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고리 주변해역에서 출현하는 줄비늘치(Coelorinchus multispinulosus)의 식성
Feeding Habits of Spearnose Grenadier, Coelorinchus multispinulosus in the Coastal Waters off Gori, Korea 원문보기

Korean journal of Ichthyology = 한국어류학회지, v.25 no.3, 2013년, pp.157 - 162  

허성회 (부경대학교 해양학과) ,  백근욱 (경상대학교 해양생명과학과) ,  추현기 (한국해양수산연구원) ,  박주면 (부경대학교 해양과학공동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2005~2006년 1월에서 12월까지 동해 남부 고리주변해역에서 출현하는 줄비늘치 (Coelorinchus multispinulosus) 361개체를 대상으로 식성을 조사하였다. 줄비늘치의 항문장은 1.5~8.5 cm의 범위를 보였다. 줄비는치는 새우류와 단각류를 주로 섭식하는 갑각류식자였다. 줄비늘치는 요각류, 곤쟁이류, 쿠마류, 갯가재류, 게류, 갯지렁이류, 어류 등도 섭식하였다. 줄비늘치는 단각류를 주로 섭식한 여름철 가장 작은 항문장군을 제외한 모든 항문장군과 계절에서 새우류를 주로 섭식하였다. 작은 크기의 개체들은 두 번째로 단각류, 요각류, 곤쟁이류를 많이 섭식하였고, 크기 증가에 따라 이들의 섭식 비율은 감소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feeding habits of spearnose grenadier (Coelorinchus multispinulosus) were studied using 361 specimens collected from January to December 2005~2006 in the coastal waters off Gori, Korea. The size of C. multispinulosus ranged from 1.5 to 8.5 cm in anal length (AL). C. multispinulosus was crustace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또한, 생태계 먹이망에서 중간 역할을 하는 줄비늘치의 식성연구는 생태계 에너지 흐름을 이해하기 위한 중요한 연구자료가 될 수 있다. 본 연구는 한국 동해 남부 고리 주변해역에서 우점하는 줄비늘치 위하여 위내용물 분석을 통하여 전반적인 섭식생태를 조사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줄비늘치란? 줄비늘치 (Coelorinchus multispinulosus)는 대구목 (Gadiformes) 민태과(Macrouidaee)에 속하는 어류로 우리나라 남해안, 일본 남부, 동중국에 서식하는 중∙저층성 어류이다(김 등, 2005). 민태과 어류는 전 세계적으로 38속 300여 종이 알려져 있으며, 우리나라에서는 줄비늘치를 포함하여 꼬리민태(C.
줄비는치가 주로 섭식하는 먹이는? 5 cm의 범위를 보였다. 줄비는치는 새우류와 단각류를 주로 섭식하는 갑각류식자였다. 줄비늘치는 요각류, 곤쟁이류, 쿠마류, 갯가재류, 게류, 갯지렁이류, 어류 등도 섭식하였다.
대구목 민태과 어류 중 우리나라에서 출현하고 있는 종은? 줄비늘치 (Coelorinchus multispinulosus)는 대구목 (Gadiformes) 민태과(Macrouidaee)에 속하는 어류로 우리나라 남해안, 일본 남부, 동중국에 서식하는 중∙저층성 어류이다(김 등, 2005). 민태과 어류는 전 세계적으로 38속 300여 종이 알려져 있으며, 우리나라에서는 줄비늘치를 포함하여 꼬리민태(C. japonicus), 무줄비늘치(C. longissimus) 등 1속 3종이 출현하고 있다(김 등, 2005). 줄비늘치는 우리나라를 비롯한 북서태평양 연안 저어류 군집에서 우점종에 속하며 저인망 어업에서 어획량이 많지만 우리나라에서는 상업적으로 이용하지 않는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김대지. 1998. 고리 주변해역 저어류 종조성의 계절 변동. 부경대학교 석사학위논문, 63pp. 

