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의사결정나무기법을 활용한 장기요양 복지용구 권고모형 개발
A recommendation system for assisting devices in long-term care insurance 원문보기

응용통계연구 = The Korean journal of applied statistics, v.31 no.6, 2018년, pp.693 - 706  

한은정 (국민건강보험공단 건강보험정책연구원) ,  박상희 (국민건강보험공단 건강보험정책연구원) ,  이정석 (국민건강보험공단 건강보험정책연구원) ,  김동건 (동덕여자대학교 정보통계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노인의 신체기능에 부합하는 복지용구를 제공하는 것은 노인이 가능한 한 오랫동안 자신의 집과 지역사회에서 자립하여 생활할 수 있도록 돕기 위해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는 수급자의 신체 및 인지 기능 상태를 고려하여 개개인에게 적합한 복지용구 품목을 권고할 수 있는 과학적인 복지용구 표준급여모형 알고리즘을 개발하고자 수행되었다. 모형개발에는 데이터마이닝기법인 의사결정나무를 활용하였다. 수급자 8,084명의 장기요양인정조사자료와 파워어세서가 작성한 표준급여계획, 수급자 특성 자료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구축하였고, 15개 복지용구 품목별로 표준급여모형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는 노인장기요양보험의 복지용구 급여계획의 객관성 및 과학성을 확보하고 수급자의 자립생활과 안전을 향상시키는 데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t is very important to support the elderly with disability ageing in place. Assisting devices can help them to live independently in their community; however, they have to be used appropriately to meet care needs. This study develops an assisting device recommendation system for the beneficiaries o...

주제어

표/그림 (9)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격적으로 절대기준을 작성하기 전에 워크샵에 참여한 평가자들은 복지용구 품목을 권고하면서 느낀 문제점 및 개선방안에 대해 토의하였다. 그리고 복지용구 표준급여모형 작성 원칙과 작성방법에 대한 교육을 실시하였다. 자료수집의 원칙을 바탕으로 평가자들은 17개 복지용구 급여품목의 기능과 용도를 다시 한번 숙지하였다.
  • 그러므로 추가적인 복지용구 품목이 도입이 되는 경우, 도입된 품목에 대하여 알고리즘을 보완하는 방안에 대해서도 논의되어야 할 것이다. 다섯째, 권고 모형 개발에 있어서 모형과 현장 경험 사이의 불일치를 해소하는 과정이 중요함을 강조하고자 한다. 의사결정나무는 최근 기법에 비해 정확도가 상대적으로 낮고, 모형이 불안정한 점 등 여러 가지 한계점을 가지고 있지만 해석이 직관적이고 현장에서 구현하기 쉽다는 장점이 있다.
  • 본 연구는 복지용구 전문가가 참여하여 수급자의 장기요양인정조사의 결과와 복지용구 품목을 고려한 복지용구 표준급여모형을 개발하여, 과학적인 방식으로 수급자에게 적정한 복지용구 권고에 기여하였다 는데 의의가 있다. 또한 복지용구를 이동, 개인위생, 안전과 예방관련 품목으로 구분하고 복지용구별 추 천 알고리즘을 개발하여 실제 업무에 활용성을 높이고자 하였으며, 복지용구의 이용현황과 개발된 모형의 결과를 비교하여 구축된 모형의 현실성을 검토하였다는 장점이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는 몇 가지 한계점이 존재한다.
  • 본 연구는 복지용구 선택의 객관성과 과학성을 확보하여 수급자에게 복지용구 급여제공에 대한 적정한 정보를 제공하고자 수급자의 건강 및 기능상태만을 고려하여 수급자의 기능상태에 적정한 복지용구 구입 및 대여 품목을 권고해주는 통계모형 개발을 목적으로 한다. 2009년, 2011년 개발된 표준급여모형을 벤치마킹하여 그 모형을 복지용구 권고모형(표준급여모형)이라고 정의하였고 (Kwon 등, 2009, 2011), 복지용구 권고모형(표준급여모형)에서 도출되는 급여품목은 수급자의 희망, 수발환경 등을 고려하기 이전에 수급자의 기능 및 건강상태만을 고려했을 때의 최적의 급여품목으로 가정한다.
  • 본 연구는 수급자의 신체기능 상태를 고려한 개개인에게 적합하고 개별화된 복지용구 품목을 권고할 수 있는 과학적인 복지용구 표준급여모형 알고리즘을 개발하여 수급자에게 적합한 복지용구를 제공하고자수행되었다. 수급자에게 적정한 장기요양서비스의 종류와 양을 권고하기 위하여 2009년, 2011년 표준 급여모형을 개발하여 시설과 재가업무의 이용지원에 활용해오고 있으나, 기타 재가급여인 복지용구는 공단의 적극적인 이용지원 대상이 아니었다.
  •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행 복지용구 급여체계는 수급자의 상태에 적합한 복지용구에 관 한 정보를 제공해주지 못하여 수급자의 복지용구 이용지원 업무에 한계가 지적되어왔다. 본 연구는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물리치료사 또는 작업치료사 자격증을 보유한 복지용구 파워어세서 전문가 워크샵을 실시하고 수급자의 장기요양인정조사의 결과와 복지용구 품목을 연계한 자료를 취합하여 모형화하는 과학적인 방식으로 복지용구 표준급여모형(권고모형)을 개발하였다.
  • 본 연구를 통해 15개의 복지용구 급여품목에 대한 복지용구 표준급여모형을 개발하였다. 이 과정에 서, 15개의 복지용구 급여품목은 다시 유사한 기능을 하는 이동(지팡이, 보행기, 수동휠체어), 개인위생(간이변기, 이동변기, 목욕의자, 이동욕조, 목욕리프트), 안전과 예방(욕창매트리스, 자세변환용구, 전동(수동)침대, 안전손잡이, 미끄럼방지용품, 욕창예방방석, 배회감지기) 품목군으로 분류하였고, 각각의 권고모형을 분석하여 권고기준을 제시하였다.
  • 워크샵을 통해 자료수집을 실시한 이유는 수급자의 건강과 기능상태만을 고려하여 절대기준(gold standard)에 대한 평가자 간의 편차를 줄일 수 있을 뿐 아니라 정확하고 신속하게 자료를 수집하여 복지용구 표준급여모형의 신뢰성과 타당성을 높이기 위함이었다. 본격적으로 절대기준을 작성하기 전에 워크샵에 참여한 평가자들은 복지용구 품목을 권고하면서 느낀 문제점 및 개선방안에 대해 토의하였다. 그리고 복지용구 표준급여모형 작성 원칙과 작성방법에 대한 교육을 실시하였다.
  • 복지용구도 수급자의 건강 및 기능상태를 고려한 ‘복지용구 표준급여모형’을 개발하여 이용지원 상담에 활용된다면, 수급자가 적정한 복지용구를 이용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데 중요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수급자에게 적정한 복지용구 품목을 권고할 수 있는 과학적인 복지용구 표준급여모형 알고리즘을 개발하여, 수급자에게 복지용구 급여제공에 대한 적정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 복지용구 표준급여모형 개발에 활용하기 위한 자료수집의 원칙은 2009년, 2011년도 표준급여모형 개발 시 사용한 자료수집 원칙을 기본으로 하였으며, 복지용구관련 문헌고찰, 전문가와 실무자회의를 통해 다음과 같이 정의하였다. 첫째, 수급자의 건강 및 기능상태를 고려하여, 해당 복지용구 품목을 작성하는 것이다. 수급자의 건강 및 기능상태는 장기요양 등급을 판정할 때 활용하는 장기요양인정조사표를 활용하였다.

