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 노인의 건강관련 삶의 질과 영향요인 추이
Trend of Influencing Factors on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Korean Elderly 원문보기

韓國保健看護學會誌 =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v.32 no.2, 2018년, pp.275 - 287  

안지숙 (경남대학교 간호학과) ,  최혜영 (강원대학교 보건과학대학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examined the trends of socio-demographic and health factors affecting the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HRQoL) in Korean elderly. Methods: Data were obtained from the Fourth, Fifth and Sixth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V-1, 2007, KNHANES V-1...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 2010; Lee, 2013) 시간적 변화에 따른 삶의 질과 영향요인의 추이를 분석한 연구는 매우 드문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전국단위의 표본을 대상으로 한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바탕으로 최근 우리나라 노인의 건강관련 삶의 질 수준 및 관련 요인이 어떻게 변화하고 있는지 시계열적으로 파악함으로써 노인의 삶의 질 제고 및 전략 수립에 유용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만 65세 이상 노인을 대상으로 건강관련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과 그 추이를 규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로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활용한 이차자료 분석 연구이다.
  • 본 연구에서는 노인의 건강 관련 삶의 질과 영향요인을 시계열적으로 살펴봄으로써 우리나라 노인의 삶의 질 향상 정도와 중요한 영향요인의 구체적 변화 추이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를 통해 노인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중재 방향을 제시하는데 의미가 있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 중 2007년, 2010년, 2014년 자료를 바탕으로 한국 노인의 건강관련 삶의 질과 영향요인의 추이를 종단적으로 파악하기 위함이다.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노인의 건강관련 삶의 질에 영향을 주는 요인에는 무엇이 있는가? 노인의 건강관련 삶의 질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경제수준, 교육수준, 일상생활수행능력, 주관적 건강상태와 신체증상, 질병상태, 건강행위 등이 보고되고 있다(Baek, Ryoo, & Park, 2008; Kim, Lee, & Lee, 2010; Lee & Bin, 2011). 소득과 교육수준이 낮은 사회경제적으로 취약한 집단에서 만성질환 유병률을 비롯하여 전반적인 건강상태와 수준이 낮음은 이미 많은 연구에서 증명되어 왔고 노인 집단 내에서도 이러한 건강 불평등이 같은 양상으로 보고되고 있다(Lee & Jeon, 2005).
여성이 삶의 질이 취약한 인구집단으로 연구된 이유는? , 2008; Sohn, 2009)과 농촌지역 노인(Kim, 2013)과 같은 취약 노인집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져왔다. 여성은 남성에 비해 평균수명이 길어 초고령 인구 비중이 높으며 낮은 경제적 수준과 장애 및 질병이환에 따른 건강상태가 남성보다 열악하므로 삶의 질이 취약한 인구집단으로 연구되어 왔다(Orfila et al., 2006).
복합질병상태 질환 유형별 양상 차이는 어떠한가? 주요 인구사회학적 변수와 건강 변수들을 통제한 본 연구의 다중회귀분석에서는 복합질병상태가 2014년 자료에 한하여 유의한 영향요인으로 나타났다. Chin 등(2014)의 연구에서는 만성질환 유형별 삶의 질 점수의 차를 제시하였는데 특히 심혈관계 질환자의 삶의 질 점수가 고혈압이나 당뇨 환자보다 크게 낮았으며, 고혈압과 심혈관계 질환이 복합되었을 때 삶의 질 점수 유의하게 떨어지는 것을 보고하였다. 이와 같이 질환별 질병부담이 다르고 복합양상에 따라 삶의 질에 영향을 주는 정도가 다르게 나타나므로 질병 유형별 복합상태, 질병부담에 따른 삶의 질의 차이를 밝히는 연구가 보다 세부적으로 이루어질 필요가 있을 것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Baek, S. S., Ryoo, E. N., & Park, K. S. (2008). A model construction for quality of life in single aged women.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20(2), 1-14. 

  2. Borgaonkar, M. R., & Irvine, E. J. (2000). Quality of life measurement in gatrointestinal and liver disorder. Gut, 47, 444-454. 

  3. Chin, Y. R., Lee, I. S., & Lee, H. Y. (2014). Effects of hypertension, diabetes, and/or cardiovascular disease on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elderly Korean individuals: A population-based cross-sectional survey. Asian Nursing Research, 8(4), 267-273. http://dx.doi.org/10.1016/j.anr.2014.10.002 

  4. Cho, C. M. (2013). Factors influencing the quality of life in low-income elders living at home: a literature review.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27(2), 372-383. http://dx.doi.org/10.5932/JKPHN.2013.27.2.372 

  5. Choi, H. J., Koh, J. E., Ahn, O. H., Kim, H. G. Yang, S. J., Choi, H. J., ..., & Hwnag, E. J. (2018). Community Health Nursing II. Seoul: Hyunmoonsa. 

  6. Chung, Y. H., & Cho, Y. H. (2014). Health behaviors, health status and quality of life among th young-old and the old-old in Korea. Korean Public Health Research, 40(1), 55-64. 

  7. DeSalvo, K. B., Bloser, N., Reynolds, K., He, J., & Muntner, P. (2006). Mortality prediction with a single general self-rated health question: a meta-analysis. Journal of General Internal Medicine, 21(3), 267-275. 

