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가임기 여성의 규칙적 운동 및 운동종류에 따른 대사증후군 간의 관련성
The Association between Regular Physical Activity Types And Metabolic Syndrome in Fertile Women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22 no.1, 2021년, pp.94 - 103  

이건아 (청주대학교 간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가임기 여성의 규칙적 운동 및 운동의 종류에 따른 대사증후군 간의 관련성을 파악하여 효과적인 대사증후군 예방 및 관리 중재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제7기 3차년도 국민건강영양조사 원시자료(KNHANES VII-3, 2018년)를 이용하여 만 19세 이상 가임기 여성 4172명을 대상으로 시행하였으며, 규칙적 운동의 종류에 따른 대사증후군 구성요소의 차이는 복합표본 t검정으로, 규칙적 운동의 종류가 영향을 미치는 대사증후군의 유병 위험은 복합표본 다중 로지스틱 회귀분석으로 분석하였다. 가임기 여성의 대사증후군 유병률은 3.1%(128명)이었으며 가임기 여성 중 규칙적 운동 실천군은 1979명(46.5%)이었다. 가임기 여성의 규칙적 운동 실천군은 미실천군과 비교하여 다섯 가지 대사증후군 구성요소 중 수축기 혈압(p =.002), 허리둘레(p <.001)와 공복혈당(p =.007)가 상대적으로 낮았으며 고밀도콜레스테롤(p <.001)는 상대적으로 높았다. 규칙적 운동 중 규칙적 근력운동 실천군은 규칙적 근력운동 미실천군과 비교하여 수축기 혈압(p <.001), 이완기 혈압(p =.005), 허리둘레(p <.001), 공복혈당(p <.001)과 중성지방(p =.015) 모두 상대적으로 낮았고 고밀도콜레스테롤(p <.001)은 상대적으로 높았다. 대사증후군에 영향을 미치는 혼란 변수들을 통제한 후, 규칙적 운동 실천군(유병교차비 0.59, 95% 신뢰구간 0.35-0.98, p =.040)과 규칙적 근력운동 실천군(유병교차비 0.34, 95% 신뢰구간 0.14-0.80, p =.013)은 각각 미실천군과 비교하여 대사증후군 유병위험이 낮게 나타났다. 그러므로 규칙적 운동은 가임기 여성의 대사증후군 유병 위험을 낮추는 중요한 변수임을 알 수 있으며, 가임기 여성의 대사증후군 예방 및 관리를 위한 운동 중재 개발 시 근력운동을 포함할 필요가 있음을 제언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association between regular physical activity (PA) types and metabolic syndrome (MetS) in fertile women. Data were obtained from the seven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VII-3, 2018). The sample consisted of 4,172 ferti...

주제어

표/그림 (3)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가임기 여성을 대상으로 규칙적 운동 및 운동 종류에 따른 대사증후군 간의 관계를 분석하기 위한 2 차 자료 분석연구이다. 본 연구결과, 규칙적으로 운동하거나 규칙적으로 근력운동을 실천할 경우 대사증후군의 유병 위험은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으며 규칙적 운동 종류 중 특히 주 2일 이상의 규칙적 근력운동은 미실천 군과 비교하여 대사증후군 구성요소 모두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 본 연구는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가임기 여성을 대상으로 규칙적 운동 및 운동종류와 대사 증후군 간의 관련성을 알아보기 위한 2차 자료 분석연구이다.
  • 본 연구는 전 국민을 대상으로 표준화된 검사 방법으로 조사한 대표성 있는 표본자료를 활용하여 규칙적 운동 종류와 대사증후군 구성요소의 차이를 보고하였으며, 인구 사회학적 요인 및 건강행위 요인을 보정한 규칙적 운동과 대사증후군 간의 관련성을 제시한 것에 의의가 있다. 그러나 본 연구는 후향적 단면 연구로 규칙적 운동과 대사증후군 간의 인과관계를 밝히기 어려우며,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활용한 2차 연구임에 따라 운동 종류별 참여 여부와 빈도만을 확인하였으므로 실천한 운동의 종목이나 지속 기간 등 구체적인 내용을 확인하기는 어렵다.
  • 본 연구의 목적은 가임기 여성을 대상으로 규칙적 운동 및 운동종류에 따른 대사증후군 간의 관련성을 파악하여 가임기 여성의 효과적인 대사증후군 예방 및 관리 중재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본 연구의 목적은 가임기 여성의 규칙적 운동 및 규칙적 운동종류에 따른 대사증후군 간의 관련성을 규명하는 것이다. 본 연구결과로 첫째, 가임기 여성 중 대사증후군은 정상과 비교하여 연령, 결혼 여부, 소득수준, 교육 수준, 경제활동 상태, 경구피임약 복용 여부, 규칙적 운동 여부와 식생활평가지수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생활습관의 개선이 보다 용이 한가 임기 여성을 대상으로 규칙적 운동종류에 따른 대사증후군 간의 관련성을 파악하여 대사증후군 예방 및 관리를 위한 대사증후군 운동 중재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며, ‘식생활평가지수’, ‘하루 60분 신체활동 실천’ 항목이 추가되고 최근 공개된 제7기 3차년도(2018년) 국민건강영양조사를 바탕으로, 인구사회학적 요인을 포함한 대사증후군 영향요인들을 통제하여 규칙적 운동 및 운동의 종류에 따른 대사증후군 간의 관련성을 체계적으로 알아보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5)