가설 설정

  • 본 연구는 복지용구 선택의 객관성과 과학성을 확보하여 수급자에게 복지용구 급여제공에 대한 적정한 정보를 제공하고자 수급자의 건강 및 기능상태만을 고려하여 수급자의 기능상태에 적정한 복지용구 구입 및 대여 품목을 권고해주는 통계모형 개발을 목적으로 한다. 2009년, 2011년 개발된 표준급여모형을 벤치마킹하여 그 모형을 복지용구 권고모형(표준급여모형)이라고 정의하였고 (Kwon 등, 2009, 2011), 복지용구 권고모형(표준급여모형)에서 도출되는 급여품목은 수급자의 희망, 수발환경 등을 고려하기 이전에 수급자의 기능 및 건강상태만을 고려했을 때의 최적의 급여품목으로 가정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노인은 무엇에 의해 일상생활수행능력이 손상될 가능성이 있는가? 노인장기요양보험 재가급여의 일종인 복지용구는 수급자의 일상생활과 신체활동 지원을 위해 필요하다(노인장기요양보험법 제23조). 노인은 고령, 만성적 질환, 사고 등에 의해 일상생활수행능력이 손상될 가능성이 있는데, 복지용구를 사용하게 되면 노인의 제한된 기능을 보완하고 향상시킬 수 있어, 노인이 시설생활에 의존하지 않고 건강하게 지역사회에서 살아갈 수 있다 (Lee와 Chang, 2010; Kang, 2014). 즉, 노인의 신체기능에 적합한 복지용구를 제공하는 것은 노인의 건강한 자립생활을 도울 수 있으므로 매우 중요하다.
노인이 자신에게 적합한 복지용구를 선택하고 사용하려면 복지용구 전문가의 도움이 필요한 이유는 무엇인가? 노인이 자신에게 적합한 복지용구를 선택하고 사용하려면 복지용구 전문가의 도움이 필요하다. 노인의 개별적인 욕구나 신체상황, 복지용구 품목의 특성, 노인이 거주하는 환경 등을 종합적으로 파악해야하기 때문이다 (Martin, 1998; 新田淳子, 2009; Park과 Kim, 2009; Chang과 Jung, 2010; Yang 등, 2013; Kim 등, 2013). 이를 위해 노인장기요양보험은 이용지원상담(노인장기요양보험법 제48조)으로 수급자인 노인에게 복지용구 정보를 제공하고 있지만, 전문적인 안내와 정보의 제공에 있어서는 여러 가지 문제점이 발견된다.
복지용구는 무엇을 위해 필요한가? 노인장기요양보험 재가급여의 일종인 복지용구는 수급자의 일상생활과 신체활동 지원을 위해 필요하다(노인장기요양보험법 제23조). 노인은 고령, 만성적 질환, 사고 등에 의해 일상생활수행능력이 손상될 가능성이 있는데, 복지용구를 사용하게 되면 노인의 제한된 기능을 보완하고 향상시킬 수 있어, 노인이 시설생활에 의존하지 않고 건강하게 지역사회에서 살아갈 수 있다 (Lee와 Chang, 2010; Kang, 201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Chang, H. S. et al.(2006). Development of an Operation Model for the Elderly Friendly Goods and Equipment Rental Project : Access to aged friendly welfare tools. 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2. Chang, M. Y. and Jung, H. Y. (2010). A study on elderly people's level of satisfaction with assistive technology devices based on occupational therapy intervention,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18, 1-11. 

