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대사증후군 환자의 구강보건지식, 태도, 행위가 구강건강영향지수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oral health knowledge, attitude, and behavior on oral health impact profile of metabolic syndrome patients 원문보기

JKSDH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Dental Hygiene = 한국치위생학회지, v.18 no.6, 2018년, pp.1079 - 1090  

임미희 (한양여자대학교 치위생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This study aims to provide fundamental data on seeking more effective programs for metabolic syndrome patients' oral health by researching their knowledge, attitude and behaviors on oral health and considering the effects each factor has on the oral health impact profile. Methods: The r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는 개인의 구강건강상태를 의미있게 측정할 수 있는 구강건강영향지수[11]를 사용하여 대사증후군 환자의 구강보건지식, 태도, 행위를 조사하고, 각 요인들이 구강건강영향지수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여, 추후 보다 효과적인 대사증후군 환자들의 구강건강증진 프로그램을 모색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대사증후군이란 무엇인가? 만성질환의 대표로는 대사증후군이 있으며 대사증후군의 위험요인과 관련된 질병의 증가는 건강을 위협하는 요인이 되고 있다. 대사증후군이란 고혈압, 복부비만, 이상지질혈증, 공복혈당 장애 등이 복합적으로 나타나는 현상을 말하며, 인슐린 저항성으로 인해 심혈관계 위험인자들이 복합적으로 나타나는 상태로 연령, 체질량수, 흡연, 비만 등이 위험요인으로 알려져 있다[2,3]. NCEP(National Cholesterol Education Program)의 ATP(Adult Treatment Panel) Ⅲ 보고서[4]에 따르면 대사증후군의 유병률은 남자 24.
대사증후군은 구강건강상태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또한, 대사증후군은 구강건강에도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대사증후군 환자의 구강건강은 정상인보다 더 불량한 치주상태를 가지고[7], 대사증후군 위험요인 보유수가 증가할수록 치주낭의 깊이가 깊어지고 부착치은의 소실이 커지며[8], 지역사회치주지수와 치태지수가 높고 심각한 치주질환을 가진다고 하였다[9]. 또한 남, 녀 모두에서 각각의 대사증후군 구성요소들이 치주에 상호 복합적인 영향을 주어 상실치가 높게 나타난다고 하였다[10]. 이와 같이 그동안의 대사증후군 환자와 관련된 연구는 대사증후군과 치주 질환과의 관련성에 대한 개념적인 연구이거나 한정된 구강질환과의 연구가 대부분이였으며, 대사증후군 환자의 구강건강증진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구강보건지식, 태도, 행위와 구강건강상태의 연관성을 보고한 연구는 전무한 실정이다.
대사증후군의 위험요인은 무엇인가? 만성질환의 대표로는 대사증후군이 있으며 대사증후군의 위험요인과 관련된 질병의 증가는 건강을 위협하는 요인이 되고 있다. 대사증후군이란 고혈압, 복부비만, 이상지질혈증, 공복혈당 장애 등이 복합적으로 나타나는 현상을 말하며, 인슐린 저항성으로 인해 심혈관계 위험인자들이 복합적으로 나타나는 상태로 연령, 체질량수, 흡연, 비만 등이 위험요인으로 알려져 있다[2,3]. NCEP(National Cholesterol Education Program)의 ATP(Adult Treatment Panel) Ⅲ 보고서[4]에 따르면 대사증후군의 유병률은 남자 2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Jang HS. The relationship between merabolic syndrome, its components, and cancer incidence in Korean[Doctoral dissertation]. Ulsan: Univ. of Ulsan, 2012. 

  2. Ervin RB. Prevalence of metabolic syndrome among adult 20 years of age and over, by sex, race and ethnicity, and body mass index: United States, 2003-2006. National Health Stat Report 2009;5(13):1-7. 

  3. Park HS, O SU, Kang JH, Park YU, Choe JM, Kim YS, et al. Prevalence and associated factors with metabolic syndrome in south korea -from the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1998. J Korean Soc Study Obes 2003;12(1):1-14. 

  4. Earl SF, Wayne HG, William HD. Prevalence of the metabolic syndrome among US adults: findings from the third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JAMA 2002;287(3):356-9. https://doi.org/10.1001/jama.287.3.356 

  5. Lym YL, Hwang SW, Whim HJ, Oh EH, Chang YS, Cho BL. Prevalence and risk factors of the metabolic stndrome as defined by NCEP-ATP III. J Korean Acad Fam Med 2003;24:135-43. 

  6. Kim SS. The relationship between metabolic syndrome and oral health status of korean adults[Doctoral dissertation]. Seoul: Univ. of Hanyang, 2014. 

