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세월호 재난 1년 후 유가족의 심리적, 신체적 건강에 대한 연구
A Study on Psychological and Physical Health of Families of Victims One Year after the Sewol Ferry Disaster 원문보기

精神身體醫學 = Korean journal of psychosomatic medicine, v.26 no.2, 2018년, pp.179 - 187  

고정경 (고려대학교 안산병원 정신건강의학과) ,  한은진 (안산정신건강트라우마센터) ,  신철민 (고려대학교 안산병원 정신건강의학과) ,  이승훈 (고려대학교 안산병원 정신건강의학과) ,  박솔아 (고려대학교 안산병원 정신건강의학과) ,  안소라 (안산정신건강트라우마센터) ,  고영훈 (고려대학교 안산병원 정신건강의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연구목적 세월호 침몰 사고 1주기에 시행한 설문조사를 통해 유가족들의 신체적 건강, 심리적 어려움, 일상 기능의 문제를 파악하고, 향후 재난 유가족들에 대한 지원 대책의 기틀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방 법 본 연구에서는 2015년 3월 22일부터 7일간 137명의 세월호 유가족들을 대상으로 실시한 자가보고식 설문조사 자료를 바탕으로 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결 과 유가족 대부분이 심리적 어려움을 호소하였고, 95.4%가 새로 진단받거나 악화된 신체질환이 있었으며, 호소하는 심리적 어려움이 많을수록 소화기계, 근골격계, 산부인과계, 비뇨생식기, 심혈관계 질환과 만성 두통이 발생하거나 악화되는 경향을 보였다. 사고 전과 비교해 71.9%가 대인관계를 회피하였으며, 63.9%가 직장생활 복귀의 어려움을 보고하는 등 일상 기능에서도 어려움을 보였다. 결 론 재난 후에는 유가족들이 겪는 심리적 외상뿐 아니라 신체질환이나 일상 기능에 대해서도 세밀한 평가와 개입이 시행되어야 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ssess physical illnesses, psychological difficulties, and daily life function of victims' family members one year after the Sewol ferry disaster, in order to establish a basis of strategies to promote their mental health and resilience. Methods : We sta...

