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군집분석을 통한 공공 건설사업 갈등 유형화 연구
A Research for Clustering of Conflict in Public Construction Project 원문보기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Korean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v.19 no.2, 2018년, pp.61 - 72  

이지섭 (연세대학교 건설환경공학과) ,  김도윤 (연세대학교 건설환경공학과) ,  이창준 (연세대학교 건설환경공학과) ,  이정훈 (연세대학교 건설환경공학과) ,  한승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공공 건설사업에서 발생하는 갈등은 공사비 증가, 공기 지연뿐만 아니라 사회적 비용의 낭비를 초래하며 성공적이지 못한 사업으로 이어진다. 따라서 갈등의 유형을 진단하여 선행사례를 통해 적절한 해결방안을 모색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외 많은 문헌들을 고찰하여 갈등의 원인이 되는 갈등 요인을 도출하고 평가할 수 있도록 평가 기준을 수립하여 갈등을 유형화하였다. 30개의 사례에 대해 갈등 요인을 평가를 받고 군집분석을 통해 유사한 사례들을 군집화 하였다. 3개의 군집으로 구성되었으며, 각 군집의 특성에 따라 사례를 분석하여 '유해성 및 님비 시설물 갈등 군집', '환경 및 공해 갈등 군집', '핌피 및 소형 갈등'이라고 명명하였다. 추후 공공 건설사업에서 갈등 발생 시 본 유형화 기준에 따라 갈등을 평가하고 어떤 유형의 갈등인지 파악한 후 해당 군집의 선행 사례를 통한 효과적인 선행사례를 모색하여 빠르고 효과적인 갈등 해결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Conflicts in public construction projects lead to increase social costs as well as construction costs and schedule delay.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evaluate the conflict in construction project and find appropriate solutions based on previous cases. In this research, the conflict factors and cr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특히, 환경 문제나, 보상 문제, 프로 젝트의 특성 등을 반영하여 건설사업에 초점을 맞춘 갈등요 인을 제시하고자 한다. 둘째, 다양한 유형의 건설사업 사례를 분석하여 공공 건설 갈등의 유형을 정량적으로 진단하고자 한다. 셋째, 갈등이 발생한 사례들을 평가하고 비슷한 유형끼리 묶은 후 각 군집별로 갈등 과정에 있어 어떠한 특징이 있었는지 파악하고자 한다.
  • , 2007). 따라서 본 연구는 입지선정과정에서의 정보 투명 성과 사업 필요성에 대한 정보 접근성을 평가할 수 있도록 하였다.
  • 기존 연구에서 제시한 진단표, 체크리스트 등은 갈등 요인의 평가 기준에 대해 구체적으로 구분하지 않고 Yes/No, 높다/낮다 등 단순한 평가 방식이기 때문에 갈등이 어떤 원인 으로 인해 발생하는지, 어떤 환경적 요소로 인해 가장 갈등이 크게 발생했는지 등에 대한 평가를 하지 못한다. 따라서 본연구에서는 갈등 요인 별 평가 기준을 제시하여 구체적으로 유형을 나누고자 한다
  • 또한 공공갈등 사례 내용이 대부분 쓰레기 매립장, 송·변전시설, 화장장 등 비선호시설 유치와 관련된 갈등 사례의 연구가 다수지만,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 논문에서 주로 다루고 있는 비선호시설의 유치나 지역개발사업에서 발생하는 갈등 측면보다는 다양한 유형의 공공 건설사업에서 발생하는 갈등사례를 유형별로 범주화하여 분석하는데 초점을 두어 선행연구와 차별화 하고자 하였다.
  • 또한 본 연구에서는 Lee et al. (2017)이 제시한 갈등 전개 과정에 따른 갈등 시나리오 분류를 이용하여 각 군집 점수의 높고 낮음이 갈등의 정도와 일치하는지 확인하였다. 갈등 시나리오는 총 5개로 사업백지화형, 초기완화형, 사후완화형, 사업강행형, 사후발생형이다.
  • 본 연구는 군집분석을 이용해 갈등의 원인, 특성, 전개방향이 비슷한 사례들을 묶고자 하였다. 3점 척도로 평가받은 30 개의 사례들을 군집분석을 통해 유사한 사례끼리 묶은 후 군집의 갈등 원인 혹은 특성을 추출해내고 갈등 전개과정을 파악한다.
  • 둘째, 다양한 유형의 건설사업 사례를 분석하여 공공 건설 갈등의 유형을 정량적으로 진단하고자 한다. 셋째, 갈등이 발생한 사례들을 평가하고 비슷한 유형끼리 묶은 후 각 군집별로 갈등 과정에 있어 어떠한 특징이 있었는지 파악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추후에 공공 건설사업에서 갈등이 발생했을 때 해당 갈등의 특성을 갖는 군집에 속해 있는 사례를 참고하여 갈등 해결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 Olander and Landin (2008)는 갈등을 전사적 품질경영 관점에서 이해하기 위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이로써 갈등의 이해관계집단을 공급자(사업 책임자)와 소비자(외부 이해관계자)로 인식하여 공급자와 소비자의 연속적인 상호작용을 연구하였다. Toor and Ogunlana (2009)는 주요 성과지표로써 공기와 공비뿐만 아니라 안전이나 갈등관리와 같은 새로운 주요성과지표 (KPIs)를 제시하며 갈등관리의 중요성을 역설하였다.