  8. EuroQol Group. (1990). EuroQol: a new facility for measurement of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Health Policy, 16, 199-208. 

  9. Halaweh, H., Willen, C., Ekman, A. G., & Svantesson, U. (2015). Physical activity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among community dwelling elderly. Journal of Clinical Medicine Research, 7(11), 845-852. http://dx.doi.org/10.14740/jocmr2307w 

  10. Kim, J. I. (2013). Levels of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EQ-5D) and its related factors among vulnerable elders receiving home visiting health care services in some rural area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24(1), 99-109. http://dx.doi.org/10.12799/jkachn.2013.24.1.99 

  11. Kim, J. Y., Lee, S. G., & Lee, S. K. (2010). The relationship between health behaviors, health status, activities of daily living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the elderly. Journal of the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30(2), 471-484. 

  12. Kim, K. N., & Jee, Y. J. (2015). Predictors of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Korean elderly: based on the 2013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Asia-pacific Journal of Multimedia Services Convergent with Art, Humanities, and Sociology, 5(3), 197-205. http://dx.doi.org/10.14257/AJMAHS.2015.06.22 

  13. Kim, K. S. (2017). Effects of the health status and health behavior on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of the elderly living alone and living with their families: using data from the 2014 community health survey. Journal of Korean Academy Community Health Nursing, 28(1), 78-87. http://dx.doi.org/10.12799/jkachn.2017.28.1.78 

  14. Kim, T. H. (2012). Validity and reliability evaluation for EQ-5D in the general population of South Korea.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Ulsan University, Ulsan. 

  15. Kim, Y. O., & Shim, M. S. (2015). Cognitive functions, 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 depression and quality of life in the elderly with mild cognitive impairment.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29(2), 219-230. http://dx.doi.org/10.5932/JKPHN.2015.29.2.219 

  16. Kim, Y. S. (2006). Path analysis model of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patients with heart failure.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Daegu. 

  17. Lee, D. H., & Bin, S. H. (2011). Structure relationships for diseased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the elderly.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11(1), 216-224. http://dx.doi.org/10.5392/jkca.2011.11.1.216 

  18. Lee, E., Kim, J. H., Park., J. S., Choi, S. H., Kim, J. I., Suh, S. R., Eun, Y., Yoo, K. H., Kim, O. H., & Choi, K. S. (1993). Exploration for causality of disease condition, pain and depression in patients with rheumatoid arthritis.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5(1), 56-71. 

  19. Lee, S. G., & Jeon, S. Y. (2005). The relations of socioeconomic status to health status, health behaviors in the elderly. Journal of Preventive Medical Public Health, 38(2), 154-162. 

  20. Lee, S. H. (2013). Gender difference in influencing factors on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among the elderly in community. The Journal of Digital Policy & Management, 11(12), 523-535. http://dx.doi.org/10.14400/JDPM.2013.11.12.523 

  21.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7, August). The health and welfare white paper 2016 (Issue Brief No. 11-1351000-000160-10). Sejong-si: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2. Nam, H. S., Kim, K. Y., Kwon, S. S., & Ko, K. W. (2007). Research paper on the estimated valuation weights for Quality of life measurement (EQ-5D). Sejong-si: Korean Centers for Disease Control. 

  23. Nussbaum, M., & Sen, A. (1993). Th quality of life. London: Oxford University Press. 

  24. Orfila, F., Ferrer, M., Lamarca, R., Tebe, C., Domingo-Salvany, A., & Alonso, J. (2006). Gender differences in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among the elderly: the role of objective functional capacity and chronic conditions. Social Science & Medicine, 63, 2367-2380. http://dx.doi.org/10.1016/j.socscimed.2006.06.017 

  25. Park, J. M., Kim, C. S., & Kim, M. W. (2016). A path analysis on factors - depression, level of health status, physical function, and regular exercise - influencing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according to sex in community dwelling elderly.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30(2), 337-348. http://dx.doi.org/10.5932/JKPHN.2016.30.2.337 

  26. Park, M. J., & Choi, S. E. (2017). The effects of health behavior and health status on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older people: gender analysis by using the 2012 Korea Health Panel Data. The Journal of Korean Academy Community Health Nursing, 28(2), 118-128. http://dx.doi.org/10.12799/jkachn.2017.28.2.118 

  27. Parker, L., Moran, G. M., Roberts, L. M., Calvert, M., & McCahon, D. (2014). The burden of common chronic disease on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in an elderly community-dwelling population in the UK. Family Practice, 31(5), 557-563. http://dx.doi.org/10.1093/fampra/cmu035 

  28. Sohn, S. Y. (2009). Factors related to the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in elderly women.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15(2), 99-107. http://dx.doi.org/10.4069/kjwhn.2009.15.2.99 

  29. Statistics Korea. (2018). Population of the aged. Retrieved July 13, 2018, from http://kosis.kr/search/search.do 

  30. Yeom, J., Park, J. S., & Kim, D. H. (2012). A study of factors affecting self-rated health among Korean elderly: focusing on gender differences. Journal of the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32(4), 1101-111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