  2. 김익수.최 윤.이충렬.이용주.김병직.김지현. 2005. 한국어류대도감. 교학사, 615pp. 

  3. 백근욱.허성회.최희찬.박주면. 2011. 고리 주변해역에서 출현하는 꼬마달재 (Lepidotrigla guentheri)의 식성. 한국수산과학회지, 44: 372-377. 

  4. 조춘옥. 2001. 고리 주변해역 어류의 종조성 변화. 부경대학교 석사학위논문, 78pp. 

  5. 차병열.홍병규.조현수.손호섭.박영철.양원석.최옥인. 1997. 황아귀, Lophius litulon의 식성. 한국수산과학회지, 30: 95-104. 

  6. 추현기. 2007. 동해 남서부 고리 주변해역 어류의 종조성과 섭식생태. 부경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26pp. 

  7. 허성회. 1997. 꼼치(Liparis tanakai)의 식성. 한국어류학회지, 9: 71-78. 

  8. 허성회. 1999. 갈치 (Trichiurus lepturus)의 식성. 한국어류학회지, 11: 191-197. 

  9. 허성회.남기문.추현기.백근욱. 2008a. 부산 주변 해역에서 채집된 불볼락 (Sebastes thompsoni). 한국수산과학회지, 41, 32-38. 

  10. 허성회.박주면.백근욱. 2006. 고리 주변해역에서 출현하는 달고기(Zeus faber)의 식성. 한국수산과학회지, 39: 357-362. 

  11. 허성회.박주면.남기문.박세창.박찬일.백근욱. 2008b. 부산주변해역에서 출현하는 살살치(Scorpaena neglecta)의 식성. 한국어류학회지, 20: 117-122. 

  12. 허성회.박주면.정달상.백근욱. 2010. 고리 주변해역 통발에서 채집된 십각류 종조성의 계절변동과 연간변동. 한국수산과학회지, 43: 503-509. 

  13. 허성회?백근욱. 2000. 한국 남해 가덕도 주변에서 채집된 등가시치(Zoarces gilli)의 식성. 한국어류학회지, 12: 54-61. 

  14. Clarke, K.R. and R.N. Gorley. 2001. Getting started with PRIMER v5, user manual. tutorial. Primer-E, Plymouth. 

  15. Fadeev, N.S. 2005. Guide to biology and fisheries of fishes of the North Pacific Ocean. Vladivostok, TINRO-Center, 366pp. 

  16. Isajlovic, I., N. Vrgoc, B. Zorica, M. Peharda, S.K. Sifner and C. Piccinetti. 2009. Age, growth and length-weight relationships of Coelorinchus caelorhincus (Risso, 1810) in the Adriatic Sea. Acta. Adriat., 50: 23-30. 

  17. Langton, R.W. 1982. Diet overlap between Atlantic cod, Gadus morhua, silver hake Merluccius bilinearis and fifteen other northwest Atlantic finfish. Fish. Bull., 80: 745-759. 

  18. Last, J.M. 1989. The food of herring, Clupea harengas, in the North Sea, 1983-1986. J. Fish. Biol., 34: 489-501. 

  19. Napazakov, V.V. and V.I. Chuchukalo. 2011. Feeding of Albatrossia pectoralis (Macrouridae) on the continental slope of eastern Kamchatka and the Kurils. J. Ichthyol., 31: 379-388. 

  20. Ohtomi, J. and R. Sakata. 2006. Reproductive biology of the grenadier Coelorinchus jordani (Gadiformes, Macrouridae) in Kagoshima Bay, southern Japan. Nippon Suisan Gakkaishi, 72: 210-216. 

  21. Pinkas, L., M.S. Oliphant and I.L.K. Iverson. 1971. Food habits of albacore, bluefin tuna and bonito in California waters. Fishery Bulletin, 152: 1-105. 

  22. Stevens, D.W. 2012. Notes on the diet of seven grenadier fishes (Macrouridae) from the lower continental slope of Chatham Rise, New Zealand. J. Ichthyol., 52: 782-786.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