  • (2015)은 중국에서 주로 사용하는 SNS인 웨이보에 게시된 글을 크롤링하여 문장의 긍정과 부정을 판단하는 감성분석을 수행하였다. 이를 통해 대형 수력발전소에 대한 여론을 파악하였다. Olander and Landin (2008)는 갈등을 전사적 품질경영 관점에서 이해하기 위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 셋째, 갈등이 발생한 사례들을 평가하고 비슷한 유형끼리 묶은 후 각 군집별로 갈등 과정에 있어 어떠한 특징이 있었는지 파악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추후에 공공 건설사업에서 갈등이 발생했을 때 해당 갈등의 특성을 갖는 군집에 속해 있는 사례를 참고하여 갈등 해결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 하지만 과거에는 주로 도시계획 분야에서 갈등을 연구해온 것과는 달리 점차 행정학, 사회학 등의 분야에서도 연구함으로써 단순히 갈등을 관리하는 차원을 넘어서 갈등에 대한 근본적인 원인을 파헤치는 방향으로 옮겨가는 추세이다(Yeo & Choi, 2012). 이에 따라 본 연구에 서는 갈등 진단을 위한 제도와 선행연구를 고찰함으로써 갈등을 유형화하기 위한 갈등영향요인을 도출해내고자 한다.
  • , 2007).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공사 중 발생할 수 있는 소음 및 분진 등 모든 종류의 공해와 생태계 파괴 여부 그리고 시설물이 가지는 유해성을 평가할 수 있도록 하였다
  •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연구 목적을 가지고 있다. 첫째, 공공 건설사업에서 갈등을 발생시키거나 갈등을 심화시키는 요인들을 규명하고자 한다. 특히, 환경 문제나, 보상 문제, 프로 젝트의 특성 등을 반영하여 건설사업에 초점을 맞춘 갈등요 인을 제시하고자 한다.
  • 첫째, 공공 건설사업에서 갈등을 발생시키거나 갈등을 심화시키는 요인들을 규명하고자 한다. 특히, 환경 문제나, 보상 문제, 프로 젝트의 특성 등을 반영하여 건설사업에 초점을 맞춘 갈등요 인을 제시하고자 한다. 둘째, 다양한 유형의 건설사업 사례를 분석하여 공공 건설 갈등의 유형을 정량적으로 진단하고자 한다.
  • 하지만 본 연구는 이해관계집단의 인식보다는 집단 간의 관계와 프로젝트가 갖는 사회적·환경적 특성을 고려하여 갈등의 규모를 예측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SOC사업에서의 잦은 갈등은 사회적 비용을 초해하기에 대응방안은? 이와 같은 SOC사업에서의 잦은 갈등은 사업의 장기간 지연 및 표류, 이로 인한 공사비 증가를 야기하며 갈등이 심화될 경우 분쟁 및 소송으로까지 이어지는 등 사회적 비용의 낭비를 초래한다(Lee & Lee, 2012). 따라서 정부가 공공 건설사업이나 정책을 원활하게 추진하기 위해서는 갈등에 대한 정부차원에서의 적극적인 관리가 필요하다. 갈등관리는 갈등을 사전에 예방하고 갈등 발생에 따른 사회경제적 비용을 최소화하는데 필수적이다. 한국사회는 다양한 사회갈등이 발생하고 있으나 이를 예방하거나 갈등의 유형을 정확하게 진단하여 해결방안을 제시할 수 있는 사회적 시스템은 여전히 미흡한 실정이다.
SOC사업에서의 잦은 갈등의 문제점은? 더욱이 최근 민관협력방식의 사업이 활성화되기 시작하면서 인천공항고속도로 같은 경우 환경문 제, 재산권침해, 주민보상과 공법상의 소음문제, 그리고 사용료 지불 문제까지 갈등의 대상과 원인이 확대되었으며, 갈등의 주체도 관계부처, 지방자치단체, 지역주민, 시민단체 뿐만 아니라 시행사업자, 일반 대중까지 확대되는 경우도 빈번 해지고 있다. 이와 같은 SOC사업에서의 잦은 갈등은 사업의 장기간 지연 및 표류, 이로 인한 공사비 증가를 야기하며 갈등이 심화될 경우 분쟁 및 소송으로까지 이어지는 등 사회적 비용의 낭비를 초래한다(Lee & Lee, 2012). 따라서 정부가 공공 건설사업이나 정책을 원활하게 추진하기 위해서는 갈등에 대한 정부차원에서의 적극적인 관리가 필요하다.
정부 주도하에 진행되는 공공사업들중 도로, 댐, 철도 등은 무엇인가? 정부 주도하에 진행되는 공공사업들 중 도로, 댐, 철도 등사회간접자본(Social Overhead Capital, 이하 SOC) 시설 사업의 경우 사업 시행에 따른 혜택을 지역 주민이 누리는 것으로 인식되면서 해당 지역 내의 주민들로 한정된 갈등이 대다 수를 차지하였다. 그러나 최근 SOC사업의 추진은 개인의 사유재산 침해의 차원을 넘어 환경문제를 비롯한 계획 자체의 당위성과 절차적 타당성 문제로까지 확대되면서 갈등 당사자의 범위가 넓어지며, 그 양상이 점차 심화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9)

