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중고령 여성장애인의 경제활동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장애정도 매개효과 중심으로
A Study of the Impact of Economic Activity among Middle-Aged and Older Women with Disabilities on Life Satisfaction: Focused on the Mediating Effect of Disability Level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6 no.11, 2018년, pp.37 - 44  

김승완 (국립한국복지대학교 장애인행정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중고령 여성장애인을 대상으로 경제활동 참여 여부가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장애정도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장애인고용패널조사 1차 웨이브 2~8차년도에 참여한 만 45세 이상 만 65세 이하 중고령 여성장애인 4,961명을 대상으로 단계적 선형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중고령 여성장애인의 경제활동 여부는 생활만족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장애정도는 중고령 여성장애인의 경제활동 여부와 생활만족도 간에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중고령 여성장애인이 경제활동 참여에 따른 생활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다양한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장애정도를 고려한 일자리 설계가 필요함을 실천적 함의로 제시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mediating effect of disability level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conomic activity participation and life satisfaction level of middle-age and older women with disabilities. The survey respondents were 4,961 women with disabilities aged from 45 to 65 who participated i...

주제어

표/그림 (3)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후 생활만족도의 개념은 다양한 연구에서 다양하게 정의되고 있다[23,24].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생활만족도를 일상생활에서 중고령 여성장애인이 느끼는 주관적인 만족감으로 정의하고자 한다.
  • 즉, 장애가 중증인지 경증인지에 따라 표출되는 문제가 다를 뿐만 아니라 욕구의 차이가 존재하기 때문에[29-31, 33-36] 장애정도는 노동시장 진입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인이 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장애정도가 중 고령 여성장애인의 경제활동 참여에 따라 생활만족도에 매개효과를 발휘하는지 검증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중고령 여성장애인을 대상으로 경제활동 참여 여부가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장애정도 매개효과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장애인고용패널조사 1차 웨이브 2~8차년도 장애인고용패널조사(2009~2015년)에 참여한 등록장애인 중 만 45세 이상 만 65세 이하 중고령 여성장애인 4,961명을 대상으로 단계적 선형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 지금까지 여성장애인의 경제활동 참여와 취업 요인 등을 분석한 연구[8-12]들은 많이 존재하지만, 중고령 여성장애인을 대상으로 경제활동 참여가 생활만족도 간의 직접적인 인과관계 속에서 장애정도 매개효과를 밝힌 연구는 거의 없다. 이에 본 연구는 중고령 여성장애인을 대상으로 경제활동 참여와 생활만족도 간의 장애정도 매개효과를 밝힘으로써, 그들이 경제활동 참여를 통해 생활만족도를 증대시킬 수 있는 방안을 논의하고자 한다.
  • 최근에는 조기퇴직 등의 사유로 인해서 중고령자를 45세부터 정의하는 연구들이 많으며, 한국의 고령화 연구 패널조사에서는 만 45에서 65세에 속하는 장애인을 중고령 장애인으로 정의하고 있다[6]. 이에 본 연구에서는 중고령 여성장애인의 개념을 만 45세 이상 만 65세 이하에 속하며 장애를 가진 여성으로 정의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우리나라가 고령사회로 진입하면서 생기는 문제점은 무엇인가? 우리나라가 고령사회로 진입하면서 고령과 함께 장애를 동시에 지닌 중고령 장애인의 문제가 사회적으로 이슈화되고 있다. 2016년 등록 장애인수를 살펴보면, 50대 이상의 중고령층이 총 75.
고령의 여성과 여성장애인의 취약점은 무엇인가? 고령의 여성과 여성장애인은 사회적으로 억압받을 가능성이 많은 삶을 영위하면서 사회적 위험에 직면할 가능성이 높다[2-4]. 특히, 중고령 여성장애인은 노동시장에서의 구조적 요인과 장애의 요인, 고령화로 인한 건강상의 문제에 직면하면서 경제활동에서 배제될 가능성이 높은 불리한 위치에 있다[5].
중고령 여성장애인을 대상으로 경제활동 참여 여부가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은 무엇인가? 이를 위해 장애인고용패널조사 1차 웨이브 2~8차년도에 참여한 만 45세 이상 만 65세 이하 중고령 여성장애인 4,961명을 대상으로 단계적 선형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중고령 여성장애인의 경제활동 여부는 생활만족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장애정도는 중고령 여성장애인의 경제활동 여부와 생활만족도 간에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중고령 여성장애인이 경제활동 참여에 따른 생활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다양한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장애정도를 고려한 일자리 설계가 필요함을 실천적 함의로 제시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0)

