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인공위성과 재분석모델 자료의 다중 증발산 자료를 활용하여 최적 증발산 산정 연구
Estimation of the optimal evapotranspiration by using satellite- and reanalysis model-based evapotranspiration estimations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v.51 no.3, 2018년, pp.273 - 280  

백종진 (성균관대학교 건설환경연구소) ,  정재환 (성균관대학교 수자원전문대학원) ,  최민하 (성균관대학교 수자원전문대학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수문순환에서 증발산의 정확한 산정은 수문분석 및 이해에 있어서 매우 중요하다. 특히, 증발산을 산정하는 방법은 다양하며, 각각 방법 마다 장단점을 가지고 있다. 그렇기 때문에, 각 다른 방법으로 산전된 결과를 융합하여 최적의 증발산을 산출해야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대표적으로 인공위성 기반의 증발산 모델인 revised RS-PM과 MS-PT 방법에서 산출된 증발산과 모델 자료인 Global Land Data Assimilation System (GLDAS)와 Global Land Evaporation Amsterdam Model (GLEAM)자료들을 융합함으로써 최적의 증발산을 산출하고자 하였다. 연구 지역인 청미천과 설마천에서의 플럭스 타워에서 융합된 증발산에 대해서 검증을 실시하였다. 통계학적인 결과(상관계수, 일치도, MAE, RMSE)를 확인하였을 때, 기존의 인공위성과 모델에서 산출되는 증발산 결과에 비해 향상되는 결괄르 나타내었다. 전반적으로 결과를 확인하였을 때, 융합된 자료가 보다 향상된 결과를 보일 수 있을 것이라는 것을 나타내었으며, 추후에는 더 많은 모델을 사용하여 융합함으로써 보다 정확한 결과를 산출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ccurate estimation of evapotranspiration is mightily important for understanding and analyzing the hydrological cycle. There are various methods for estimating evapotranspiration and each method has its own advantages and limitation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 optimal evapotranspira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각기 다른 증발산 모델의 결과들을 이용하여 최적의 증발산 산정 결과를 산출하기 위해서 Taylor skill score를 이용한 증발산 자료의 융합(fusion)을 실시함으로써 인공위성 기반의 최적의 증발산 산정 결과 산출에 대한 연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먼저, 연구지역으로 우리나라에서의 실제증발산이 관측이 가능한 청미천과 설마천에 대해서 2011년부터 2013년까지에 대하여 연구를 실시하였으며, Yao et al. (2017)에서 제안된 Taylor skill score를 이용한 Simple Taylor Skill (STS) fusion 방법을 적용함으로써 최종적으로 산정되는 융합된 자료의 결과에 대해서 평가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증발산의 양을 정확히 산정하기 어려운 이유는 무엇인가? 이는 세부적으로 식생의 기공에서 방출되는 증산(transpiration)과 지표면과 식생의 표면에서 증발(evaporation)의 합으로 정의되어있다. 증발산의 양은 토양의 수분함량, 식생의 종류 및 성장상태, 습도, 기온, 복사에너지, 일조시간 등의 지상과 기상인자들에 의해서 달라지기 때문에 정확히 산정하는데 어려움이 많다.
증발산이란 무엇인가? 수문순환에서 관련된 핵심인자 중 증발산(Evapotranspi-ration, ET)은 지표면 강우의 약 70% 정도를 차지하고 있는 중요한 인자이다. 이는 세부적으로 식생의 기공에서 방출되는 증산(transpiration)과 지표면과 식생의 표면에서 증발(evaporation)의 합으로 정의되어있다. 증발산의 양은 토양의 수분함량, 식생의 종류 및 성장상태, 습도, 기온, 복사에너지, 일조시간 등의 지상과 기상인자들에 의해서 달라지기 때문에 정확히 산정하는데 어려움이 많다.
증발산 산정에 관련된 연구들이 개발 및 발전되어왔지만 이를 융합하지 못한 이유는 무엇인가? , 2013) 등이 개발 및 발전되어왔다. 하지만, 각 증발산 모델의 방법론과 증발산의 세부적인 구분, 활용되는 parameter 등의 상이하고, 지형 및 지역, 식생 종류에 의한 차이가 발생하여 정확도가 다르게 나타난다(Yao et al., 201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Baek, J., Sur, C., and Choi, M. (2013). "Assessment of outgoing longwave radiation using COMS: Cheongmi and Sulma catchments."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Vol. 46, No. 5, pp. 465-476. 

