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미디어 이용과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PTSD): 세월호 사건을 중심으로
Media Use during the Sewol Ferry Disaster and Post Traumatic Stress Disorder 원문보기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 Journal of Digital Contents Society, v.19 no.4, 2018년, pp.673 - 683  

박노일 (차의과학대학교 의료홍보미디어학과) ,  장석환 (차의과학대학교 미술치료상담심리학과) ,  정지연 (홍익대학교 광고홍보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세월호 사건은 재난의 일반적인 피해 수준을 넘어 온 국민들에게 정신적 충격을 준 참사이다. 이 연구는 세월호 사건과 관련한 미디어 이용으로 대리된(vicarious) 재난 경험과 이용자의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PTSD) 간의 연관성을 탐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세월호 사건 발생 직후인 2014년 4월 28일부터 12일 동안 수도권 소재 종합대학과 중고등학교 학생 417명을 대상으로 수집한 답변 자료를 분석한 결과, 세월호 사태 기간 중에 주요 재난 사건 뉴스정보를 접하는 채널이 소셜 미디어인 경우 신문이나 TV방송보다 더 높은 수준의 외상을 나타냈다. 또한 재난 사건 뉴스정보와 소셜 미디어 이용량이 많을수록 PTSD와 정적인 인과관계를 나타냈다. 본 연구 결과는 재난 사건에 대한 미디어 매개 심리적 외상 문제의 작동기제와 경험적 결과를 제시하며 후속 연구를 촉발한다는 데 의의가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accident of Sewol Ferry is a disaster that provoked serious mental shock to the Korean people way beyond the level of generally-perceived catastrophic aftermath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vicarious disaster experiences through media and post-traumatic str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세월호 사건 당시 소셜 미디어 이용에 주목하여 세월호 사태의 심리적인 외상 영향을 경험적으로 탐색해 보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는 우리 사회의 주요한 사건사고 관련 뉴스 정보를 습득하는 채널(신문, TV방송, 소셜 미디어)에 따라 PTSD 수준에 차이가 나는지를 탐색하고, 이어서 재난 사태 시 전체적인 뉴스 총 이용량과 소셜 미디어 이용량이 PTSD에 미치는 영향을 인구사회학적 변인(성별, 연령, 학력, 소득수준)을 고려하여 탐색해 보고자 한다. 이러한 작업을 통해 국가적 비극인 세월호 사건 발생 직후에 기성 매스미디어의 재난보도 및 소셜 미디어를 매개로 한 정보 소비가 우리 사회에 어떠한 심리적 외상 충격으로 나타났는지를 살핌으로써 언론학과 정신건강학의 협력 지점을 찾고자 한다.
  • <연구문제 2>는 세월호 사태 시 소셜 미디어 이용량이 PTSD에 미치는 인과적 영향을 인구사회학적 속성을 고려한 가운데 살피는 데 목적이 있다.
