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흑효모를 이용한 참도박 발효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와 티로시나제 및 콜라게나제 저해효과
Evaluation of Antioxidant, Tyrosinase and Collagenase Inhibitory of Grateloupia elliptica Extracts after Aureobasidium pullulans Fermentation 원문보기

大韓化粧品學會誌 = Journal of the society of cosmetic scientists of Korea, v.46 no.1, 2020년, pp.1 - 9  

부반빈 (영남대학교 생명응용과학대학 생명공학과) ,  이경은 (영남대학교 생명응용과학대학 생명공학과) ,  강상구 (영남대학교 생명응용과학대학 생명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연구에서는 흑효모(Aureobasidium pullulans)를 이용한 참도박(Grateloupia elliptica) 발효 열수와 에탄올 추출물 및 발효하지 않은 참도박 열수와 에탄올 추출물과 항산화, 티로시나제와 콜라게나제 저해효과, 세포독성 및 증식실험을 진행하였다. 흑효모 발효 참도박 추출물과 참도박 추출물은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농도의존적으로 DPPH와 ABTS 라디칼 소거활성이 높아졌으며, 발효에 관계없이 에탄올 추출물이 열수 추출물보다 항산화 활성이 높게 나타났다. 또한 모든 시료 중 참도박 발효 에탄올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Tyrosinase 저해효과는 1,000 ㎍/mL 농도에서 참도박 발효 에탄올 추출물(GEFEE)이 9.8%로 가장 높은 결과를 나타냈으나, 모든 추출물에서 10%이하의 낮은 tyrosinase 저해효과를 나타냈다. Collagenase 저해 효과를 조사한 결과 발효와 관계없이 열수추출물에서는 collagenase 저해 효과가 미미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에탄올 추출물의 경우 농도 의존적으로 collagenase 저해효과를 나타냈다. 또한 참도박 발효에탄올 추출물의 경우 1,000 ㎍/mL에서 50.3%의 시료 중 가장 높은 저해 효과를 나타냈다. 인간세포(HaCaT, keratinocytes)를 이용하여 세포독성 및 증식실험을 진행하였다. 참도박 및 참도박 발효추출물의 세포독성 및 증식률은 무처리 대조군과 비교한 결과 시료의 모든 농도에서 90% 이상의 결과를 나타냈다. 모든 시료 중 참도박 발효 에탄올추출물이 가장 높은 항산화 활성 및 주름개선 효과를 나타냈다. 따라서 참도박 발효추출물은 우수한 항산화 효과와 주름개선 효능을 가진 화장품의 생리활성 소재로 개발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experiment, the Grateloupia elliptica (G. elliptica) was fermented using the fungus Aureobasidium pullulans (A. pullulans) and its extract was obtained from hot water and 70% ethanol solution. The extract was studied for their biological activities such as antioxidant effect, Collagenase and...

주제어

표/그림 (7)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하지만 아직까지 참도박에 대한 화장품 소재로써의 연구는 미흡한 상태이며, 또한 흑효모를 이용한 참도박 발효물에 대한 연구는 이루어지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참도박 및 참도박 발효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미백, 주름개선, 세포 독성 및 증식률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여 화장품 원료로써의 가능성을 평가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참도박 추출물들의 보다 자세한 항산화능을 조사하기 위하여 ABTS를 이용하여 라디칼 소거 활성을 측정하였다. ABTS 라디칼 소거활성측정 방법은 DPPH 방법보다 더 민감하게 항산화 능력을 알아볼 수 있는 방법으로 알려져 있다[33].
  • 본 연구에서는 화장품 기능성 소재로 개발하기 위해 참도박 추출물과 참도박 발효 추출물에 대한 항산화, 미백, 주름개선, 세포독성 및 증식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항산화 실험인 DPPH radical 소거 활성에 대한 측정 결과는 추출물을 각각 처리하였을 때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였으나 열수 추출물의 경우 발효 전후 항산화 활성은 유사한 결과를 나타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5)

  1. K. Y. Kim and N. K. Lee, Herbal extracts research trend that have effects on melanin production and control, Kor. J. Aesthet. Cosmetol., 12(4), 453 (2014). 

