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중학생의 성취가치와 학업적응의 관계에서 자기조절과 진로정체감의 매개 및 조절효과
Mediating and Moderating Effects of Self-regulation and Career Identit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chievement Value and Academic Adjustment of Middle School Students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6 no.11, 2018년, pp.589 - 598  

김도희 (보람의 집)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중학생의 성취가치로 학업적응을 예측함에 있어서 자기조절의 매개효과와 진로정체감조절효과를 알아보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중학교 3학년 남학생 1088명과 여학생 970명이다. 연구방법은 SPSS와 hayes의 process macro를 사용하여 조건부과정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취가치와 학업적응 간의 관계에서 자기조절의 부분매개효과는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성취가치와 자기조절 및 성취가치와 학업적응 간의 각 관계에서 진로정체감의 조절효과는 모두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성취가치가 자기조절을 경유하여 학업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매개효과의 크기는 진로정체감의 수준에 따라 조절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성취가치가 낮은 중학생에게 진로정체감을 개발하도록 지원하는 것이 자기조절과 학업적응의 향상에 도움이 된다는 것을 보여준다. 그러나 진로정체감의 영향이 성취가치나 자기조절의 영향보다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므로, 향후 연구를 통하여 성취가치를 높이도록 지원하기 위한 방안을 강구할 것을 제안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 of self-regulation(SR)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career identity(CI) in predicting academic achievement(AA) by middle school students' achievement value(AV). The subjects were 1,088 male and 970 female students in the third year of ...

주제어

표/그림 (3)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성취가치로 학업적응을 예측함에 있어서 자기조절의 매개효과와 진로정체감의 조절효과를 살펴봄으로서 각 경로별 진로정체감의 역할을 파악하고, 학업적응 향상을 위한 실질적인 개입의 지점을 파악하고자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조건부과정모형을 바탕으로 성취가치(X)가 학업적응(Y)에 영향을 미치는 직접효과와 자기조절(M)을 경유하여 학업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간접효과가 모두 진로정체감(W)에 의하여 조절된다고 가정한 모형을 설정하였다[35].
  • 본 연구는 중학생의 성취가치로 학업적응을 예측함에 있어서 자기조절을 매개효과와 진로정체감의 조절효과를 통합적으로 알아보고자 조건부 과정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결과를 논의하면 다음과 같다.

가설 설정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성취가치로 학업적응을 예측함에 있어서 자기조절의 매개효과와 진로정체감의 조절효과를 살펴봄으로서 각 경로별 진로정체감의 역할을 파악하고, 학업적응 향상을 위한 실질적인 개입의 지점을 파악하고자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조건부과정모형을 바탕으로 성취가치(X)가 학업적응(Y)에 영향을 미치는 직접효과와 자기조절(M)을 경유하여 학업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간접효과가 모두 진로정체감(W)에 의하여 조절된다고 가정한 모형을 설정하였다[35].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학업적응의 개념은? 학교에 잘 적응하기 위해서는 학교에서 유발되는 스트레스를 적절히 처리하고, 만족감을 느끼며 학업성취를 이루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1,2]. 학교적응의 한 요인인 학업적응은 학업 과제를 수행하기 위하여 자신을 변화시키거나 학업을 위해 필요한 환경을 요구하는 과정으로서 학업에 동기를 가지고, 과정과 목표에 몰입하여 학습을 전략적으로 수행하며, 학업에 방해가 되는 요소를 통제하고, 학업환경에 만족감을 느끼는 것을 포괄하는 개념이다[3]. 성공적인 학업적응을 이뤄내는 것은 높은 성적을 내는 것과 별도로 끊기 있게 주어진 과업을 수행하는 태도를 갖게 하여 근면성 발달의 기초가 된다는 점에서 학령기에 중요한 발달과업이다[4,5].
성취가치가 높은 학생의 장점은? 성취가치는 학습행동에 가치를 부여하고, 열정을 쏟도록 하는 내재적 가치를 말한다[10,11]. 성취가치가 높은 학생은 자발적으로 학습행동에 참여하고[10], 학업과 관련된 과제에 더 많은 시간과 노력을 소비하며 어려움에 직면했을 때에도 학업을 지속하는 경향이 있다[12]. 반면에 학업과제가 흥미롭지 않거나 유용하다고 느껴지지 않으면 중도에 포기할 가능성이 높아진다[2,9].
성취가치가 높은 학생의 단점은? 성취가치가 높은 학생은 자발적으로 학습행동에 참여하고[10], 학업과 관련된 과제에 더 많은 시간과 노력을 소비하며 어려움에 직면했을 때에도 학업을 지속하는 경향이 있다[12]. 반면에 학업과제가 흥미롭지 않거나 유용하다고 느껴지지 않으면 중도에 포기할 가능성이 높아진다[2,9]. 성취가치가 학업적응에 미치는 긍정적인 영향은 국내외 학자들을 통해 꾸준히 입증되고 있다[7,1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1)