  • 또한 국가적인 재난 발생 시 정신보건 취약 계층을 고려하고, 재난보도 시 미디어 채널별 정보전달 행태는 물론 TV방송사의 책임성을 점검해야 함을 제시한다. 더불어 본 연구는 재난 상황 관련 미디어 매개 커뮤니케이션 과정에 국민 전체의 심리적 안녕(well-being)과 충격을 고려해야 한다는 논거를 제공한다. 선행연구[24]가 제시하고 있듯이, 지역 혹은 국가적 재난 사건을 즉각적으로 보도하는 뉴스에 취약한 사람들이 너무 많이 노출하지 않도록 유도하고, 뉴스 보도 또한 공중의 건강(health)에 부합하도록 해야 한다.
  • 또한 재난 사태 시 여과없이 생생한 사건사고 현장을 매개하는 소셜 미디어의 이용과 전체적인 사건사고 관련 뉴스정보 이용량의 증가는 PTSD 변인에 인과적 관계를 가질 것으로 예측할 수 있다. 따라서 세월호 사태와 같은 재난 사건 발생 시 뉴스정보를 전달하는 미디어 채널유형에 따른 PTSD 차이, 뉴스정보 이용량과 소셜 미디어 이용 패턴의 심리적 충격을 공중의 정신건강 차원에서 입체적으로 살펴볼 필요성을 제시한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의 연구문제를 아래와 같이 설정하였다.
  • 이러한 작업을 통해 국가적 비극인 세월호 사건 발생 직후에 기성 매스미디어의 재난보도 및 소셜 미디어를 매개로 한 정보 소비가 우리 사회에 어떠한 심리적 외상 충격으로 나타났는지를 살핌으로써 언론학과 정신건강학의 협력 지점을 찾고자 한다. 또한 본 연구는 정신보건 취약 계층을 고려하고 재난보도에 대한 언론의 윤리와 책임 인식의 중요성을 점검하는 데 필요한 경험적인 결과를 제시할 뿐만 아니라, 국가적인 참사 상황에서 사회구성원 전체의 심리적 안녕(well-being)에 대한 커뮤니케이션 정책적 지침을 제공한다는 점에서도 의미와 가치가 있는 작업이다.
  • 국내의 커뮤니케이션학 차원에서 미디어 매개 외상 사건 노출에 따른 미디어 이용자의 심리적 충격에 대한 탐색은 미진한 상태이다. 본 연구는 세월호 사건 당시 소셜 미디어 이용에 주목하여 세월호 사태의 심리적인 외상 영향을 경험적으로 탐색해 보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는 우리 사회의 주요한 사건사고 관련 뉴스 정보를 습득하는 채널(신문, TV방송, 소셜 미디어)에 따라 PTSD 수준에 차이가 나는지를 탐색하고, 이어서 재난 사태 시 전체적인 뉴스 총 이용량과 소셜 미디어 이용량이 PTSD에 미치는 영향을 인구사회학적 변인(성별, 연령, 학력, 소득수준)을 고려하여 탐색해 보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재난 사건 직접 경험으로 나타나는 심리적 외상 수준과 미디어를 통한 간접 경험으로 인한 정신적 충격이 유사하게 나타날 수 있다는 선행연구의 흐름을 토대로, 세월호 사건 당시 폭주하는 세월호 참사 상황과 현장 뉴스정보를 전달하는 미디어 채널의 차이와 이용량의 PTSD 영향을 인구사회학적 속성을 고려하여 입체적으로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세월호 사건 직후 12일 동안 수도권 소재 중소도시의 중고등학생과 대학생을 대상으로 오프라인 설문조사를 진행하여 수집한 417명의 답변 자료를 분석한 결과와 의의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 선행연구[24]가 제시하고 있듯이, 지역 혹은 국가적 재난 사건을 즉각적으로 보도하는 뉴스에 취약한 사람들이 너무 많이 노출하지 않도록 유도하고, 뉴스 보도 또한 공중의 건강(health)에 부합하도록 해야 한다. 본 연구는 재난 사태 보도 시, 언론인의 보도 행태 및 책임, 그리고 언론의 보도 관행을 점검할 필요성을 제시한다. 즉 외상사건 발생 시 TV매체 등을 중심으로 언론의 재난보도 준칙과 저널리즘 관행 점검의 필요성을 제시한다.