주제어

표/그림 (4)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AMTC에서 시행한 실태 조사는 세월호 사건 후 1년이 지난 시점에서 유가족의 신체적 건강과 심리 상태, 특히 기념일 반응을 평가하고 정신건강서비스의 방향을 설정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이 조사의 결과에서 가장 눈에 띄는 결과는 유가족이 가장 많이 호소한 심리적인 어려움이 분노(88.
  • 대인관계, 직장생활 등의 일상생활에서의 문제에 대해서도 질의하고, 향후 예상되는 가장 두려운 상황을 묻는 문항을 통해 유가족들이 느끼는 미래의 스트레스 요인을 파악 하고자 하였다. 외상 후 인지 변화를 평가하기 위한 문항은 사고 이후 변화된 자신과 세상에 대한 가치관을 묻는 질문으로 Posttraumatic Cognitions Inventory (PCI)25) 의 세 가지 하위 척도에서 각각을 대표하는 문항 2개씩을 발췌하여 총 6개의 보기 중에서 중복으로 응답하도록 하였다.
  • 이 조사에서는 1주기 반응을 포함하여 세월호 유가족들의 신체적 건강과 심리적 어려움, 일상 스트레스 요인 등 다양한 측면을 평가 하였다. 이에 본 연구자들은 이 자료를 통해 재난 유가족들이 경험하는 다양한 영역에서의 어려움을 설명할 수 있는 근거로 활용할 뿐 아니라, 향후 발생하는 재난 유가족들에 대해 효율적인 지원 대책을 마련할 수 있는 기틀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심리적 외상이란 언제 발생할 수 있나? 대부분의 사람들은 일생 동안 한 번 이상 외상 사건을 경험하고1) 심리적 외상을 경험한 피해자 및 유가족들은 심리, 생리, 행동 증상들을 겪거나 신체적인 질환을 앓으며, 불안정한 환경 속에 놓이는 경우가 많다.2) 심리적 외상이란 실제이거나 위협이 되는 죽음, 심각한 부상, 또는 성폭력 등의 외상 사건에 직접적으로 노출되거나 가족, 친척 또는 친구에게 발생했다는 것을 알게 되는 경우 또는 외상적 사건의 혐오적인 부분에 반복적으로 노출된 경우 발생할 수 있다.3,4) 심리적 외상을 경험한 사람이 모두 심각한 후유증을 겪는 것은 아니지만, 외상후스트레스장애(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PTSD)나 우울증 등 정신장애의 위험성을 높이고 삶의 전반에 큰 영향을 주기도 한다.
세월호 사건 후 1년이 지난 시점에서 유가족이 가장 많이 호소한 심리적 어려움은? AMTC에서 시행한 실태 조사는 세월호 사건 후 1년이 지난 시점에서 유가족의 신체적 건강과 심리 상태, 특히 기념일 반응을 평가하고 정신건강서비스의 방향을 설정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이 조사의 결과에서 가장 눈에 띄는 결과는 유가족이 가장 많이 호소한 심리적인 어려움이 분노(88.5%) 라는 사실이다. 전쟁, 성폭행 등에 의한 PTSD는 분노와 관련되어 있으며,26) 전쟁을 경험한 군인의 PTSD에서는 분노와 공격성이 관찰되며 이는 대인관계의 어려움을 유발하는 등27) 분노는 정신건강의 위험인자로 볼 수 있는 감정상태이다.
심리적 외상을 경험한 사람이 겪을 가능성이 있는 영향에는 무엇이 있는가? 2) 심리적 외상이란 실제이거나 위협이 되는 죽음, 심각한 부상, 또는 성폭력 등의 외상 사건에 직접적으로 노출되거나 가족, 친척 또는 친구에게 발생했다는 것을 알게 되는 경우 또는 외상적 사건의 혐오적인 부분에 반복적으로 노출된 경우 발생할 수 있다.3,4) 심리적 외상을 경험한 사람이 모두 심각한 후유증을 겪는 것은 아니지만, 외상후스트레스장애(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PTSD)나 우울증 등 정신장애의 위험성을 높이고 삶의 전반에 큰 영향을 주기도 한다.5,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6)

  1. Frazier P, Anders S, Perera S, Tomich P, Tennen H, Park C, Tachiro T. Traumatic events among undergraduate students: Prevalence and associated symptoms. J Couns Psychol 2009; 56:450. 

  2. Ursano RJ, McCaughey BG, Fullerton CS. Individual and community responses to trauma and disaster: The structure of human chaos: Cambridge University Press;1994. p.31-45. 

  3. Lazarus RS. From psychological stress to the emotions: A history of changing outlooks. Annual Review of Psychology 1993; 44:1-22. 

  4.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fifth ed. Arlington: American Psychiatric Publishing;2013. p.271-280. 

  5. Choi BN, Kim HK. Effects of traumatic experiences and personality pathology of North Korean female refugees on psychological symptoms. The Korean Journal of Counselling and Psychotherapy 2011;23:195-212. 

  6. Kim MH, Min SH. Disaster and mental health. Mental Health Policy Forum 2011;5:3-21. 

  7. Kim SP, Kim BL, Hong KS, Joung YS, Yu BH, Kim DK. Acute PTSD in survivors of a building collapse accident in Seoul: a preliminary study on incidence, predictors and pattern of symptom changes. J Korean Neuropsychiatr Assoc 1997;36. 

  8. Choi YK, Lee MS, Lee JS, Shin DK. The relationship of coping style and psychological distress in the survivors of sampoong accident. J Korean Neuropsychiatr Assoc 1996;36. 

