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과학기술 연구개발에서의 젠더혁신 확산방안 - 성별특성분석 토대의 젠더혁신 지원정책을 중심으로 -
Diffusion Policy for the Gendered Innovations in Science and Technology Research 원문보기

기술혁신학회지 = Journal of Korea technology innovation society, v.20 no.4, 2017년, pp.989 - 1014  

백희영 (젠더혁신연구센터) ,  우수정 (숙명여자대학교 젠더이노베이션센터) ,  이혜숙 (젠더혁신연구센터)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연구의 책임성을 추구하는 주요 선진국은 과학 연구와 기술 개발에 있어 성별특성분석의 중요성을 인식하여 젠더혁신을 진행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Fast Follower 단계에서 First Mover로 나아가기 위한 전략의 하나로 미개척 연구 분야를 선점하기 위한 젠더혁신을 적극 추진할 필요가 있다. 과학기술분야에서 젠더혁신을 확산하려면 우선 연구개발 사업 전 과정에서 성/젠더분석을 반영한 정책을 천명하고, 연구개발 지원 사업의 제안부터 평가에 이르기까지 젠더혁신 연구지원 방안을 도입하여야 한다. 특히 우리나라의 연구개발 추진체계에서 새로운 젠더혁신 연구를 정책적으로 지원하려면 법적 기반이 선행되어야 실효성을 거둘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해외사례를 분석하여 젠더혁신 관련 법 개정안을 제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Major advanced countries pursuing accountability for research and development are carrying out gendered innovations by recognizing the importance of sex and gender analysis in science research and technology development. Korea needs to actively promote gendered innovations as a strategy moving from ...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과학기술분야에서 젠더혁신을 확산하기 위해 우선 필요한 것은 무엇인가? 우리나라는 Fast Follower 단계에서 First Mover로 나아가기 위한 전략의 하나로 미개척 연구 분야를 선점하기 위한 젠더혁신을 적극 추진할 필요가 있다. 과학기술분야에서 젠더혁신을 확산하려면 우선 연구개발 사업 전 과정에서 성/젠더분석을 반영한 정책을 천명하고, 연구개발 지원 사업의 제안부터 평가에 이르기까지 젠더혁신 연구지원 방안을 도입하여야 한다. 특히 우리나라의 연구개발 추진체계에서 새로운 젠더혁신 연구를 정책적으로 지원하려면 법적 기반이 선행되어야 실효성을 거둘 수 있을 것이다.
유럽연합 집행위원회를 중심으로 연구개발 전 과정에 성/젠더요소를 반영해야한다는 공감대가 형성된 배경은 무엇인가? 1990년대 말 미국에서 여성에게 부작용이 더 많이 발생한 신약의 문제점이 연구과정에서 성차와 젠더요소 분석을 무시한 결과 완전하지 못한 지식이 창출되어 초래된 결과라는 과학적 증거들이 속속 발견되면서(Beery and Zucker 2011; Wald and Wu 2010), 유럽연합 집행위원회(European Commission; EC)를 중심으로 연구개발 전 과정에 성/젠더요소를 반영해야한다는 공감대가 형성되었다(European Commission, 2011).
우리나라의 경우 젠더혁신에 대한 연구 내용에 무엇이 있는가? 우리나라의 경우 젠더혁신에 대한 연구가 아직까지는 EU, 미국 등 주요 과학기술 선진국의 논의를 도입하는 단계에 머무르고 있는 상황이다. 현재까지 우리나라 과학기술 분야 젠더혁신에 관한 연구는 과학기술 분야의 젠더혁신에 관한 개념을 소개(문미옥, 2014)하거나 연구개발 활동에서의 성별특성 분석 사례를 소개 및 발굴(백희영, 2014)하는 방향으로 추진 중이다. 또한 과학기술 젠더혁신 추진을 위한 정책에 대한 연구는 해외 연구지원정책, 논문심사 등의 사례에 대한 탐구가 주를 이루고 있으며, 우리나라의 관련 정책 및 제도에 대한 분석과 개선방안 제시는 부족한 상황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강요셉.박종화.신선미(2016), 과학기술 젠더혁신지수 및 정책개발 연구, 한국과학기술평가원. 

  2. 김용성 (2017), "4차 산업혁명에서 바이오사업의 트렌드와 젠더혁신", 한국대학신문, (2017.05.14.). 

  3. 과학기술정보통신부 (2017), "국가연구개발사업 등의 성과평가 및 성과관리에 관한 법률". 