  • 신체 감각적 요인을 다룬 또 다른 연구에서는 교감신경계 반응성(reactivity)이 높은 청소년들이 외상 관련 미디어에 노출되면 PTSD 증상을 많이 보였다[36]. 아울러 이 연구에서는 교감신경계 반응성이 낮은 청소년들도 미디어 노출 시간이 길어지면 역시 PTSD 증상이 높게 나타나는 결과를 제시한다.
  • 은 세월호 사태 시, 뉴스미디어 정보원으로 소셜 미디어 채널과 전통적인 신문·방송 채널에 대한 미디어 신뢰도 수준이 PTSD에 어떠한 차이를 나타내는지 분석하는 것이다.
  • 구체적으로 본 연구는 우리 사회의 주요한 사건사고 관련 뉴스 정보를 습득하는 채널(신문, TV방송, 소셜 미디어)에 따라 PTSD 수준에 차이가 나는지를 탐색하고, 이어서 재난 사태 시 전체적인 뉴스 총 이용량과 소셜 미디어 이용량이 PTSD에 미치는 영향을 인구사회학적 변인(성별, 연령, 학력, 소득수준)을 고려하여 탐색해 보고자 한다. 이러한 작업을 통해 국가적 비극인 세월호 사건 발생 직후에 기성 매스미디어의 재난보도 및 소셜 미디어를 매개로 한 정보 소비가 우리 사회에 어떠한 심리적 외상 충격으로 나타났는지를 살핌으로써 언론학과 정신건강학의 협력 지점을 찾고자 한다. 또한 본 연구는 정신보건 취약 계층을 고려하고 재난보도에 대한 언론의 윤리와 책임 인식의 중요성을 점검하는 데 필요한 경험적인 결과를 제시할 뿐만 아니라, 국가적인 참사 상황에서 사회구성원 전체의 심리적 안녕(well-being)에 대한 커뮤니케이션 정책적 지침을 제공한다는 점에서도 의미와 가치가 있는 작업이다.
  • 본 연구는 재난 사태 보도 시, 언론인의 보도 행태 및 책임, 그리고 언론의 보도 관행을 점검할 필요성을 제시한다. 즉 외상사건 발생 시 TV매체 등을 중심으로 언론의 재난보도 준칙과 저널리즘 관행 점검의 필요성을 제시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외상이란 무엇인가? 사랑하는 사람을 잃는 경험이나 자연재해는 정신적 외상과 신체적 장애에만 머물지 않고 많은 문제를 야기한다[16]. 외상이란 개인이 예상하지 못했던 부정적 사건을 겪은 후 경험하는 심리적 충격이다. 외상 후유증이 심하면 정신 의학적 장애인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로 이어진다.
여객선 세월호의 침몰은 언제 발생하였는가? 2014년 4월 16일, 여객선 세월호의 침몰은 대한민국의 총체적인 비극이자 국가적인 참사이다. 304명의 사망·실종자를 낳은 세월호 사건은 참사 발생 4년이 지난 지금까지도 명확한 침몰 원인이 밝혀지지 않고 있다.
ICT의 발전에 따라 현대인은 재난 위기상황에서 어떠한 행동을 보이는가? 정보통신기술(ICT;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technologies)의 발전으로 현대인은 24시간 뉴스 정보와 연결된 삶을 산다. 불확실한 재난 위기상황에서 사람들은 사건의 원인과 결과를 해석하고자 적극적인 정보 추구 행위를 하며, 미디어에 의존적인 행동 양상을 나타낸다[18]. 대량 살상이나 자연재해 현장에 대한 미디어 매개 경험은 광범위하게 일어나고 있으며, 미디어를 통해 전달되는 사회적 사건은 재난 사태를 직접 경험하지 않은 사람들에게도 PTSD를 유발한다[1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0)