  2. J. Y. Kim, J. Y. Kim, C. H. Choi, J. H. Lim, M. J. Choo, S. H. Moon, and S. J. Chang, Development of pre-assessment indicator for skin aging and anti-aging effect of inner skin by the cream product containing Gynostemma pentaphyllum gypenoside fraction, J. Soc. Cosmet. Sci. Korea, 42(3), 303 (2016). 

  3. A. R. Ganesan, U. Tiwari, and G. Rajauria, Seaweed nutraceuticals and their therapeutic role in disease prevention, Food Sci. Hum. Wellness, 8(3), 252 (2019). 

  4. J. Parada, J. R. Perez-Correa, and J. Perez-Jimenez, Design of low glycemic response foods using polyphenols from seaweed, J. Funct. Foods, 56, 33 (2019). 

  5. M. M. Monagail, E. Cummins, R. Bermejo, E. Daly, D. Costello, and L. Morrison, Quantification and feed to food transfer of total and inorganic arsenic from a commercial seaweed feed, Environ. Int, 118, 314 (2018). 

  6. A. N. Aryee, D. Agyei, and T. O. Akanbi, Recovery and utilization of seaweed pigments in food processing, Curr. Opin. Food Sci., 19, 113 (2018). 

  7. N. M. Nurilmala, T. Hidayat, and F. Sudirdjo, Characteristics of seaweed as raw materials for cosmetics, Aquat. Procedia, 7, 177 (2016). 

  8. J. Fleurence and I. Levine, Seaweed in health and disease prevention, eds. J. Fleurence and I. Levine, 423, Elsevier Science Publishing Co Inc, San Diego, United States. (2016). 

  9. Y. Qin, Bioactive seaweeds for food applications: Natural ingredients for healthy diets, ed. Y. Qin, 111, Elsevier Science Publishing Co Inc, San Diego, United States. (2018). 

  10. H. Dominguez,, Functional ingredients from algae for foods and nutraceuticals, ed. H. Dominguez, 694, Elsevier's Science and Technology, Cambridge, United Kingdom. (2013). 

  11. J. Y. Berthon, R. N. Kappes, M. Bey, J. P. Cadoret, I. Renimel, and E. Filaire, Marine algae as attractive source to skin care, Free Radic. Res., 51(6), 555 (2017). 

  12. S. Joshi, R. Kumari, and V. N. Upasani, Applications of algae in cosmetics: An overview, Int. J. Innov. Res. Sci. Eng. Technol., 7(2), 1269 (2018). 

  13. J. K. Lim, A review of the usability of fucoidan extracted from brown seaweed as a functional ingredient of cosmetics, Kor. J. Aesthet. Cosmetol., 12(4), 447 (2014). 

  14. I. P. S. Fernando, K. N. Kim, D. Kim, and Y. J. Jeon, Algal polysaccharides: potential bioactive substances for cosmeceutical applications, Crit. Rev. Biotechnol., 39(1), 99 (2018). 

  15. F. A. Gomez, N. Korbee, V. C. Arrojo, R. T. A. Diaz, and F. L. Figueroa, UV photoprotection, cytotoxicity and immunology capacity of red algae extracts, Molecules, 24(2), 341 (2019). 

  16. Y. Ding, S. H. Kim, J. J. Lee, J. T. Hong, E. A. Kim, D. H. Kang, S. J. Heo, and S. H. Lee, Antimelanogenesis activity of Ecklonia cava extract cultured in tanks with magma seawater of jeju island, Algae, 34(2), 177 (2019). 

  17. N. Y. Bae, M. J. Kim, K. B. W. R. Kim, N. K. Ahn, Y. U. Choi, J. H. Park, S. H. Park, and D. H. Ahn, Anti-inflammatory effect of ethanol extract from Grateloupia elliptica holmes on lipopolysaccharideinduced inflammatory responses in RAW 264.7 cells and mice ears, J. Korean Soc. Food Sci. Nutr., 44(8), 1128 (2015). 

  18. K. Y. Kim, K. A. Nam, H. Kurihara, and S. M. Kim, Potent ${\alpha}$ -glucosidase inhibitors purified from the red alga Grateloupia elliptica, Phytochemistry, 69(16), 2820 (2008). 

  19. J. Kang, S. C. Kim, S. C. Han, H. J. Hong, Y. J. Jeon, B. Kim, Y. S. Koh, E. S. Yoo, and H. K. Kang, Hair-loss preventing effect of Grateloupia elliptica, Biomol. Ther., 20(1), 118 (2012). 

