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커피 은피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와 엘라스타제, 콜라게나제 및 티로시나제 저해효과
The Coffee Sliver Skin Extracts from Coffee Beans Exhibited Cosmetic Properties with Antioxiant Activity and Inhibitory Effects for Elastase, Collagenase and Tyrosinase 원문보기

大韓化粧品學會誌 = Journal of the society of cosmetic scientists of Korea, v.44 no.1, 2018년, pp.39 - 48  

이경은 (스템포스(주)) ,  손상혁 (피앤디 코스켐) ,  강상구 (영남대학교 생명응용과학대학 생명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커피생두의 로스팅 과정에서 쉽게 발견되는 커피 은피(coffee silver skin)의 열수와 에탄올 추출물을 사용하여 항산화, 미백, 주름개선, 세포독성실험을 진행하였다. 커피 은피의 열수와 에탄올 추출물은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농도 의존적으로 DPPH와 ABTS 라디칼 소거활성이 높아졌으며, 열수 추출물보다 에탄올 추출물이 항산화력이 높게 나타났다. 특히 에탄올 추출물의 경우 $50{\mu}g/mL$에서 92.26%의 ABTS 라디칼을 소거시켜 양성대조군과 비슷한 항산화 효과를 나타내었다. 미백효과의 정도를 조사하기 위하여 tyrosinase 저해효과와 DOPA 산화 저해효과를 조사한 결과 농도 의존적으로 저해효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주름개선효과의 정도를 조사하기 위해 elastase와 collagenase 저해 효과를 조사한 결과 elastase와 collagenase를 농도 의존적으로 저해 효과를 나타내었다. 각질형성세포(HaCaT)를 이용하여 세포독성 및 증식실험을 진행하였다. 커피 은피 추출물의 세포생존율은 무처리 대조군과 유사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그러므로 커피 은피는 주름개선, 미백, 항산화 효과를 나타내므로 화장품에 응용 가능한 기능성 소재로 평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coffee silver skin is a part of coffee beans. We report that the coffee sliver skin extracts exhibited cosmetic properties of antioxidant, anti-winkle and whitening effects. The ethanol extracts of silver skin showed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up to 92.26% in $50{\mu}g/mL$, esp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커피 은피를 화장품 소재로 활용하기 위하여 항산화, 미백 그리고 주름개선 효능과 세포독성 및 증식에 관한 생리활성 기능성을 조사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추출물들의 보다 자세한 항산화능을 조사하기 위하여 ABTS를 이용하여 라디칼 소거 활성을 측정하였다. ABTS 라디칼 소거활성측정의 원리를 간략히 이해하면, 먼저 ABTS가 potassium persulfate에 의해 전자가 산화되어 청록색을 나타내며, 이후 추출물에 포함된 항산화 물질에 의하여 전자공여능이 환원됨에 따라 청록색이 점차 옅어지는 과정을 측정하는 방법이다.
  • 본 연구에서는 커피 은피 열수와 에탄올 추출물 대한 항산화능, 미백효과, 주름개선 효과를 조사하였으며, 이들 추출물에 대한 세포독성 및 증식실험을 진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커피 은피는 무엇인가? 따라서 본 연구에서 사용한 커피 은피(coffee silver skin)는 체리라고 불리는 커피나무 열매의 일부 조직이다[13]. 또한 커피 은피는 생두라고 불리는 종자의 배유를 감싸고 있는 종자 외피이다. 커피 은피의 바깥에는 파치먼트(parchmenet)라고 불리는 내과피가 싸고 있고 그 바깥쪽은 펄프(pulp)라고 불리는 과육이 싸고 있다.
ROS의 종류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외부 환경에 의해 자극되어 피부의 노화를 진행시키는 물질 중 특히 활성산소종(reactive oxygen species, ROS)은 대사과정에서도 생성될 수 있지만 지속적인 자외선 노출로 인해 피부의 광산화적 손상을 유발할 수 있다. ROS는 산소 중심의 라디칼인 superoxide anioin radical (O2-), hydroxyl radical (⋅OH)과 같은 큰 산화력을 갖는 산소종과 비라디칼 종인 hydrogen peroxide (H2O2), singlet oxygen (1O2) 등을 포함한다[1-3]. 또한 ROS는 생체 내 세포를 구성하는 지질, 단백질 및 DNA의 산화 및 피부 진피 내 MMP-1 (matrix metalloproteinase-1) 등의 단백질 가수분해효소의 발현을 증가시킨다.
추가적인 항산화제 보충으로 ROS를 제거해야 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또한 ROS는 생체 내 세포를 구성하는 지질, 단백질 및 DNA의 산화 및 피부 진피 내 MMP-1 (matrix metalloproteinase-1) 등의 단백질 가수분해효소의 발현을 증가시킨다. 콜라겐과 엘라스틴은 세포외 매트릭스 구성 성분들이다. ROS는 이들 성분을 절단 및 비정상적인 교차결합을 유발시킴으로써 피부 노화를 촉진시키는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피부의 항산화를 강화시켜 피부노화를 지연시킬 수 있기 때문에 외부의 추가적인 항산화제 보충이 이루어져야 한다[4-8].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1)

  1. S. N. Park, Effect of natural products on skin cells: action and suppression of reactive oxygen species, J. Soc. Cosmet. Scientists Korea, 25(2), 77 (1999). 