  9. Sung GH. Law and institutional improvement plan of diseaster relief system in Korea. J. Korean Soc Hazard Mitig 2005;5: 32-41. 

  10. Baek ML. Posttraumatic stress in firefighters-Daegu subway fire disaster.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the Scientific Study of Subjectivity 2007:109-128. 

  11. Kwan HJ, Kyung KC, Yeon LS, Yong CW. The study on the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of the families of the victims in Daegu subway disaster. J Emot Disord 2005;21:139-154. 

  12. Kim KH, Kwon SJ. Posttraumatic stress response of Taean residents: Focused on a regional comparison at two and eight months after the diaster. The Korean Association For Environmental Sociology 2009;13:89-125. 

  13. Kim SJ, Kim KH. Stress coping patterns of Taean residents in diseaster.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2008;2008:6-7. 

  14. Yoo J, Cho SW, Son YW, Choe NH. Cognitive precesses of disaster victims and role of executive director : Suggesting Mental Model from Counselling to Survivors of Deagu Subway Fire Disaster. The Korean Association for Crisis and Emergency Management 2010:16-26. 

  15. Breslau N. Gender differences in trauma and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The journal of gender-specific medicine: JGSM: the Official Journal of the Partnership for Women's Health at Columbia 2002;5:34-40. 

  16. Green BL, Korol M, Grace MC, Vary MG, Leonard AC, Gleser GC, Smitson-Cohen S. Children and disaster: Age, gender, and parental effects on PTSD symptoms. Acad Child Adolesc Psychiatry 1991;30:945-951. 

  17. Holbrook TL, Hoyt DB, Stein MB, Sieber WJ. Gender differences in long-term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outcomes after major trauma: women are at higher risk of adverse outcomes than men. J Trauma Acute Care Surg 2002;53:882-888. 

  18. Hong CH, Yoo JJ, Cho YA, Eom J, Ku H, Seo SW, Ahn EM, Min SK, Jeon WT. A 3-year follow-up study of posttrauma stress disroder among North Korean defectors. J Korean Neuropsychiatr Assoc 2005;45. 

  19. Sledjeski EM, Speisman B, Dierker LC. Does number of lifetime traumas explain the relationship between PTSD and chronic medical conditions? Answers from the National Comorbidity Survey-Replication (NCS-R). J Behav Med 2008;31: 341-349. 

  20. Choi NH, Rho JC, Im SB, Cho Y, Lim SK, Ryu J, Cho DH. Basic research for effective management of disaster victim psychological support measures. National Emergency Management Agency 2009. 

  21. Kim EM, Kim BO. A study on experience of bereaved family members who lost children in the Sewol ferry disaster. Korean Journal of Christian Counseliing 2018;29:89-129. 

  22. Kim IH, Lee EK, Lee Y, Kim H, Choi JK. A study on desire of communities following the life status and psychological condition of victims family of Sewol ferry diaster. Gyeonggi Research Institute 2016:1-131. 

  23. Park GM. A Technical Approach to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of the Sewol Ferry victim's parent.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2015;15:134-145. 

  24. Jordan K. What we learned from the 9/11 first anniversary. The Family Journal 2003;11:110-116. 

  25. Foa EB, Ehlers A, Clark DM, Tolin DF, Orsillo SM. The posttraumatic cognitions inventory (PTCI): Development and validation. Psychological Assessment 1999;11:303. 

  26. Orth U, Wieland E. Anger, hostility, and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in trauma-exposed adults: A meta-analysis. Consult Clin Psychol 2006;74:698. 

  27. Jakupcak M, Conybeare D, Phelps L, Hunt S, Holmes HA, Felker B, Kelvens M, McFall ME. Anger, hostility, and aggression among Iraq and Afghanistan war veterans reporting PTSD and subthreshold PTSD. J Trauma Stress 2007;20:945-954. 

  28. Feeny NC, Zoellner LA, Foa EB. Anger, dissociation, and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among female assault victims. J Trauma Stress 2000;13:89-100. 