  1. Employment Development Institute. (2017). 2017 Statistics on Disabled Persons at a Glance. SEONG NAM : EDI. 

  2. G. M. Park & M. A. Kim. (2017). The lives of middle-aged and older women with disabilities: Application of photo voice methodology. Korea Journal of Family Welfare, 56, 39-68. 

  3. S. Healey. (1994). The common agenda between old women, women with disabilities and all women. Women & Therapy, 14(3-4), 65-77. 

  4. K. B. Jo & J. Paik. (2018). The effect of discrimination experiences on job satisfaction of working women with disabilities: focusing on mediating effect of self-esteem.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8(2), 133-140. 

  5. J. H. Sim & M. Y. Lee. (2012). A Study on Retirement Characteristics among Middle-aged and Older Women with Disabilities and Satisfaction after Retirement. SEONG NAM : EDI. 

  6. U. J. Choi, K. S. Park & S. H. Lee. (2014). A Study on the factors affecting employment among middle-aged and older women with disabilities. Disability & Employment, 24(3), 123-146. 

  7. H. S. Lee & U. K. Sim. (2011). The conditions of economic activity among middle-aged and women with disabilities and employment promotion measures. Panel Survey of Employment for the Disabled Symposium Journal. (pp. 315-329). SEONG NAM : EDI. 

  8. J. Y. Gwak. (2010). A study on the factors for entering the labor market and maintaining employment among women with disabilities. Disability & Employment, 20(1), 79-104. 

  9. K. T. Kim, B. H. Park, C. H. Kang, S. K. Lee & K. H. Lee. (1999). Analysis on the factors affecting employment desire levels among women with disabilities. Korea Academy of Social Welfare, 37, 33-66. 

  10. H. K. Oh. (2002). Economic activity conditions and measures among Korea's disabled women. Social Sciences Research, 18, 31-49. 

  11. E. M. Lee. (2006). A study on the process of job searching and job maintenance among physically challenged women. Disability & Employment, 16(1), 67-92. 

  12. B. O. Jeong. (2010). Factors affecting employment among women with disabilities. Journal of Welfare Administration, 20(2), 143-174. 

  13. A. K. Han & H. M. Yun. (2012). A study on the influencing factors of participation in economic activity among women with severe and minor disabilities. Disability & Employment, 22(3), 125-153. 

  14. A. Barisin, T. Benjak & G. Vuletic. (2011).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of women with disabilities in relation to their employment status. Croatian Medical Journal, 52(4), 550-556. 

  15. L. M. Conyers. (2004). Understanding of HIV/AIDS and employment : Perspective of focus. Rehabilitation Counseling Bulletin, 48(1), 5-18. 

  16. A. Naami, R. Hayashi & H. Liese. (2012). The unemployment of women with physical disabilities in Ghana : Issue and recommendations. Disability and Society, 27(2), 191-204. 

  17. S. L. Schonbrun, A. P. Sales & C. M. Kampfe. (2007). RSA services and employment outcomes in consumers with traumatic brain injury. Journal of Rehabilitation, 73(2), 26-31. 

  18. J. H. Sung, Y. M. Lee & S. J. Oh. (2006). A study on the job conditions and satisfaction in women with and without a disability : Focusing on women working in the same place of business. Asia Economic Studies, 45(1), 101-140. 

  19. A. Campbell, P. E. Converse & W. L. Rodgers. (1976). The Quality of American Life : Perceptions, evaluations, and satisfactions. New York : Russell Sage Foundation. 