  2. J. R. Kanofsky, H. Hoogland, R. Wever, and S. J. Weiss, Singlet oxygen production by human eosinophils, J. Biol. Chem., 263, 9692 (1988). 

  3. S. N. Park, Protective effect of isoflavone, genisteinfrom soybean on singlet oxygen induced photohemolysis of human erythrocytes, Korean J. Food Sci. Technol., 35(3), 510 (2003). 

  4. S. N. Park, Effects of flavonoids and other phenolic compounds on reactive oxygen-mediated biochemical reactions, Ph.D.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1989). 

  5. V. Afonso, R. Champy, D. Mitrovic, P. I. Collin, and A. Lomri, Reactive oxygen species and superoxide dismutases: Role in joint diseases, Joint Bone Spine, 74, 324 (2007). 

  6. M. J. Davies, Reactive oxygen species, metalloproteinases, and plaque stability, Amer. Heart J., 23, 2382 (1998). 

  7. D. Bagchi, M. Bagchi, E. A. Hassoun, and S. J. Stohs, In vitro and in vivo generation of reactive oxygen species, DNA damage and lactate dehydrogenase leakage by selected pesticides, Toxicology, 104, 129 (1995). 

  8. S. B. Berman and T. G. Hastings, Inhibition of glutamate transport in synaptosomes by dopamine oxidation and reactive oxygen species, J. Neurochem., 69(3), 1185 (1997). 

  9. A. L. Branen, Toxicological and biochemistry of butylated hydroxyanisole and butylated hydroxytoluene, J. Am. Oil Chem. Soc., 52, 59 (1991). 

  10. S. M. Barlow, Toxicological aspects of antioxidants used as food additives. In Food Antioxidant. ed. B.J.F. Hudson, 253, Elsevier, Amsterdam (1990). 

  11. S. J. Yang, K. S. Youn, H. K. No, S. H. Lee, and J. H. Hong, Optimization of extraction conditions for mate (Ilex paraguarensis) ethanolic extracts, Korean J. Food, 18, 319 (2011). 

  12. S. J. Lee, J. H. Kim, M. J. Kim, S. M. Yoon, J. C. Jeong, and N. J. Sung, Effect of garlic and medicinal plants composites on antioxidant activity and lipid levels of liver in hypercholesterolemic rats, J. Life Sci., 19, 1769 (2009). 

  13. D. W. Yeo and G. H. Hyeon, Coffee, Personally printed book, 39 (2009). 

  14. M. Minamisawa, S. Yoshida, and Takai, Determination of biologically active substances in roasted coffees using a diode-array HPLC system, Analytical sciences, Analytical Chemistry, 20(2), 325 (2004). 

  15. N. M. Saez, M. Ullate, M. A. M. Cabrejas, P. Martorell, S. Genoves, D. Ramon, and M. D. Castillo. A novel antioxidant beverage for body weight control based on coffee silverskin, Food Chemistry, 150, 227 (2014). 

  16. P. S. Murthy and H. K. Manonmani, Bioconversion of coffee industry wastes with white rot fungus pleurotus florida, J. Environmental Sci., 2(2), 145-150 (2008). 

  17. M. Saenger, E. U. Hartge, J. Werther, T. Ogada, and Z. Siagi, Combustion of coffee husks, Renewable Energy, 23(1), 103-121 (2001). 

  18. R. C. Borrelli, F. Esposito, A. Napolitano, A. Ritieni, and V. Fogliano, Characterization of a new potential functional ingredient: coffee silver skin. J. Agric. Food Chem., 52(5), 1338-1343 (2004). 

  19. A. Napolitano, V. Fogliano, A. Tafuri, and A. Ritieni, Natural occurrence of ochratoxin a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green and roasted coffees and corresponding byproducts. J. Agric. Food Chem., 55(25), 10499-10504 (2007). 

  20. M. L. Blois, Antiocidant determination by the use of a stable free radical, Nature, 181, 1199 (1958). 

  21. R. Re, N. Pellegrini, A. Proteggente, A. Pannala, M. Yang, and C. Rice-Evans, Antioxidant activity applying an improved ABTS radical cation decolorization assay, Free Radical Biology and Medicine, 26, 1231 (1999). 