  1. K. G. M. M. Alberti, R. H. Eckel, S. M. Grundy, P. Z. Zimmet, J. I. Cleeman, et al, "Harmonizing the metabolic syndrome: a joint interim statement of the International Diabetes Federation Task Force on Epidemiology and Prevention; National Heart, Lung, and Blood Institute; American Heart Association; World Heart Federation; International Atherosclerosis Society; and International Association for the Study of Obesity", Circulation, Vol.120, No.16, pp.1640-1645, 2009. DOI:https://doi.org/10.1161/CIRCULATIONAHA.109.192644 

  2. C. R. Madsen, C. R. Kahn, "Tissue-specific insulin signaling, metabolic syndrome, and cardiovascular disease", Arteriosclerosis, Thrombosis, and Vascular Biology, Vol.32, No.9, pp.2052-2059, 2012. DOI: https://doi.org/10.1161/ATVBAHA.111.241919 

  3. A. Maloberti, R. M. Bruno, R. Facchetti, G. Grassi, S. Taddei, et al, "THE role of metabolic syndrome in blood pressure control and pulse wave velocity progression over a 3.5 years in treated hypertensive PATIENTS", European Journal of Internal Medicine, Vol.76, pp.107-109, 2020. DOI: https://doi.org/10.1016/j.ejim.2020.02.005 

  4. K. Esposito, P. Chiodini, A. Colao, A. Lenzi, D. Giugliano, "Metabolic syndrome and risk of cancer: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Diabetes Care, Vol.35, No.11, pp.2402-2411, 2012. DOI: https://doi.org/10.2337/dc12-0336 

  5. M. Kim, S. Lee, K. S. Shin, D. Y. Son, S. H. Kim, et al, "The change of metabolic syndrome prevalence and its risk factors in Korean adults for decad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for 2008-2017", Korean Journal of Family Practice, Vol.10, No.1, pp.44-52, 2020. DOI: https://doi.org/10.21215/kjfp.2020.10.1.44 

  6. D. Y. Cho, J. W. Koo, "Differences in Metabolic Syndrome Prevalence by Employment Type and Sex", International Journal of Environmental Research and Public Health, Vol.15, No.9, pp.1798-1807, 2018. DOI: https://doi.org/10.3390/ijerph15091798 

  7. Y. Rochlani, N. V. Pothineni, S. Kovelamudi, J. L. Mehta, "Metabolic syndrome: pathophysiology, management, and modulation by natural compounds", Therapeutic Advances in Cardiovascular Disease, Vol.11, No.8, pp.215-225, 2017. DOI: https://doi.org/10.1177/1753944717711379 

  8. R. Ratner, R. Goldberg, S. Haffner, S. Marcovina, T. Orchard, et al, "Impact of intensive lifestyle and metformin therapy on cardiovascular disease risk factors in the diabetes prevention program", Diabetes Care, Vol.28, No.4, pp.888-894, 2005. DOI: https://doi.org/10.2337/diacare.28.4.888 

  9. S. N. Walker, K. R. Sechrist, N. J. Pender, "The Health-Promoting Lifestyle Profile: development and psychometric characteristics", Nursing Research, Vol.36, No.2, pp.76-81, 1987. 