  20. M. L. Cho, G. M. Park, S. N. Kim, T. Amna, S. Lee, and W. S. Shin, Glioblastoma-specific anticancer activity of pheophorbide a from the edible red seaweed Grateloupia elliptica, J. Microbiol. Biotechnol., 24(3), 346 (2014). 

  21. J. S. Kim, M. Lee, M. Y. Song, S. W. Kwon, S. J. Kim, S. B. Hong, B. Y. Park, and B. S. Yun,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Aureobasidium spp. from flowers of the jeolla-do province in Korea, Korean J. Mycol., 46(4), 415 (2018). 

  22. Z. Chi, F. Wang, Z. Chi, L. Yue, G. Liu, and T. Zang, Bioproducts from Aureobasidium pullulans, a biotechnologically important yeast, Appl. Microbiol. Biotechnol., 82(5), 793 (2009). 

  23. C. Cheng, Y. Zhou, M. Lin, P. Wei, and S. T. Yang, Polymalic acid fermentation by Aureobasidium pullulans for malic acid production from soybean hull and soy molasses: Fermentation kinetics and economic analysis, Bioresour. Technol., 223, 166 (2017). 

  24. C. An, S. J. Ma, F. Chang, and W. J. Xue, Efficient production of pullulan by Aureobasidium pullulans grown on mixtures of potato starch hydrolysate and sucrose, Braz. J. Microbiol., 48(1), 180 (2017). 

  25. S. Suraiya, Y. B. Choi, H. D. Park, W. J. Jang, H. H. Lee, and I. S. Kong, Saccharina japonica fermented by Monascus spp. inhibit adipogenic differentiation and gene expression analyzed by real-time PCR (Q-PCR) in 3T3-L1 cell, J. Funct. Foods, 55, 371 (2019). 

  26. Korea Patent 10-1647049 (2016). 

  27. Korea Patent 10-0893350 (2009). 

  28. D. H. Park, S. T. Lee, D. Y. Jun, J. Y. Lee, M. H. Woo, K. Y. Kim, M. C. Seo, J. Y. Ko, K. S. Woo, T. W. Jung, D. Y. Kwak, M. H. Nam, and Y. H. Kim, Comparative evaluation of antioxidant activities of ethanol extracts and their solvent fractions obtained from selected miscellaneous cereal grain, Life Sci., 24(1), 26 (2014). 

  29. J. K. Suk, J. Y. Lee, H. J. Kwon, and B. W. Kim, Anti-oxidative, anti-inflammatory, and anti-melanogenic activities of Endlicheria Anomala Extract, Korean J. Microbiol. Biotechnol., 41(4), 433 (2013). 

  30. T. S. Thring, P. Hili, and D. P. Naughton, Anticollagenase, anti-elastase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extracts from 21 plants, BMC Complement Altern Med., 9, 27 (2019). 

  31. T. L. Riss, R. A. Moravec, A. L. Niles, S. Duellman, H. A. Benink, T. J. Worzella, and L. Minor, Cell viability assays, Assay Guidance Manual (2013). 

  32. C. C. Wei, C. W. Yu, P. L. Yen, H. Y. Lin, S. T. Chang, F. L. Hsu, and V. H. Liao, Antioxidant activity, delayed aging, and reduced amyloid- ${\beta}$ toxicity of methanol extracts of tea seed pomace from Camellia tenuifolia, J. Agric. Food Chem., 62(44), 10701(2014). 

  33. A. Floegel, D. O. Kim, S. J. Chung, S. I. Koo, and O. K. Chun, Comparison of ABTS/DPPH assays to measure antioxidant capacity in popular antioxidant-rich US foods, J. Food Compos. Anal., 24(7), 1043 (2011). 

  34. H. Z. Hill, W. Li, P. Xin, and D. L. Mitchell, Melanin: a two edged sword?, Pigment Cell Res., 10(3), 158 (1997). 

  35. J. H. Chung, S. Kang, J. Varani, J. Lin, G. J. Fisher, and J. J. Voorhees, Decreased extracellular-signalregulated kinase and increased stress-activated MAP kinase activities in aged human skin in vivo. J. Invest. Dermatol., 115(2), 117 (200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