  1. Ahn, S. H., Choi, H. J., and Yu, J. H. (2017). "Analysis of Construction Dispute Cases Considering Reward Ratio Focused on Arbitration Cases of Korean Commercial Arbitration Board." Korean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KICEM, 18(4), pp. 48-56. 

  2. Cho, E. S., and Hwang, I. S. (2008). "The Effective Criteria for Determ ining the Number of Cluster : An Application with SPSS and Microsoft Excel." Commodity Research, Korea Academy of Commodity Science & Technology, 26(1), pp. 1-9. 

  3. Cho, S. B. (2012). "A Research on Solutions and Cause relate to the Conflict of Constructions for Power Transmission Facilities : A Case Study on the pass area of Milyang-city in South Korea." Journal of Public Society, 2(2) pp. 128-168. 

  4. Choi, H. S. (2012). "A Study on the Influencing Factors of Location Conflicts by Types of Non-preferred Facilities." Journal of the Korean Urban Management Association, 25(4), pp. 123-151. 

  5. Cotton, M. (2015). "Stakeholder perspectives on shale gas fracking: a Q-method study of environmental discourses." Environment and Planning A, 47(9), pp. 1944-1962. 

  6. Eom, E. H. (2012). "Spatialities of Environmental (In) justice and Politics of Scales through the electricity transmission tower conflicts in Miryang." Korea. Space and Environment, 42, pp. 51-91. 

  7. Eun, J. H. (2011). "Military Bases Siting Conflict Analysis: Study of Contrasting Cases Through Discourse Analysis." Korean Public Administration Review, 45(4), pp. 55-85. 

  8. Ha, H. Y. (2007). "Analysis on Critical Factors of Conflict Resolution in Public Sectors: Focused on the Effect of Major Factors in the Conflict Management." Korean Public Administration Review, 41(3), pp. 273-296. 

  9. Ham, Y. S., and Hyun, S. H. (2013). "Analysis of Conflict Adjustment Process for the Selection of Location of Non-Favorable Facilities in Local Government : Focused on Case of Seoul Memorial Park and Ulsan Memorial Park." Journal of Governmental Studies, Korea University Research Center of Government Studies, pp. 451-492. 

  10. Hartigan, J. A., and Wong, M. A. (1979). "Algorithm AS136: A K-Means Clustering Program." Applied Statistics, 28(1), pp. 100-108. 

  11. Hong, S. M., and Park, H. Y. (2006). "A Study on the Generation and Amplification Factors of Public Policy Conflict." Proceedings of Korean Public Administration Conference, pp. 903-918. 

  12. Hyundai Research Institute (HRI) (2016). Weekly Economic Review. 16. 45. 

  13. Jeong, D. R., Yu, B. G., and Kim, J. J. (2005). "Classifying Strategic Types Through Strategic Group Analysis In Construction Industry." Korean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KICEM, 6(2), pp. 102-110. 

  14. Jeong, H. S., Lee, C. H., and Kim, Y. M. (2005). "Status of Environmental Conflict and Policy Tasks." National Research Council for Economics,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pp. 205-251, 271-308. 

  15. Jeong, J. H. (2007). "The Rationality of Location Policy Making on the Dangerous Facilities: Focusing on Siting Radioactive Waste Disposal Facilities." The Korean Journal of Local Government Studies, 11(2), pp. 153-173. 