  1. E. H. Park. Korean society reflected on the 10th day of the Sewol ferry disaster [Internet]. Available: http://weekly.khan.co.kr 

  2. S.-Y. Jung, "Can the disastrous results of media coverage on Sewol Ferry disaster be restored?: A theoretical exploration for paradigm shift of Journalism norms," Communication Theories, Vol. 11, No. 2, pp. 56-103, June 2015. 

  3. Y. Lim, "A study on the coverage behavior of television news on the Sewol Ferry catastrophe." Journal of Social Science, Vol. 25, No. 4, pp 179-201, October 2014. 

  4. W. Lee and J. Bae, "Asymmetric bias of the Ferry Sewol accident news frame: Discriminatory aspects and interpretive of media," Korean Journal of Communication & Information, Vol. 71, pp. 274-298, June 2015. 

  5. S. Song, "A study of sourcing patterns in the news coverage of the Ferry Sewol Disaster." Korean Journal of Journalism & Communication Studies, Vol. 60, No. 5, pp. 34-62, 2016. 

  6. C.-S. Kwak, "An evaluation of the media outlets for disaster broadcasting in the Sewol disaster," KABS 2014 Summer Congress, Jeju National University, June 2014. 

  7. S. Lee and G. Song, "Intermedia agenda-setting between social media and broadcasting news: Focusing on Sewol-ho disaster related news," Korean Journal of Journalism & Communication Studies, Vol. 58, No. 6, pp. 7-39, 2014. 

  8. C.-H. Lee, "Problems and measures to improve SNS communication through the sinking of the Sewol ferry," The Korea Communications Association(KISM) 2014 Spring Congress, Seoul: Kyung Hee University, May 2015. 

  9. J. K, Pae, E. H. Ha, and M. Lee, "Experiencing the Traumatic Event of Sewol Ferry for Journalists," Korean Journal of Journalism & Communication Studies, Vol. 58, No. 5, pp. 417-445, October 2014. 

  10. M. Lee, E. H. Ha, and J. K, Pae, "Psychological trauma of journalists covering the Sewol Ferry sinking: Continuation of symptoms and the risk factors," Korean Journal of Journalism & Communication Studies, Vol. 59, No. 5, pp. 7-31, October 2015. 

  11. S. H. Sohn, "Study of indirect trauma and related variables by social traumatic event to the adolescence: Focusing on the Sewol Ferry Disaster," Korean Journal of Youth Studies, Vol. 21, No. 10, pp. 269-294, October 2014. 

  12. H. P. Lee, Y. K. Choi, J. H. Lee, and H. S. Lee, "The psychological consequences of indirect trauma exposure through the news on the Sewol ferry disaster," The Korean Journal of Culture and Social Issues, Vol. 22, No. 3, pp. 411-430, August 2016. 

  13. J. Ahern, et al., "Television images and psychological symptoms after the September 11 terrorist attacks," Psychiatry: Interpersonal and Biological Processes, Vol. 65, No. 3, pp. 289-300. February 2002. 

  14. J. Ahern, S. Galea, and D. Vlahov, "Television images and probable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after September 11," The Journal of Nervous and Mental Disease, Vol. 192, No. 3, pp. 217-226. March 2004. 

  15. J. Jarolmen, and H. Sisco, "Media effects on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and the world trade center tragedy," Best Practices in Mental Health, Vol. 1, No. 2, pp. 133-140, July 2005. 

  16. K, Park, "A technical approach to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of the Sewol Ferry victims' parents," International Journal of contents, Vol. 5, No. 9, pp. 134-145, September 2015. 

  17. D. W. Black, and J. E. Grant, DSM-5(R) Guidebook: The essential companion to the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5th ed. American Psychiatric Publishing, 2014. 

  18. W. T. Coombs, Ongoing crisis communication. Planing, managing, and responding, 3rd ed. Thousand Oaks, CA: Sage Publications, 2011. 

  19. R. C. Silver, et al., "Mental- and physical-health effects of acute exposure to media images of the September 11, 2001, attacks and the Iraq War," Psychological Science, Vol. 24, No. 9, pp. 1623-1634, August 2013. 

  20. K. O. Nader DSW, et al., "A preliminary study of PTSD and grief among the children of Kuwait following the Gulf crisis," British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Vol. 32, No. 4, pp. 407-416. November, 1993. 

  21. B. Pfefferbaum, et al., "Media exposure in children one hundred miles from a terrorist bombing," Annual Clinical Psychiatry, Vol. 15, No. 1, pp. 1-8. March 2003. 

  22. K. T. Bernstein, et al., "Television watching and the risk of incident probable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The Journal of Nervous and Mental Disease, Vol. 195, No. 1, pp. 41-47, January 2007. 

  23. V. Deroma, et al., "College students' PTSD symptoms, coping, and perceived benefits following media exposure to 9/11," Journal of College Student Psychotherapy, Vol. 18, No. 1, pp. 49-64, October 2008. 