  22. H. S. Mason and E. W. Peterson, Melanoproteins I. Reactions between enzyme-generated quinones and amino acids. Biochim. Biophys. Acta., 111, 134 (1965). 

  23. J. Y. Kim, H. J. Yang, K. H. Lee, S. M. Jeon, Y. J. Ahn, B. R. Won, and S. N. Park, Antioxidative and antiaging effects of Jeju native plant extracts (II), J. Soc. Cosmet. Scientists Korea, 33(3), 165 (2007). 

  24. R. J. Cannell, S. J. Kellam, A. M. Owsianka, and J. M. Walker, Results of a large scale screen of microalgae for the production of protease inhibitors. Planta Med., 54(1), 10 (1988). 

  25. E. Wunsch, H. G. Heidrich, Zur quantitativen bestimmung der collagenase. Z. Physiol. Chem., 333(1), 149 (1963). 

  26. C. C. Wei, C. W. Yu, P. L. Yen, H. Y. Lin, S. T. Chang F. L. Hsu, and V. H. Liao, Antioxidant activity, delayed aging, and reduced amyloid- ${\beta}$ toxicity of methanol extracts of tea seed pomace from Camellia tenuifolia, J. Agric. Food Chem., 62(44), 10701 (2014). 

  27. A. Kitahara, U. Matsumoto, H. Ueda, and R. Ueoka, A remarkable antioxidation effect of natural phenol derivatives on the autoxidation of r-irradiated methyl linolate, chem. Pharm. Bull., 40, 2208 (1992). 

  28. T. Hatano, Constituents of natural medicines with scavenging effects on ctive oxygen species-Tannins and related polyphenols, Natural Medicines, 49, 357 (1995). 

  29. F. Rodrigues, A. Palmeira-de-Oliveira, J. das Neves, B. Sarmento, M. H. Amaral, and M. B. P. P. Oliveira, Pharmaceutical Biology, 53(3), 386 (2015). 

  30. S. Y. Qusti, A. N. Abo-khatwa, and M. A. Bin Lahwa, Screening of antioxidant activity and phenolic content of selected food items cited in the Holly Quran, Eur. J. Biol. Sci., 2, 40 (2010). 

  31. Y. M. Choi, M. H. Kim, J. J. Shin, J. M. Park, and J. S. Lee, The antioxidant activities of the some commercial teas, J. Kor. Soc. Nutr., 32, 723 (2003). 

  32. L. Milne, P. Nicotera, S. Orrenius, and M. J. Burkitt, Effects of glutathione and chelating agents on copper-mediated DNA oxidation: Prooxidant and antioxidant properties of glutathione, Arch. Biochem. Biophys., 304, 102 (1993). 

  33. B. S. Wolfenden and R. L. Willson, Radical-cations as reference chromogens in kinetic studies of one-electron transfer reactions: pulse rsdiolysis studies of 2, 2'-azinobis-(3-ethylbenzthiazoline-6-sulphonate), J. Chem. Soc. Perkin. Trans., 2, 805 (1982). 

  34. V. J. Hearing and M. Jimenez, Mammalian tyrosinase-The critical regulatory control point in melanocyte pigmentation, Int. J. Biochem., 19(12), 1141 (1987). 

  35. T. Kuzumaki, A. Matsuda, K. Wakamatsu, S. Ito, and K. Ishikawa, Eumelanin biosynthesis is regulated by coordinate expression of tyrosinase and tyrosinase- related protein-1 genes, Exp, Cell Res., 207(1), 33 (1993). 

  36. V. del Marmol and F. Beermann, Tyrosinase and related proteins in mammalian pigmentation, FEBS Lett., 381(3), 165 (1996). 

  37. S. Briganti, E. Camera, and M. Picardo, Chemical and instrumental approaches to treat hyperpigmentation, Pigment, Cell Res., 16(2), 101 (2003). 

  38. F. Solano, S. Briganti, M. Picardo, and G. Ghanem, Hypopigmenting agents: an updated review on biological, chemical and clinical aspects, Pigment, Cell Res., 19(6), 550 (2006). 

  39. R. M. Gak, Dermatology, 5, KDA Textbook Editiong Board, Seoul (2008). 

  40. D. J. Shin, S. H. Lee, D. W. Kim, J. B. Jun, S. L. Chung, and J. C. Kim, Level of plasma elastase- ${\alpha}$ 1-proteinase inhibitor in patients with Behcet's disease. Annals of Dermatology, 11(1), 9-12 (1999). 

  41. J. H. Chung, S. Kang, J. Varani, J. Lin, G. J. Fisher, and J. J. Voorhees, Decreased extracellularsignal-regulated kinase and increased stress-activated MAP kinase activities in aged human skin in vivo. J. Invest. Dermatol., 115(2), 117-182 (200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