  10. A. Beser, Z. Bahar, D. Buyukkaya, "Health promoting behaviors and factors related to lifestyle among Turkish workers and occupational health nurses' responsibilities in their health promoting activities", Industrial Health, Vol.45, No.1, pp.151-159, 2007. DOI: https://doi.org/10.2486/indhealth.45.151 

  11. C. L. Edelman, E. C. Kudzma, C. L. Mandle, Health Promotion Throughout the Life Span 8th ed., p.670, ELSEVIER, 2014, pp. 264-296 

  12. C. K. Roberts, A. L. Hevener, R. J. Barnard, "Metabolic syndrome and insulin resistance: underlying causes and modification by exercise training", Comprehensive Physiology, Vol.3, No.1, pp.1-58, 2013. DOI: https://doi.org/10.1002/cphy.c110062 

  13. F. Bull, S. Goenka, V. Lambert, M. Pratt, Cardiovascular, respiratory, and related disorders 3rd ed., p.469, International Bank for Reconstruction and Development / The World Bank, 2017, pp. 79-93 

  14. J. Myers, P. Kokkinos, E. Nyelin, "Physical Activity, Cardiorespiratory Fitness, and the Metabolic Syndrome", Nutrients, Vol.11, No.7, pp.1652-1669, 2019. DOI: https://doi.org/10.3390/nu11071652 

  15. U. Ekelund, S. J. Griffin, N. J. Wareham, "Physical activity and metabolic risk in individuals with a family history of type 2 diabetes", Diabetes Care, Vol.30, No.2, pp.337-342, 2007. DOI: https://doi.org/10.2337/dc06-1883 

  16. M. S. Kim, S. H. Kim, S. H. Lee, "Effects of regular walking exercise on cardiorespiratory fitness, metabolic syndrome risk factors in middle-aged women", The Korean Society of Living Environmental System, Vol.19, No.3, pp.371-380, 2012. 

  17. G. N. Hearly, K. W. David, W. Dunstan, J. E. Shaw, J. Salmon, et al, "Objectively measured sedentary time, physical activity, and metabolic risk: the Australian Diabetes, Obesity and Lifestyle Study (AusDiab)", Diabetes Care, Vol.31, No.2, pp.369-371, 2008. DOI: https://doi.org/10.2337/dc07-1795 

  18. J. M. Seo, N. K. Lim, J. Y. Lim, H. Y. Park, "Gender difference in association with socioeconomic status and incidence of metabolic syndrome in Korean adults", The Korean Journal of Obesity, Vol 25, No.4, pp.247-254, 2016. DOI: https://doi.org/10.7570/kjo.2016.25.4.247 

  19. W. M. Troxel, K. A. Matthews, L. C. Gallo, L. H. Kuller, "Marital quality and occurrence of the metabolic syndrome in women", Archives of Internal Medicine, Vol.165, No.9, pp.1022-1027, 2005. DOI: https://doi.org/10.1001/archinte.165.9.1022 

  20. J. Lidfeldt, P. Nyberg, C. Nerbrand, G. Samsioe, B. Schersten, et al, "Socio-demographic and psychosocial factors are associated with features of the metabolic syndrome: The Women's Health in the Lund Area (WHILA) study", Diabetes, Obesity & Metabolism, Vol.5, No.2, pp.106-112, 2003. DOI: https://doi.org/10.1046/j.1463-1326.2003.00250.x 

  21. M, Amiri, F. R. Tehrani, F. Nahidi, A. Kabir, F. Azizi, et al, "Effects of oral contraceptives on metabolic profile in women with polycystic ovary syndrome: A meta-analysis comparing products containing cyproterone acetate with third generation progestins", Metabolism, Vol.73, pp.22-35, 2017. DOI: https://doi.org/10.1016/j.metabol.2017.05.001 