  1. D. H. Kim. (2018). The relationship between university life adaptation, sex and gender role identity.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6(6), 371-383. 

  2. O. Choi & W. S. Lee. (2014). Mediating effects of self-efficacy in the relationships between academic burnout and school adjustment of middle school students.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2(9), 455-463. 

  3. R. W. Baker. (2002). Research with the student adaptation to college questionnaire (SACQ). Neobjavljeni rad. 

  4. C. A. Wolters & M. Hussain. (2015). Investigating grit and its relations with college students' self-regulated learning and academic achievement. Metacognition and Learning, 10(3), 293-311. 

  5. K. Rimfeld, Y. Kovas., P. S. Dale & R. Plomin. (2016). True grit and genetics: predicting academic achievement from personality.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111(5), 780-789. 

  6. A. Costa & L. Faria. (2015). The impact of emotional intelligence on academic achievement: a longitudinal study in portuguese secondary school. Learning and Individual Differences, 37, 38-47. 

  7. M. Crede., M. C. Tynan & P. D. Harms. (2017). Much ado about grit: a meta-analytic synthesis of the grit literature.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113(3), 492-511. 

  8. S. S. Shim & W. H. Finch. (2014). Academic and social achievement goals and early adolescents' adjustment: a latent class approach. Learning and Individual Differences, 30, 98-105. 

  9. G. J. Kennedy & B. W. Tuckman. (2013). An exploration into the influence of academic and social values, procrastination, and perceived school belongingness on academic performance. Social Psychology of Education, 16, 435-470. 

  10. J. S. Eccles & A. Wigfield. (2002). Motivational beliefs, values, and goals. Annual Review of Psychology, 53(1), 109-132. 

  11. D. H. Schunk., P. R. Pintrich & J. L. Meece. (2008). Motivation in education: theory, research, and applications (3rd ed.). NJ: Pearson/Merrill Prentice Hall. 

  12. M. T. Wang, J. S. Eccles & S. Kenny. (2013). Not lack of ability but more choice: individual and gender differences in choice of careers in science, technology, engineering, and mathematics. Psychological Science, 24(5), 770-775. 

  13. H. C. Choi, C. H. Kwon & H. S. Cho. (2017). The prospective effect of secondary school students achievement value & mastery goal orientation on academic performance & learning activity adaption. The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17(17), 729-749. 

  14. H. J. Lim & J. C. Kim. (2014). A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attainment value, self-regulatory strategies, achievement, and academic adjustment for middle school students: a moderating effect of self-resilience. Korean Journal of Youth Studies, 21(6), 161-190. 

  15. C. Blair & C. C. Raver. (2015). School readiness and self-regulation: a developmental psychobiological approach. Annual Review of Psychology, 66, 711-731. 

  16. K. Fujita. (2011). On conceptualizing self-control as more than the effortful inhibition of impulses.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Review, 15(4), 352-366. 

  17. S. A. Schmitt, M. M. McClelland., S. L. Tominey & A. C. Acock. (2015). Strengthening school readiness for head start children: evaluation of a self-regulation intervention. Early Childhood Research Quarterly, 30, 20-31. 

  18. A. Fishbach, Y. Zhang & Y. Trope. (2010). Counteractive evaluation: asymmetric shifts in the implicit value of conflicting motivations. Journal of Experimental Social Psychology, 46(1), 29-38. 