  7. Khader Y, Khassawneh B, Obeidat B, Hammad M, El-Salem K, Bawadi H, et al. Periodontal status of patient with metabolic syndrome compared to those without metabolic syndrome. J Periodontology 2008;79(11):2048-53. https://doi.org/10.1902/jop.2008.080022 

  8. Shimazaki Y, Saito T, Yonemoto K, Kiyohara Y, Iida M, Yamashita Y. Relationship ofmetabolic syndrone to periodontal disease in japanese womex :the hysayama study. J Dent Res 2007;86(3):271-5. https://doi.org/10.1177/154405910708600314 

  9. Kushiyama M, Shimazaki Y, Yamashita Y. Relationship between metabolic syndrone and periodontal disease in Japanese adults. J Periodontology 2009;80(10):1610-5. https://doi.org/10.1902/jop.2009.090218 

  10. Kang HJ. A study on periodontal disease and tooth loss in metabolic syndrome patient. J Dent Hyg Sci 2015;15(4):445-56. https://dx.doi.org/10.17135/jdhs.2015.15.4.445 

  11. Slade GD, Spencer AJ.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the Oral Health Impact Profile. Community Dent Health 1994;11(1):3-11. 

  12. Choi HS, Hwang SH, Ahn SY, Sim SH, Choi BK, Kong YM, et al. Oral health knowledge, attitude, behavior in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and needs for oral health education. J Korean Soc Dent Hyg 2011;11(4):533-46. 

  13. Jung JO. Effects of metabolic syndrome on periodontal diseases in Korean adults. J Korean Soc Dent Hyg 2012;12(3):245-52. 

  14. Park YA, Jeong SH, Yoon SH, Choi YH, Song KB. Association between general health and oral health among the elderly in Pohang city. J Korea Acad Dent Health 2006;16(2):93-104. 

  15. Lee DI. The effect of oral health knowledge, attitude, behavior and self-perceived oral symptoms on oral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worker[Master's thesis]. Incheon: Univ. of Gachon, 2013. 

  16. Kim JH, Yoo JH. Knowledge, practice, and awareness toward oral health in the special school teachers. J Korean Soc Dent Hyg 2014;14(5):731-8. https://doi.org/10.13085/jksdh.2014.14 

  17. Park JR, Lee YK. Research on the subjective status of oral cavity's health following senoor citizen' characteristics. J Korean Soc Dent Hyg 2009;9(3):344-56. 

  18. Park IS, Kim JS, Choi MH. A study on oral health knowledge, behavior and practice among elderly people in some regions. J Korean Soc Dent Hyg 2010;10(2):413-22. 

  19. Noh EM. A study of hospitalized patierts knowledge and practice of oral health. J Korean Soc Dent Hyg 2007;7(3):247-58. 

  20. Yoo JS, Kim JH, Han SH, Sim SH, Kim YS. A descriptive study of oral hea1th knowledge & behaviors in middle school students. J Korean Soc for Sch Health Education 2008;9(1):85-97. 

  21. Kim JH. The effect of oral health on total health and quality of life[Master's thesis]. Daegu: Univ. of Keimyung, 2007. 

  22. Acharya S, Bhat PV, Acharya S. Factors affecting oral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among pregnant women. Int J Dent Hyg 2009;7(2):102-7. https://doi.org/10.1111/j.1601_5037.2008.00351 

  23. Lee EG, Park JH, Park JR, Park JY. A study on OHIP-14 and EQ-5D of residents in some rural areas. J Korean Soc Dent Hyg 2011;11(2):197-211. 

  24. Ahn KS. Relationship between elders oral health realities and social support and physical function [Doctoral dissertation]. Daejeon: Univ. of Chungnam National, 2009. 

  25. Lee GR. A study of oral health impact profile 14 among the elderly in rural area. J Korean Soc Dent Hyg 2010;10(2):109-16. 

  26. Park SH, Yoon HS. Subjective awareness and the quality of life erlated to oral health in industrial workers. J Dent Hyg Sci 2012;12(4):235-43. 

  27. Choi JS, Lee YJ, Jeon SB, Kim HM, Jeong EH, Jo EJ. The association between self-reported oral health problems and oral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J Korean Acad Dent Health 2010;34:411-21. 

  28. Ko SY, Kim JB, Moon HS, Paik DL. A study on the knowledge, oponions and practices about oral health of workers in Korea. J Korean Acad Oral Health 1999;23(2):95-111. 

  29. Lee DI, Han SJ. Factors which affect the oral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of workers. J Korean Soc Dent Hyg 2013;13(4):480-6. 

  30. Lee YS. The effect of oral health knowledge and oral health practice on the DMFT and the oral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Master's thesis]. Gimhae: Univ. of Inje, 2010.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