  3. Han, E. J., Lee, J. S., Kim, D. G., and Kang, I. M. (2009). A recommending system for care plan (Res-CP) in long-term care insurance system, The Korean Journal of Applied Statistics, 22, 1229-1237. 

  4. Han, E. J., Lee, J. S., Kim, D. G., and Kwon, J. H. (2014). A decision-support system for care plan in long-term care insurance, The Korean Journal of Applied Statistics, 27, 667-679. 

  5. Jin, Y. R. and Kim, K. B. (2013). Comparing standards or guidelines of medical devices reimbursed by longterm-care insurance in Korea, Japan, and Germany, Korean Review of Crisis & Emergency Management, 9, 201-224. 

  6. Kang, J. H. (2014). Exploring community-dwelling elders' experiences on the use of assistive devices, Journal of Welfare for the Aged Institute, 64, 345-369. 

  7. Kim, D. J. (2013). Policy on long-term care assistive products, Health and Welfare Policy Forum, 203, 77-88. 

  8. Kim, H. J. (2015). The financial of long-term care insurance is leaking. Suspicions surrounding the purchase of assistive devices for the elderly. 2015/06/30, http://docdocdoc.co.kr/176880 

  9. Kim, S. B., Nam, S. K., and Shin, O. S. (2013). Improvement measures for satisfaction of utilization and its' comparison of assistive products in long-term care elderly, Journal of Rehabilitation Welfare Engineering & Assistive Technology, 7, 125-132. 

  10. Kwon, J. H., Han, E. J., and Lee, J. S. (2009).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Long-term Care Service Wage Management : Development of Standard Wage Models. Health Insurance Policy Institute. 

  11. Kwon, J. H., Han, E. J., and Lee, J. S. (2011). Redesigning the Standard Wage Model for Long-term Care Services. Health Insurance Policy Institute. 

  12. Kwon, J. H., Lee, J. S., Na, Y. K., and Moon, Y. P. (2015). A Study on the Optimal Operation of Welfare Equipment Rental System. Health Insurance Policy Institute. 

  13. Lee, S. M. and Park, R. W. (2009). Basic concepts and principles of data mining in clinical practic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Medical Informatics, 15, 175-189. 

  14. Lee, T. B. and Chang, H. S. (2010). The effects of assistive products in Korean long-term care insurance system for the beneficiary older adults, Health Policy and Management, 20, 126-138. 

  15. Lee, Y. K. (2016). 등급판정도구 개편연구. KIHASA 

  16. Martin, C. (1998). Assistive Technology: the old people's perspective, In I. Placencia, & E. Ballabio (Eds). Improving the quality of life for the European citizen, Technology for Inclusive Design and Equality, 113-117. Amsterdam: IOS Press 

  17. Park, K. Y. and Kim, M. S. (2009). The satisfaction and need of assistive devices for the elderly, The Journal of Korea Aging Friendly Industry Association, 1, 31-36. 

  18. Park, S. H., Han, E. J., LEE, J. S., and Park, S. Y. (2016). A Study of the development of standard model to providing assistive devices in long-term care insurance system. Health Insurance Policy Institute. 

  19. Yang, Y. A. et al. (2013).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Benefit Payment System. Inje Industry Academic Cooperation Foundation. 

  20. 新田淳子 (2009). 特別寄稿文 : 認知症高齡者における福祉用具の利用 - 尊嚴 と 安全性 の視点からの提言- , The Journal of Korea Aging Friendly Industry Association, 1, 1-10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