  24. E. A. Holman, D. R. Garfin, and R. C. Silver, "Media's role in broadcasting acute stress following the Boston Marathon bombings," in Proceedings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of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Vol. 111, No. 1, pp. 93-98, 2014. 

  25. R. Yehuda,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The 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 Vol. 346, No. 2, pp. 108-114, 2002. 

  26. S. Mineka, and R. Zinbarg, "A contemporary learning theory perspective on the etiology of anxiety disorders: It's not what you thought it was," American Psychologist, Vol. 61, No. 1, pp. 10-26, January 2006. 

  27. J. D. Kinzie, J. K. Boehnlein, C. Riley, and L. Sparr, "The effects of Sepember 11 on traumatized refugees: Reactivation of posttramatic stress disorder," Journal of Nervous and Mental Disease, Vol. 190, No. 7, pp. 437-441, July 2002. 

  28. V. Galloro, "An emotional time: Counselors say most will recover, caution their profession," Modern Healthcare, Vol. 31, No. 39, pp. 10, 2001. 

  29. N. Park,. "A study on the blog users' newsmedia credibility: Focusing on comparing blogs with traditional newsmedia and the factors affecting blog credibility," Korean Journal of Journalism & Communication Studies, Vol. 52, No. 3, pp. 422-439, 2008. 

  30. S.-K. Kim, and E.-K. Choi, "A study on the agenda rank-order correlation between twitter and portal news about Sewol Ferry catastrophe,", Journal of Internet Computing and Services, Vol.6, No.3, pp 105-116, June 2015. 

  31. N. Park, JY. Jeong, J. Lee, "Why do twitter users participate in the process of self-purification of twittersphere?: Twitter users' socio-demographics, tweeting behaviors, and motivations for retweeting," Journal of Media Economics & Culture, Vol. 10. No. 3 pp. 89-128. August 2012. 

  32. A. J. Flanagin, and M. J. Metzger, "Perceptions of Internet information credibility," Journalism & Mass Communication Quarterly, Vol. 77, No. 3, pp. 515-540, September, 2000. 

  33. J. B. Houston, "Media coverage of terrorism: A meta-analytic assessment of media use and posttraumatic stress," Journalism & Mass Communication Quarterly, Vol. 86, no. 4, pp. 844-861, 2009. 

  34. M. Lantz, and E. Buchalter,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Stress in old age," Geratrics, Vol. 56, No. 12, pp. 35-40, 2001. 

  35. K. C. Collimore, R. E. Mccabe, R. N. Carleton, and G. J. G. Asmundson, "Media exposure and dimensions of anxiety sensitivity: Differential associations with PTSD symptom clusters," Journal of Anxiety Disorders, Vol. 22, No. 6, pp. 1021-1028. August 2008. 

  36. D. S. Busso, K. A. McLaughlin, and M. A. Sheridan, "Media exposure and sympathetic nervous system reactivity predict PTSD symptoms after the Boston marathon bombings," Depression and Anxiety, Vol. 31, No. 7, pp. 551-558, July 2014. 

  37. T. E. Galovski, et al., "Gender differences in the clinical presentation of PTSD and its concomitants in survivors of interpersonal assault," Journal of Interpersonal Violence, Vol. 26, No. 4, pp. 789-806, May 2010. 

  38. L. Hourani, J. Williams, R. Bray, and D. Kandel, "Gender differences in the expression of PTSD symptoms among active duty military personnel," Journal of Anxiety Disorders, Vol. 29, pp. 101-108, January 2015. 

  39. B. L. Green, et al, "Children of disaster in the second decade: A 17-year follow-up of Buffalo creek survivors," Journal of the American Academy of Child & Adolescent Psychiatry, Vol. 33, No. 1, pp. 71-79, February 1994. 

  40. Wikipedia. Sewol Ferry sinking [Internet]. Available: ko.wikipedia.org/wiki/Sewol_Ferry_sinking.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