  29. Foa EB, Riggs DS, Massie ED, Yarczower M. The impact of fear activation and anger on the efficacy of exposure treatment for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Behav Ther 1995;26:487-499. 

  30. Chemtob CM, Novaco RW, Hamada RS, Gross DM, Smith G. Anger regulation deficits in combat-related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J Trauma Stress 1997;10:17-36. 

  31. DeSantis SM, Baker NL, Back SE, Spratt E, Ciolino JD, Moran-Santa Maria M, et al. Gender differences in the effect of early life trauma on hypothalamic-pituitary-adrenal axis functioning. Depress Anxiety 2011;28:383-392. 

  32. Uhart M, Chong RY, Oswald L, Lin PI, Wand GS. Gender differences in hypothalamic-pituitary-adrenal (HPA) axis reactivity. Psychoneuroendocrinology 2006;31:642-652. 

  33. Rodriguez BF, Weisberg RB, Pagano ME, Machan JT, Culpepper L, Keller MB. Mental health treatment received by primary care patients with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The Journal of Clinical Psychiatry 2003;64:1230. 

  34. Otis JD, Keane TM, Kerns RD. An examina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chronic pain and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J Rehabil Res Dev 2003;40:397-406. 

  35. Frayne SM, Chiu VY, Iqbal S, Berg EA, Laungani KJ, Cronkite RC, Pavao J, Kimerling R. Medical care needs of returning veterans with PTSD: their other burden. J Gen Intern Med 2011;26:33-39. 

  36. Aaseth K, Grande R, Leiknes K, Benth J, Lundqvist C, Russell M. Personality traits and psychological distress in persons with chronic tension-type headache. The Akershus study of chronic headache. Acta Neurol Scand 2011;124:375-382. 

  37. Cathcart S, Winefield AH, Lushington K, Rolan P. Stress and tension-type headache mechanisms. Cephalalgia 2010;30: 1250-1267. 

  38. Surdea-Blaga T, Baban A, Dumitrascu DL. Psychosocial determinants of irritable bowel syndrome. World J Gastroenterol 2012;18:616. 

  39. Konturek PC, Brzozowski T, Konturek S. Stress and the gut: pathophysiology, clinical consequences, diagnostic approach and treatment options. J Physiol Pharmacol 2011;62:591-599. 

  40. Yap EC. Myofascial pain-an overview. Ann Acad Med Singapore 2007;36:43. 

  41. Yokoyama M, Yokoyama T, Funazu K, Yamashita T, Kondo S, Hosoai H, Yokoyama A, Nakamura H. Associations between headache and stress, alcohol drinking, exercise, sleep, and comorbid health conditions in a Japanese population. J Headache Pain 2009;10:177-185. 

  42. Juang KD, Wang SJ, Fuh JL, Lu SR, Su TP. Comorbidity of depressive and anxiety disorders in chronic daily headache and its subtypes. J Oral Facial Pain Headache 2000;40:818-823. 

  43. Rod NH, Gronbaek M, Schnohr P, Prescott E, Kristensen T. Perceived stress as a risk factor for changes in health behaviour and cardiac risk profile: a longitudinal study. Journal of Internal Medicine 2009;266:467-475. 

  44. Kato M, Noda M, Inoue M, Kadowaki T, Tsugane S. Psychological factors, coffee and risk of diabetes mellitus among middle-aged Japanese: a population-based prospective study in the JPHC study cohort. Endocr J 2009;56:459-468. 

  45. Adams RE, Boscarino JA, Galea S. Social and psychological resources and health outcomes after the World Trade Center disaster. Social Science & Medicine 2006;62:176-188. 

  46. Choi NH. Narrative analysis on survivor's experience of Daegu subway fire disaster-The hypothetical suggestions for disaster nursing practice. J Korean Acad Nurs 2005;35:407-41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