  22. A. Artese, B. A. Stamford, R. J. Moffatt, "Cigarette Smoking: An Accessory to the Development of Insulin Resistance", American Journal of Lifestyle Medicine, Vol.13, No.6, pp.602-605, 2017. DOI: https://doi.org/10.1177/1559827617726516 

  23. Y. A. Cho, J. Kim, E. R. Cho, A. Shin, "Dietary patterns and the prevalence of metabolic syndrome in Korean women", Nutrition, Metabolism & Cardiovascular Diseases, Vol.21, No.11, pp.893-900, 2011. DOI: https://doi.org/10.1016/j.numecd.2010.02.018 

  24. S. M. Yook, S. Park, H. K. Moon, K. Kim, J. E. Shim, et al, "Development of Korean Healthy Eating Index for adults using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data",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Vol.48, No.5, pp.419-428, 2015. DOI: https://doi.org/10.4163/jnh.2015.48.5.419 

  25. U. S.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Physical Activity Guidelines for Americans 2nd edition[Internet], U. S.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c2018, Available From: https://health.gov/sites/default/files/2019-09/Physical_Activity_Guidelines_2nd_edition.pdf#page56 (accessed Dec. 29, 2020) 

  26. American College of Sports Medicine, General Activity and Health Recommendations[Internet], American College of Sports Medicine, c2020, Available From: https://www.acsm.org/read-research/trending-topicsresource-pages/physical-activity-guidelines (accessed Dec. 29, 2020) 

  27. S. Y. Lee, H. S. Park, D. J. Kim, J. H. Han, S. M. Kim, et al, "Appropriate waist circumference cutoff points for central obesity in Korean adults", Diabetes Research and Clinical Practice, Vol.75, No.1, pp.72-80, 2007. DOI: https://doi.org/10.1016/j.diabres.2006.04.013 

  28. Korea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Agency, The survey manual for the seven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Internet], Korea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Agency, c2016, Available From: https://knhanes.cdc.go.kr/knhanes/sub04/sub04_02_02.do?classType4 (accessed Dec. 29, 2020) 

  29. Korea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Agency, The guideline for data user of the seven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Internet], Korea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Agency, c2020, Available From: https://knhanes.cdc.go.kr/knhanes/sub03/sub03_06_02.do (accessed Dec. 29, 2020) 

  30. C. G. Kim, Y. Kim, "The prevalence and associated factors of the metabolic syndrome in pre-menopausal housewives: an analysis of the 2010-2015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Vol.29, No.1, pp.108-119, 2018. DOI: https://doi.org/10.12799/jkachn.2018.29.1.108 

  31. M. L. Yeh, P. C. Wang, J. G. Lin, I. H. Lin, H. H. Chen, "The effect of exercise on body composition in menopausal women: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Journal of Nursing and Health Care Research, Vol.7, No.1, pp.35-44, 2011. 

  32. G. A. Kelley, K. S. Kelley, "Impact of progressive resistance training on lipids and lipoproteins in adults: a meta-analysis of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Preventive Medicine, Vol.48, No.1, pp.9-19, 2009. DOI: https://doi.org/10.1016/j.ypmed.2008.10.010 

  33. K. Tambalis, D. B. Panagiotakos, S. A. Kavouras, L. S. Sidossis, "Responses of blood lipids to aerobic, resistance, and combined aerobic with resistance exercise training: a systematic review of current evidence", Angiology, Vol.60, No.5, pp.614-632, 2009. DOI: https://doi.org/10.1177/0003319708324927 

  34. D. I. Kim, "The relationship between walking activity, vigorous physical activity, metabolic syndrome risk factors, and hypertension among Korean adult population: data from The fif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V-3(2012)", Korean Journal of Sports Science, Vol.24, No.1, pp.1111-1122, 2015. 

  35. K. Shaw, H. Gennat, P. O'Rourke, C. D. Mar, "Exercise for overweight or obesity", Cochrane Database Systematic Review, Vol.18, No.4, 2006. DOI: https://doi.org/10.1002/14651858.CD003817.pub3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