  4. 과학기술정보통신부 (2017), "과학기술기본법". 

  5. 과학기술정보통신부 (2017),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관리 등에 관한 규정". 

  6. 문미옥 (2014), 과학기술 연구개발 및 지식확산에서의 '젠더혁신'방안, 서울 : 국가과학기술 자문회의. 

  7. 미래창조과학부 (2014), 국가연구개발사업 성과평가 실시계획(안). 

  8. 미래창조과학부 (2016), 제3차 과학기술인재 육성.지원 기본계획('16-'20). 

  9. 백희영 (2014), 과학과 엔지니어링에서의 젠더를 반영한 연구개발 혁신 방안 연구, 서울 : 한국여성과학기술인지원센터. 

  10. 신선미 (2014), 정부 R&D지원사업 특정성별영향분석평가, 여성가족부. 

  11. 이혜숙 (2017), 연구지원정책에서 젠더혁신 적용 방안 연구, 한국연구재단. 

  12. Beery, A. and Zucker, I, (2011), Sex Bias in Neuroscience and Biomedical Research. Neuroscience and Biobehavioral Reviews, 35(3): 565-572. 

  13. Buhrer, S. and Schraudner, M. (Eds.) (2006), Wie konnen Gender-Aspekte in Forschungsvorhaben erkannt und Bewertet Werden? Karlsruhe: Fraunhofer Verlag. 

  14. Caliskan, A., Bryson, J. J. and Narayanan, A. (2017), Semantics derived automatically from language corpora contain human-like biases, Science, 356(6334), 183-186. 

  15. European Commission, "Proposal for a Regulation of the European Parliament and of the Council establishing Horizon 2020-the Framework Programme for Research and Innovation (2014-2020)", (Brussels, 2011, Memorandum), article 15. 

  16. EU (2016), "H2020 Programme Guidance on Gender Equality in Horizon 2020", 

  17. EU (2016), "H2020 Programme Guidance on Gender Equality in Horizon 2020" http://eige.europa.eu/sites/default/files/h2020-hi-guide-gender_en.pdf/. 

  18. Gender-Net (2015), "Compendium of national initiatives on the integration of the gender dimension in research contents". 

  19. Gender-Net (2016), "Manuals with guidelines on the integration of sex of grender analysis into research contents, recommendations for curricula development and indicators". http://genderedinnovations.wiset.re.kr/methods/gender.jsp 

  20. https://www.weforum.org/reports/the-global-competitiveness-report-2016-2017-1 

  21. Klinge, I. and Wiesemann, C. (Eds.) (2010), Sex and Gender in Biomedicine: Theories, Methodologies, and Results, Gottingen: Universitatsverlag. 

  22. OECD (2015), Innovation policies for inclusive growth, Paris: OECD Publishing. 

  23. Oudshoorn, N. and Pinch, T. (Eds.) (2003), How Users Matter: The Co-Construction of Users and Technologies, Cambridge: MIT Press. 

  24. Pollitzer, E., Taguena, J., Lee, H. and Watanabe, M. (2017), Connecting scientific understanding of gender issues with SDGs targets and their intervention measures, for all 17 SDGs, (Preprint). 

  25. Europea, U. (2013), Regulation (EU) No 1290/2013 Of The European Parliament and of the Council of 11 December 2013 laying down the Rules for Participation and Dissemination in "Horizon 2020 - the Framework Programme for Research and Innovation (2014-2020)" and repealing Regulation (EC) No 1906/2006, Official Journal of the European Union. 

  26. Schiebinger, L. (2008), Gendered Innovations in Science and Engineering, Stanford: Stanford University Press. 

  27. Schiebinger, L. and Klinge, I. (Eds.) (2013), Gendered Innovations: How Gender Analysis Contributes to Research, Luxembourg: Official Office of the European Union. 

  28. Strum, S. and Fedigan, L. (2000), Primate Encounters: Models of Science, Gender, and Society, Chicago: Chicago University Press. 

  29. Szulc, P., Kaufman, J. M. and Orwoll, E. S. (2012), Osteoporosis in men, Journal of osteoporosis, 2012. 

  30. Wald, C. and Wu, C. (2010), Of Mice and Women: The Bias in Animal Models, Science, 327(5973): 1571-1572. 

  31. Yu, Y., Chen, J., Li, D., Wang, L., Wang, W. and Liu, H. (2016), Systematic Analysis of Adverse Event Reports for Sex Differences in Adverse Drug Events, Scientific reports, 6: 24955. 

LOADING...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