  19. D. S. Yeager, M. D. Henderson., D. Paunesku., G. M. Walton., S. D'Mello., B. J. Spitzer & A. L. Duckworth. (2014). Boring but important: a self-transcendent purpose for learning fosters academic self-regulation.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107(4), 559-580. 

  20. S. J. Lee & K. H. Shin. (2013). Effect of achievement goal directivity and self-regulated learning strategy on the level of learning achievement.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1(12), 829-834. 

  21. B. S. Park & S. B. Yang. (2017). The effect of parent's neglect on adolescents' career identity in the time of convergence :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experience satisfaction and school adjustment.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7(3), 139-146. 

  22. J. J. Holland, D. C. Gottfredson & P. G. Power. (1980). Some diagnostic scales for research in decision making and personality: identity, information, and barrier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39(6), 1191-1200. 

  23. S. Y. Kim. (2017). The characteristics of part-time job experience of youth impact on career development.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7(3), 159-164. 

  24. S. A. Lim. (2013). A study on the structural model of career identity, achievement goal, learning flow, and academic achievement. Korean Journal of Youth Studies, 20(1), 47-62. 

  25. S. W. Park & B. H. Cho. (2017). The relationship among career decision value, academic motiva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focusing on social concern value. Journal of Future Oriented Youth Society, 14(2), 1-20. 

  26. M. R. Lee & B. H. Park. (2017).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Externalizing problems, Internalizing problems, achievement value, and school adjustment in adolescents.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17(1), 517-535. 

  27. M. H. Jo, H. Y. Lee & H. W. Lee. (2013). Longitudinal change and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career development, school life satisfaction, and achievement of high school students. The Journal of Career Education Research, 26(2), 91-112. 

  28. K. K. Ho. (2017). Analysis of relationship between career identity, motivation control, academic achievement, and life satisfaction. Ph.D. dissertation, MokPo National University. Jeonnam. 

  29. C. K. Oh. (2016). Verification of a structural model of the relations among university students' career identity, self-regulated learning, academic achievement and academic satisfaction. Korean Journal of Youth Studies, 23(1), 449-473. 

  30. B. S. Lee. (2017). The influence of youths' career identity on their academic achievement value: moderating effect of school career counseling. Journal of School Social Work, 38, 225-249. 

  31. W. B. Son. (2018). Effects of achievement value on university students career identity: focused on the mediating effects of core competencies. The Journal of Career Education Research, 31(2), 151-170. 

  32. H. J. Kang., S. H. Kang & E. M. Lim. (2016). Exploring the possibility of clustering by academic motivation and career motivation of high school students. Asian Journal of Education, 17(2), 151-175. 

  33. Y. N. Shin & W. S. Son. (2016). Latent change of academic motivation profiles: academic achievement.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54(3), 177-199. 

  34. U. M. Jo. (2018). After the implementation of the 'free semester system' ...go to private educational institute Instead of experiencing career. MBC NEWS. http://imnews.imbc.com/replay/2018/nwtoday/article/456 8926_22669.html. 

  35. A. F. Hayes. (2013). Introduction to mediation, moderation, and conditional process analysis: a regression based approach. NY: The Guilford Press. 

  36. H. L. Yang., J. E. Lee & K. J. Han. (2014). The effects of adolescent's exposure to neglect on school grades: moderation effect of career identity. Social Science Studies, 38(2), 41-62. 

  37. C. Y. Jung, J. C. Jeong, J. B. Lee, D. Y. Jeong, H. S. Lim, S. J. Lee & J. H. Lim. (2015). Career education in south korea: current status and future direction. The Journal of Career Education Research, 28(3), 155-171. 

  38. S. R. Kim. (2017). The development and effectiveness of a school academic counseling program for middle school students. Studies on Korean Youth, 28(3), 147-178. 

  39. D. Y. Cho, H. D. Kim, H. K. Bae & Y. S. Lee. (2012). A study for academic advisor system in high schools. Secondary Education Research, 60(4), 891-915. 

  40. Y. K. Kang & H. Y. Kyung. (2015). An analysis of variables influencing the academic adjustment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53(3), 61-88. 

  41. Y. S. Ka. (2015). An effect of middle school students' individual and creative field study variables on career identity. Master's thesis, Sookmyung Women's University. Seoul.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