  20. Y. L. Choi. (2017). The impact of employment status changes among disabled persons on Life satisfaction. Korea Journal of Care Management, 23, 79-95. 

  21. A. Clover. (2008). Measuring quality of life in studies of disabled children. Paediatrics and Child Health, 18(9), 423-426. 

  22. K. J. Lee & M. S. Chung. (2017). The effect of human, social and cultural capitals on economic independence and life satisfaction in disabled persons.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8(6), 337-348. 

  23. A. Miler & S. Dishon. (2006).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multiple sclerosis : The impact of disability, gender and employment status. Quality of life Research, 15, 259-271. 

  24. A. L. Thoren-Jonsson, M. Hedber & G. Grimby. (2001). Distress in everyday life in people with Poliomyelitis Sequel. Journal of Rehabilitation Medicine, 33(3), 119-127. 

  25. S. M. Ryu. (2004). The effect of social participation among women with disabilities on quality of life.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Research, 11, 100-129. 

  26. J. S. Park, S. H. Hu & T. Y. Jeong. (2011). The effect of working conditions among paid workers with disabilities on job satisfaction and life satisfaction. Disability & Employment, 21(1), 167-186. 

  27. Y. S. Park & J. Y. Song. (2012). A longitudinal study on the effect of full-time work status changes among middle-aged and older people with disabilities on life satisfaction : Focusing on a comparison of gender and disability level. Disability & Employment, 22(4), 113-137. 

  28. Y. S. Park. (2017). A longitudinal study on the effect of changes in good job status of paid workers with disabilities on life satisfaction. Korea Journal of Care Management, 23, 57-78. 

  29. S. W. Lee. (1997). An analysis on the factors affecting employment types among the disabled : An analysis using probit. Korean Academy of Social Welfare, 33, 287-313. 

  30. E. R. Paik, H. K. Oh & D. I. Chun. (2007). A study on the employment conditions of disabled women and its influencing factors. Vocational Rehabilitation, 17(1), 223-248. 

  31. B. O. Jeong. (2010). Factors affecting employment in disabled women. Journal of Public Welfare Administration, 20(2), 143-174. 

  32. J. Kennedy & M. F. Olney. (2006). Factors associated with workforce participation among SSDI beneficiaries. Journal of Rehabilitation, 72(4), 24-30. 

  33. S. W. Kim & J. H. Jeon. (2016). A Study on economic retirement planning among middle and advanced-age disabled women : Focusing on disability level. The Women's Studies, 90(1), 131-162. 

  34. E. K. Shin & J. A. Choi. (2007). Factors of social integration among disabled persons with spinal injuries using structure equation modeling. Rehabilitation and Welfare, 11(1), 1-29. 

  35. J. S. Choi & J. Y. Son. (2010). An Influence of the disabled on the social integration : Focused on participation in the economic activities, social support and disability identity, discrimination experiences. Korean Academy of Disability and Welfare, 12, 35-66. 

  36. S. W. Kim, D. U. Kang, A. R. Koh & J. H. Kim. (2015). A study on the determinant factors of participation in part-time work among women with severe and minor disabilities. Disability & Employment, 25(1), 1-31. 

  37. J. Y. Min, H. J. Kim, H. S. Kang & S. C. Kim. (2016). 8th Panel Survey of Employment for the Disabled. SEONG NAM : EDI. 

  38. D. P. MacKinnon, C. M. Lockwood, J. M. Hoffman, S. G. West & V. Sheets. (2002). A comparison of methods to test mediation and other intervening variable effects. Psychological Methods, 7, 83-104. 

  39. R. T. Roessler & S. E. Rubin. (2006). Case Management and Rehabilitation Counseling : Procedures and Techniques. PRO-ED, Inc. 8700 Shoal Creek Blvd, Austin, TX 78757. 

  40. J. S. Jeon, H. J. Cho & M. Y. Choi. (2006). Roles and Measures of the Center for Independent Living to Expand Employment among People with Severe Disabilities. SEONG NAM : EDI.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