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일 지역 노인의 건강관련 삶의 질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of The Elderly in a Small and Medium-Sized City in Rural Area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6 no.6, 2018년, pp.343 - 352  

이혜경 (공주대학교 간호학과) ,  이창금 (한국국제대학교 간호학과) ,  김경수 (경희대학교 간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일개 중소도시 지방 65세 이상 노인을 대상으로 건강관련 삶의 질과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여 중소도시 노인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방안을 마련하기 위하여 시도 되었다. 조사대상은 2015년 9월 21일부터 10월 30일까지 자료를 수집하였고, spss/win 23.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건강관련 삶의 질은 성별(t=2.36, p=.019), 사회참여(t=4.10, p=.000), 주관적 건강상태(F=12.08, p<.001), 의료비부담 수준(F=4.39, p=.014), 주관적 경제상태(F=3.50, p=.032), 만성질환 수(F=7.91, p<.001)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대상자의 건강관련 삶의 질의 영향요인은 사회참여, 성별, 주관적 건강상태, 가족지지, 의료비부담 순으로 나타났으며 설명력은 26.3%이었다. 따라서 중소도시 65세 이상 노인을 대상으로 건강관련 삶의 질 향상을 위하여 사회 참여, 성별, 주관적 건강상태, 가족지지, 의료비 부담 등을 고려한 지역적 특성에 맞는 실제적이고 포괄적이며 지속적인 건강증진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of the elderly of more than 65 years old in a small and medium-sized city in rural area in order to prepare the measure to promote the quality of life of the elderly in rural areas.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Sep. 21 to Oc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중소도시 지방 65세 이상 노인의 인구사회 학적 특성 및 건강특성과 건강관련 삶의 질의 정도를 파악하고 건강관련 삶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 본 연구는 지방 중·소도시 지방 거주 65세 이상 노인을 대상으로 건강관련 삶의 질 정도와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여 노인의 건강관리를 위한 효과적인 건강증진프로그램 마련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실시되었으며,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지방 중소도시 지역 65세 이상 노인의 인구 사회학적 특성과 건강특성, 건강관련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에서는 일 지방 중소도시 노인의 건강관련 삶의 질을 파악하고 이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분석하기 위한 것으로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이에 본 연구자는 중소도시 노인을 대상으로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건강특성 및 건강관련 삶의 질을 파악하고, 건강관련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여 지역적 특성에 맞는 실제적인 건강관리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에 활용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삶의 질이란 무엇인가? 삶의 질은 각 개인이 신체적, 정신적, 사회경제적, 영적인 영역에서 지각하는 주관적인 안녕상태로[8], 노년기의 건강관련 삶의 질은 개인이 삶의 목적, 기대, 기준 및 관심사와 관련이 있는 건강 체계 속에서 노인들의 삶이 어떠한 가에 대하여 지각하는 것으로 신체적 정신적 건강인식 등 건강상태에 영향을 받아 느껴지는 주관적인 삶을 의미한다[9].
도시 지역 노인의 삶의 질이 중요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이유는 무엇인가? 농촌과 도시노인 간의 건강관련 삶의 질을 비교 연구한 선행연구에서[10]는 도시노인이 농촌노인보다 고혈압, 관절염 등 만성질환 보유수가 많으며, 사회적 지지가 건강관련 삶의 질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았으며 도시지역은 이웃과의 관계가 친밀한 농촌지역에 비해 이웃과의 교류가 적은 편으로 농촌노인보다 도시노인이 건강관련 삶의 질이 낮다고 보고[11]하고 있어 도시 지역 노인의 삶의 질이 중요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12].
자녀세대와의 동거가 지속적으로 감소하면서 노인부부 및 독거노인 가구가 겪는 사회문제는 무엇인가? 5%가 노인부부 형태로 점차 자녀세대와의 동거가 지속적으로 감소되고 있다[3]. 노인부부 및 독거노인 가구가 증가하면서 노인들이 사회로부터 고립, 사회 경제적 빈곤 경험, 만성질환 등으로 인한 고통과 의료비 지출이 늘어남에 따른 경제적 이중고를 겪을 뿐만 아니라 가까운 사람들의 죽음으로 인한 사회 등에 따른 사회· 심리적 위축 등 심각한 사회문제로 대두되고 있다[3,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Statistics Korea. (2017). Elderly Statistics 2017. Retrieved March 30. 2018, from http://kostat.go.kr 

  2. Minstry of Health Welfare. (2017). Expected life expectancy and lifetime Exclusion period (life expectancy) Retrieved December 26. 2017. 

  3.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2014). 2014 Survey of the elderly. 

  4. Y. H. Choi, G. R. Shin, O. S. Kim, S. H. Ko, E. S. Kong, G. H. Kim et al. (2014). Elderly and Health. Hyunmunsa; Seoul. 

  5. H. R. Kim. (2014). Predicting Factors for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among Older Adults at Senior Centers in Korea. J Korean Gerontol Nurs, 16(2), 95-106. 