  16. Jiang, H., Lin, P., and Qiang, M. (2015). "Public-Opinion Sentiment Analysis for Large Hydro Projects."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142(2), pp. 1-12 

  17. Kim, H. J., and Heo, J. (2013). Statistical analysis and interpretation using SPSS 21.0, 1st ed, TOPBOOKS, Seodaemoon, pp. 404-405. 

  18. Kim, H. R., and Choi, J. S. (2009). "A study on the types of conflict resolution and mediation in the public conflicts." Proceedings of Korean Public Administration Conference, pp. 319-335. 

  19. Kim, S. H. (2016). Analysis of multivariate data, 1st edition, Bubmoonsa, Paju, pp. 188-189. 

  20. Lattin, J. M., Carroll, J. D., and Green, P. E. (2002). Analyzing Multivariate Data, 1st ed, Brooks/Cole, USA, pp. 302-303. 

  21. Lee, C., Won, J. W., Jang, W., Jung, W., Han, S. H., and Kwak, Y. H. (2017). "Social conflict management framework for project viability: Case studies from Korean megaprojects." International Journal of Project Management, 35(8), pp. 1683-1696. 

  22. Lee, J. Y. (2006). "A Comparative Study on the Conflict Management between Cheonggyecheon Restoration Project and Busan Disclose Project." Graduate School of Policy Science, Ewha Womans University, pp. 32-44. 

  23. Lee, M. C. (2010). "A Study on Conflict in the Construction of Yangsan Route in the Seoul-Busan High-Speed Railway." Graduate School of University of Ulsan, pp. 48-69. 

  24. Lee, R. N., and Lee, H. K. (2012). "Estimate the Period and Cost of Projects by Estimating the Conflict Index - Concentrated on the Apartment Reconstruction Project -." Korean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KICEM, 13(1), pp. 87-94. 

  25. Lee, S. J., Moon, J. H., Chang, E. G., Park, H. S., Kim, G. M., and Kim, J. S. (2012). "Determinants of Public Conflict Resolution in Regional Development Projects." The Korea Spatial Planning Review, pp. 195-220. 

  26. Lee, S. W., Kim, K. G., Shim, J. S., Ryu, D. A., Cho, K . H., Kim, J. S., and Park, H. J. (2015). "Exploratory research for the development of public conflict checklist : Focusing on prevention and diagnosis of public conflict." Journal of local government studies, 27(2), pp. 319-343. 

  27. Lee, Y. H. (2013). "A Study on the Cause and Resolution of Public Conflicts." Korean Public Management Review, 27(1), pp. 1-26. 

  28. Li, T. H., Ng, S. T., and Skitmore, M. (2013). "Evaluating stakeholder satisfaction during public participation in major infrastructure and construction projects: A fuzzy approach." Automation in construction, 29, pp. 123-135. 

  29. Mok, K. Y., Shen, G. Q., and Yang, J. (2015). "Stakeholder management studies in mega construction projects: A review and future directions." Internaional Journal of Project Management, 33(2), pp. 446-457. 

  30. National Assembly Fact-finding Committee for Jeju Naval Base (2011). Jeju Naval Base Report, pp. 60-88. 

  31. Ogunlana, S. O. (2010). "Beyond the 'iron triangle': Stakeholder perception of key performance indicators (KPIs) for large-scale public sector development projects." International journal of project management, 28(3), pp. 228-236. 

  32. Olander, S. (2007). "Stakeholder impact analysis in construction project management." Construction management and Economics, 25(3), pp. 277-287. 

  33. Olander, S., and Landin, A. (2008). "A comparative study of factors affection the external stakeholder management process." Construction management and economics, 26(6), pp. 553-561. 

  34. Paek, J. S. (2002). "A Study on the Memorial Park in Seoul Metropolitan." Korean Society and Public Administration, 13(2), pp. 191-216. 

  35. Park, C. G. (1999). "A study on the Conflict Adjustment between Local Government - Focused on the Case of Wichon Industrial Complex -." Graduate School of Economics, Gwangju University, pp. 53-67. 

  36. Park, H. S. (2017). Multivariate data analysis, 1st edition, Freedom Academy, Paju, pp. 273-284. 

  37. Park. H. S., Gam, S. W., Lee, S. J., Jang, E. G., and Kim, G. G. (2007). "Conflict indicators and their practical application in public works."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Human Settlements (KRIHS), pp. 17-59. 

  38. Yeo, K. H., and Choi, G. H. (2012). "A Study on the Conflict Structure and Conflict Causes in the Urban edevelopment Projects : Focusing on the 4th Yongsan Region, Seoul." Journal of The Korean Regional Development Association, 24(2), pp. 67-87. 

  39. Yim, J. B. (2007). "A Study on the Conflict Management Strategy between Local Government through a Comparative Analysis of NIMBY and PIMFY." The Korean Journal of Local Government Studies, 11(3), pp. 155-179.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