  2. Baik, J., Park, J., and Choi, M. (2016). "Assessment of actual evapotranspiration using modified satellite-based priestley-taylor algorithm using MODIS products."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Vol. 49, No. 11, pp. 903-912. 

  3. Baik., J., and Choi, M. (2015). "Evaluation of remotely sensed actual evapotranspiration products from COMS and MODIS at two different flux tower sites in Korea." International Journal of Remote Sensing, Vol. 36, No. 1, pp. 375-402. 

  4. Bastiaanssen, W. G. M. (2000). "SEBAL-based sensible and latent heat fluxes in the irrigated Gediz basin, Turkey." Journal of Hydrology, Vol. 229, No. 1-2, pp. 87-100. 

  5. Bastiaanssen, W. G. M., Menenti, M. A., Feddes, R. A., and Hollslag, A. A. M. (1998). "A remote sensing surface energy balance algorithm for land (SEBAL) 1. Formulation." Journal of Hydrology, Vol. 212, No. 13, pp. 198-212. 

  6. Byun, K., Liaqat, U. W., and Choi, M. (2014). "Dual-model approaches for evapotranspiration analyses over homo-and heterogeneous land surface conditions."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Vol. 197, pp. 169-187. 

  7. Byun, K., Shin, J., Lee, Y., and Choi, M. (2013). "Validation of net radiation measured from fluxtower based on eddy covariance method: case study in Seolmacheon and Cheongmicheon Watersheds."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Vol. 46, No. 2, pp. 111-122. 

  8. Cleugh, H. A., Leuning, R., Mu, Q., and Running, S. W. (2007). "Regional evaporation estimatesfrom flux tower and MODIS satellite data." Remote Sensing of Environment, Vol. 106, No. 3, pp. 285-304. 

  9. Fisher, J. B., Tu, K. P., and Baldocchi, D. D. (2008). "Global estimates of the land atmosphere water flux based on monthly AVHRR and ISLSCP-II data, validated at 16 FLUXNET sites." Remote Sensing of Environment, Vol. 112, No. 3, pp. 901-919. 

  10. Jeong, S., Jang, K., Kang, S., Kim, J., Kondo, H., Camo, M., Asanuma, J., Saigusa, N., Wang, S., and Han, S. (2009). "Evaluation of MODIS-derived Evapotranspiration at the Flux Tower Sites in East Asia."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Vol. 11, No. 4, pp. 174-184. 

  11. Kim, K., Baik, J., Lee, J., Lee, Y., Jung, S., and Choi, M. (2016). "An assessment and analysis of the gap-filling techniques for revising missing data of flux tower based evapotranspiration -FAO-PM, MDV, and Kalman filter-."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Vol. 16, No. 6, pp. 95-107. 

  12. Lee, Y., Lee, J., Choi, M., and Jung, S. (2015). "Evaluation of MODIS-derived evapotranspiration according to the water budget analysis."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Vol. 48, No. 10, pp. 831-843. 

  13. Miralles, D. G., De Jeu, R. A. M., Gash, J. H. C., Holmes, T. R. H., and Dolman, A. J. (2011). "Magnitude and variability of land evaporation and its components at the global scale." Hydrology and Earth System Sciences, Vol. 15, No. 3, pp. 967-981. 

  14. Monteith, J. L. (1965). "Evaporation and the environment." Symposia of the Society for Experimental Biology, Vol. 19, pp. 205-234. 

  15. Mu, Q., Heinsch, F. A., Zhao, M., and Running, S. W. (2007). "Development of a global evapo-transpiration algorithm based on MODIS and global meteorology data." Remote Sensing of Environment, Vol. 111, No. 4, pp. 519-536. 