  6. J. Y. BAE. (2014). The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Burden of Medical Expenditures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among the Elderly with Chronic Diseases. Journal of Institute for Social Sciences, 25(4), 109-129. DOI : 10.16881/jss.2014.10.25.4.109 

  7. D. H. Kim. (2007). A Study on the Effects of Social Support upon Depression and Sucide ideation. Chung-Ang University. 

  8. C. E. Ferrans & M. J. Powes. (1992). Psychometric assessment of the quality of life index. Research in Nursing & Health, 14, 179-186. 

  9. M. M.. Zack, D. G. Moriaty, D. F. Stroup, E. S. Ford & A. H. Mokdad. (2004). Worsening trend in adult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and self rated health- United States, 1993-2001. Public Health Resech, 119(5), 493-505. 

  10. S. O. Yang, H. R. Cho & S. H. Lee. (2014). A Comparative Study on Influencing Factors of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of the Elderly in Senior Center by Region: Focus on Urban and Rural Areas.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2(1), 501-510. DOI : 10.14400/JDPM.2014.12.1.501 

  11. J. C. Lee, J. A. Park, N. K. Bae & Y. C. Cho. (2008). Factors Related to Depressive Symptoms Among the Elderly in Urban and Rural Areas. J Agri Med & Community Health. 33(2), 204-220. DOI: 10.5393/JAMCH.2008.33.2.204 

  12. Y. J. Na & Y. H. Choi. (2014).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and Its Related Factors in Urban Elderly Women.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5(12), 7224-7230. DOI: 10.5762/KAIS.2014.15.12.7224 

  13. J. I. Kim. (2017). The Factors Affecting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in Urban Working Elderly.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5(11), 385-394. DOI :10.14400/JDC.2017.15.11.385 

  14. K. W. Choi & G. S. Jeon. (2016). Effects of Frailty on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of Rural Community- dwelling Elderly: Mediating and Moderating Effects of Fall-Related Efficacy and Social Support. Journal of Korean Acad Community Health Nurs, 27(4), 380-387. DOI: 10.12799/jkachn.2016.27.4.380 

  15. K. S. Park, Y. R. Park & Y. S. Yum. (2015). The Effects of Social Participation on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among Rural Elderly. Mental Health and Social Work, 43(2), 200-227. 

  16. H. S. Kim. (2017). Effect of Pain, Nutritional Risk, Loneliness, Perceived Health Status on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Elderly Women Living Alone.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8(7), 207-218. DOI:10.15207/JKCS.2017.8.7.207 

  17.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in Korea. 2010. South Korean time trade-off values for EQ-5D health states http://www.cdc.go.kr 

  18. Y. K. Lee, H. S. Nam, L. H. Chuang, K. Y. Kim, H. K. Yang, I. S. Kwon et al. (2009). South Korean time trade-off values for EQ-5D health states:Modeling with observed values for 101 health states. Value In Health. 12(8), 1187-1193. DOI: 10.1111/j.1524-4733.2009.00579.x 

  19. M. J. Kim & S. H. Bae. (2014). Factors influencing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Older Adults with Osteoarthritis: Based on the 2010-2011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Journal of Muscle and Joint Health, 21(3), 195-205. DOI: 10.5953/JMJH.2014.21.3.195 

  20. M. K. Yuk & S. R,. Suh. (2016).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among Korean Older Women with Osteoarthritis: Comparison between Young-Old and Old-Old. The Korean Society of Living Environmental System, 23(6), 758-766. DOI : 10.21086/ksles.2016.12.23.6.758 

  21. UNECE. (2009). Integration and Participation of Older Persons in Society, UNECE Policy Brief on Ageing No. 4(November 2009), United Nations Economic Commission for Europe. 

  22. S. J. Chang, S. Y. Kim & K. J. Moon.(2015). Social Integration in Later Life: The Possible Mediating Role of Sense of Communit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Participation and Social Well-Being. Journal of Community Welfare, 52, 1-29. DOI: 10.15300/jcw.2015.52.1.1 

  23. Y. R. Park, Y. S. Yum, E. H. Jung, S. H. Chu & H. C. Kim. (2014). An exploratory analysis of the effects of Gyungrodang use on depression of the elderly in rural area.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Research, 40, 109-128. 

  24. E. W. Nam, N. Ikeda, J. Green, J. Y. Moon & M. B. Park. (2008). Determinants of the Self-Rated Health Status of the Elderly in Healthy City Wonju, Republic of Korea, Korean Journal of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25(5), 65-77. 

  25. S. M. Moon. (2017). Gender differences in the impact of socioeconomic, health-related, and health behavioral factors on the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of the Korean elderly.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5(6), 259-271. DOI : 10.14400/JDC.2017.15.6.259 

  26. S. B. Shin & J. Y. Park. (2015). Analysis of the Determinants of Quality of Life in Elderly Women. Journal of Asian Women, 54(2), 7-46. 

  27. H. Y. Song & M. H. Park.(2017). Comparable Influencing Factors for Quality of Health-Life in Osteoarthritis Patients in Urban and Rural Area.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8(6), 311-323. DOI:10.15207/JKCS.2017.8.6.311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