Activity Detection Algorithm for Elderly Voice based on the Higher Order Differential Energy Operator,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4(11), 249-255. 

  16. A. Caliskan, J. J. Bryson, & A. Narayanan. (2017). Semantics derived automatically from language corpora contain human-like biases, Science. 356(6334), 183-186. DOI: 10.1126/science.aal4230 

  17. T. Bolukbasi, K. Chang, J. Zou, V. Saligrama & A. Kalai. (2016). Man is to Computer Programmer as Woman is to Homemaker? Debiasing Word Embeddings. DOI; arXiv:1607.06520 

  18. J. M. Twenge, W. K. Cambell & B. Gentile. (2012). Male and Female Pronoun Use in the U.S. Books Reflects Women's Status, 1900-2008, Sex Role, 67(9-10), 488-493. DOI : 10.1007/s11199-012-0194- 

  19. L. Schiebinger. (2014). Gendered Innovations: harnessing the creative power of sex and gender anaysis to discover new ideas and develop new technologies, Triple Helix, 1-9. 

  20. P. Jonathon Phillps et al. (2011). An Other-Race Effect for Face Recognition Algorithms, ACM digital library, 8(2). DOI: 10.1145/1870076.1870082 

  21. J. Buolamwini & T. Gebru. (2018). Gender Shade: Intersectional Accuracy Disparities in Commercial Gender Classification, Proceedings of Machine Learning Research, 81, 1-15.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