  16. Mu, Q., Zhao, M., and Running, S. W. (2011). "Improvements to a MODIS global terrestrial evapotranspiration algorithm." Remote Sensing of Environment, Vol. 115, No. 8, pp. 1781-1800. 

  17. Park, J., and Choi, M. (2015). "Estimation of evapotranspiration from ground-based meteorological data and global land data assimilation system (GLDAS)." Stochastic Environmental Research and Risk Assessment, Vol. 29, No. 8, pp. 1963-1992. 

  18. Penman, H. L. (1948). "Natural evaporation from open water, bare soil and grass." Proceedings of the Royal Society of London. Series A, Mathematical and Physical Sciences, Vol. 193, No. 1032, pp. 120-145. 

  19. Priestley, C. H. B., and Taylor, R. J. (1972). "On the assessment of surface heat flux and evap-oration using large-scale parameters." Monthly Weather Review, Vol. 100, No. 2, pp. 81-92. 

  20. Shuttleworth, W. J., and Wallace, J. S. (1985). "Evaporation from sparse crops-an energy combination theory." Quarterly Journal of the Royal Meteorological Society, Vol. 111, No. 469, pp. 839-855. 

  21. Sur, C., Han, S., Lee, J., and Choi, M. (2012). "Estimation of satellite-based spatial evapotranspiration and validation of fluxtower measurements by eddy covariance method."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Vol. 28, No. 4, pp. 435-448. 

  22. Taylor, K. E. (2001), "Summarizing multiple aspects of model performance in a single diagram." Journal of Geophysical Research: Atmospheres, Vol. 106, No. D7, pp. 7183-7192. 

  23. Wang, K., and Liang, S. (2008). "An improved method for estimating global evapotranspiration based on satellite determination of surface net radiation, vegetation index, temperature, and soil moisture." Journal of Hydrometeorology, Vol. 9, No. 4, pp. 712-727. 

  24. Yao, Y., Liang, S., Cheng, J., Liu, S., Fisher, J. B., Zhang, X., Jia, K., Zhao, X., Qin, Q., Zhao, B., Han, S., Zhou, G., Zhou, G., Li, T., and Zhao, S. (2013). "MODIS-driven estimation of terrestrial latent heat flux in China based on a modified Priestley-Taylor algorithm."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Vol. 171-172, pp. 187-202. 

  25. Yao, Y., Liang, S., Li, X., Zhang, Y., Chen, J., Jia, K., Zhang, X., Fisher, J., Wang, X., Zhang, L., Xu, J., Shao, C., Posee, G., Li, Y., Magliulo, V., Varlagin, A., Moors, E. J., Boike, J., Macfarlane, C., Kato, T., Buchmann, N., Billesbach, D. P., Berimger, J., Wolf, S., Papuga, S. A., Wohlfahrt, G., Montagnani, L., Ardo, J., Paul-Limoges, E., Emmel, C., Hortnagl, L., Sachs, T., Gruening, C., Gioli, B., Lopez-Ballesteros, A., Steinbrecher, R., and Gielen, B. (2017). "Estimation of high-resolution terrestrial evapotranspiration from Landsat data using a simple Taylor skill fusion method." Journal of Hydrology, Vol. 553, pp. 508-526. 

  26. Yao, Y., Liang, S., Zhao, S., Zhang, Y., Qin, Q., Cheng, J., Jia, K., Xie, X., Zhang, N., and Liu, M. (2014), "Validation and application of the modified satellite-based priestley-taylor algorithm for mapping terrestrial evapotranspiration." Remote Sensing, Vol. 6, pp. 880-904. 

  27. Zhu, G., Li, X., Zhang, K., Ding, Z., Han, T., Ma, J., Huang, C., He, J., and Ma, T. (2016). "Multi model ensemble prediction of terrestrial evapotranspiration across north China using Bayesian model averaging." Hydrological Processes, Vol. 30, No. 16, pp. 2861-2879.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유발과제정보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