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노인의 자원봉사활동 참여와 건강관련 삶의 질과의 관련성
The Relations between Participation in Voluntary Service Activity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among the Elderly 원문보기

農村醫學·地域保健 = Journal of agricultural medicine & community health, v.43 no.1, 2018년, pp.1 - 8  

정미화 ((사)참사랑문화교육진흥협회) ,  박종 (조선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  류소연 (조선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노인의 자원봉사활동의 참여와 건강관련 삶의 질의 관계를 규명하기 위하여 65세 이상 남녀노인 318명을 대상으로 2012년 5월 1일부터 6월 30일까지 질문지를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고, 다중선형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노인 중 자원봉사활동에 참여하고 있는 경우는 48.1%였으며, 자원봉사활동에 참여하고 있는 노인이 참여하지 않은 노인에 비해 건강관련 삶의 질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 본 연구결과, 자원봉사활동 참여가 노인의 건강관련 삶의 질에 긍정적 영향을 줄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고, 향후 노인의 자원봉사활동 참여를 확대시킬 수 있는 방안과 이에 대한 효과검증을 위한 연구수행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dentify the relations between the old's participation in voluntary service activities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Methods: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318 elderly people aged over 65 years. They were interviewed with the use of a questionnaire from...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노인의 자원봉사활동 참여는 노년의 사회적 존재감을 느끼고, 노후의 행복도,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줄 수 있다고 사료되나, 노인의 자원봉사활동 참여 여부와 건강관련 삶의 질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노인의 자원봉사활동의 참여와 건강관련 삶의 질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하여 본 연구를 시작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국내 자원봉사자 등록자 현황은 어떠한가? 최근 국내 자원봉사자 등록자수는 2009년말 6,310,334명으로 전년 대비 18% 가량 증가하였으며, 여성이 57%로 남성보다 참여가 많았고, 특히 65세 이상 노인의 자원봉사활동 참여는 19.3%이었다[5]. 노인의 자원 봉사와 관련된 선행 연구에서 Thoits와 Hewitt[6]는 노인의 자원봉사활동 참여는 행복과 삶의 만족에 영향을 미친다고 하였으며, Oman 등[7]의 연구에서도 자원봉사활동에 참여한 노인일수록 사망 연령이 높아진다고 하였다.
자원봉사에 참여하는 노인의 삶의 질은 어떠한가? 자원봉사에 참여하는 노인의 건강관련 삶의 질은 자원봉사활동을 통해서 긍정적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자원봉사활동을 참여함으로써 노후의 생활 만족, 심리적 안녕, 자립적인 자존감이 증가된다[8]. 또한 노년기의 자원봉사활동은 자신의 유용성을 느끼는 기회이며, 건강 및 노화의 수준과 자신의 능력에 맞는 활동 등을 선택하여 폭넓은 대인관계 형성의 가능 등을 통해 새로운 노년기를 적응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3,4,9-11].
자원봉사에 참여하는 노인은 자원봉사로부터 도움을 얻을 수 있는가? 자원봉사에 참여하는 노인의 건강관련 삶의 질은 자원봉사활동을 통해서 긍정적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자원봉사활동을 참여함으로써 노후의 생활 만족, 심리적 안녕, 자립적인 자존감이 증가된다[8]. 또한 노년기의 자원봉사활동은 자신의 유용성을 느끼는 기회이며, 건강 및 노화의 수준과 자신의 능력에 맞는 활동 등을 선택하여 폭넓은 대인관계 형성의 가능 등을 통해 새로운 노년기를 적응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3,4,9-11]. 또한 노인의 자원봉사활동 참여가 개인행동보다는 폭넓은 대인관계 형성을 통한 만남의 중요성으로 인식되고 있다[9-1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Tanner EK. Recognizing late-life depression; Why is this important for nurse in setting. Geriatr Nurs 2005;26(3):145-149 

  2. Son SY. Factors affecting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in elderly women. Korean J Women Health Nurs 2009;15(2):99-107 (Korean) 

  3. Ju KH. Elder's level of social participation and quality of life by objective and subjective indicators. J Community Welfare 2011;39:231-264 (Korean) 

  4. Kwon MA, Kim TH. A Study on the satisfaction with life for the elderly. J Korea Gerontological Society 2008;28(4):1089-1111 (Korean) 

  5. Park KS. A study on the effects of professional volunteering activities of the elderly on successful aging [dissertation]. Seoul, Hansung University, 2012 (Korean) 

  6. Thoits PA, Hewitt LN. Volunteer work and well-being. J Health Soc Behav 2001;42(2):115-131 

  7. Oman D, Thoresen CE, Mcmahon K. Volunteerism and mortality among the community-dwelling elderly. J Health Psychol 1999;4(3):301-316 

  8. Son YS. The Effect of the Support given by adult children and the relationship satisfaction with adult children perceived by the elderly parents on quality of life of the elderly. J Clinical Social Work 2006;3(2):67-94 (Korean) 

  9. Min BG. A study on the activation plan of volunteer activities for the elderly in an aging society. J Society for Social Work 2006;2(2):165-200 (Korean) 

  10. Choi YH. Health-promoting behavior and quality of life of solitary elderly in rural areas. Korean J Health Educ Promot 2004;21(2):87-100 (Korean) 

  11. Chung SD, Lee EJ. The effects of volunteering characteristics on the life satisfaction of older people: direct contact and indirect contact. J Korea Gerontological Society 2005;25(4):219-233 (Korean) 

  12. Nam HS, Kim KY, Kwon SS, Koh KW, Poul K. EQ-5D Korean Valuation Study Using Time Trade off Method, Seoul: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07 (Korean) 

  13. Brazier JE, Harper R, Jones NM, O'Cathain KJ, Thomas A, Usherwood T, Westlake L. Validating the SF-36 health survey questionnaire: New outcome measure for primary care. BMJ 1992;305(6846):160-164 

  14. Kang MY, Kim CK. A qualitative study about volunteer work experiences of senior citizens: On the subject of senior citizen volunteers in the welfare center of K city. J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2010;30(4):1409-1427 (Korean) 

  15. Fujikawa A, Suzue T, Jitsunari F, Hirao T. Evaluation of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using EQ-5D in Takamatsu, Japan. Environ Health Prev Med 2011;16(1);25-35 

  16. Fryback DG, Lawrence WF, Martin PA, Klein R, Klein BE. Predicting quality of well-being scores from the SF-36: Results from the Beaver Dam Health Outcomes Study. Med Decis Making 1997;17(1):1-9 

  17. Yoon MS. The study on the relationship of psychosocial factors, problem drinking on quality of life for the elderly in urban and rural areas. J Gerontological Social Welfare 2007;38:281-309 (Korean) 

  18. Kang KS. Social support and quality of life for the elderly in rural areas. J Korean Community Nursing 2003;14(3):375-384 (Korean) 

  19. Lim JY, Park J, Kang MG, Ryu SY. Quality of life and its associated factors among some elderly residents using a hall for the aged in a community. J Prev Med Public Health 2007;40(5):337-344 (Korean) 

  20. Oh KA, Park J, Jeon DJ, Han MA, Choi SW. Relationship between low back pain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among some elderly. J Agric Med Community Health 2012;37(3):156-166 (Korean)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