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남해안 연초천에 서식하는 기수갈고둥의 생태적 특성 연구
Ecological Characteristic of Clithon retropictus inhabitating in Yeoncho River in Southern Coastal Area 원문보기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v.32 no.6, 2018년, pp.591 - 602  

이수동 (경남과학기술대학교 조경학과) ,  김미정 (국립생태원 생태연구본부 생태보전연구실) ,  김지석 (서울특별시 중부공원녹지사업소 공원여가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기수갈고둥(Clithon retropictus)은 염분농도, 물흐름, 지반조건 등 환경의 질을 판단할 수 있는 생물학적 지표종으로서의 가치가 높아 멸종위기야생생물 2급으로 지정되었으나 생리생태적인 특성에 대한 기초 연구는 여전히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연초천 기수역을 대상으로 염분농도, 하상 토양입도 등의 환경조건이 개체크기, 밀도 등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기수역에서 생물의 분포에 영향을 미치는 핵심 변수인 염분농도를 조사한 결과 민물에서부터 기수에 해당하는 0~25‰ 범위를 나타내었다. 하상 입도는 연초보와 가까울수록 거친 자갈이 많아진 반면, 하류로 갈수록 모래보다 작은 입자의 비율이 증가했다. 개체수와 개체크기는 연초보를 중심으로 물이 정체되는 담수인 상류와 해수가 만나는 하류에서 급격히 감소한 것으로 미루어 염분농도에 대한 내성은 넓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하지만 양극단으로 갈수록 개체수와 개체크기가 줄어드는 것으로 나타나 적응성은 약해지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개체수 및 개체크기와 환경요인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염분농도와 하상입도 모두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염분농도와는 높을수록, 하상입도와는 모래보다 작은 입자가 많을수록 개체수는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개체크기와의 관계에서도 염분농도가 높은 하류로 갈수록 크기는 줄어들었다. 하상입도는 입자크기 19mm 이상인 자갈이 많아질수록 개체가 커지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Clithon retropictus has been designated as an endangered wildlife Class II due to its high value as a biological indicator species capable of judging environmental quality such as salinity, water flow, and ground conditions. However, basic research on its physiological and ecological characteristic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멸종위기 야생생물인 기수갈고둥의 서식처 보호 및 보전대책을 수립할 수 있는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염분농도,토양입도 등의 물리적 환경 요인을 조사․분석하였다. 이러한 환경요인이 서식처 미치는 영향을 종합적으로 판단하고자 기반 환경과 개체수, 개체크기 등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는데 R 3.
  • 하지만 새롭게 발견된 남해안 및 동해안 개체군에 대해서는 기초자료가 부족한 상태로, 관리 및 보전 계획을 수립하기 위해서는 정밀한 조사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이에 본 연구는 남해안 고현만에 위치한 연초천 기수역을 대상으로 염분농도, 토양입도 등의 환경조건이 기수갈고둥(Clithon retropictus)의 개체크기, 밀도 등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진행하였다.
  • 이에 서식처의 생태적 특성을 파악하고자 담수와 기수가 구분되는 연초보로부터 개체가 서식하는 하류까지인 면적 58,977.6m²를 대상으로 100~200m 간격의 조사지점을 설정한 후 서식환경 및 개체군 특성을 파악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기수역에서 찾을 수 있는 일반적인 특징은 무엇인가? 기수역(汽水域, brackish water zone)은 강물이 바닷물과 서로 섞이는 곳으로 염분농도의 변화가 심하기 때문에 다양 한 생물들이 서식하고 있으며 하구역(河口域, estuary)이라 고도 한다(Tiner, 2017). 담수의 양은 집수역의 강수량에 따라 불규칙하게 변하고 바닷물은 규칙적인 상하운동을 하기 때문에 염분농도는 0.5∼30‰로 광범위하며 계절이나 강수량 등에 따라 변동이 심하기 때문에 광범위한 염분농도에 적응할 수 있는 생물들이 분포하는게 일반적이다. 분류 군은 순수 해양생물이나 담수생물군에 비해 수가 적으나 해양생물에 속하는 종류가 대부분이며 담수생물은 극히 일 부분에 지나지 않는다고 하였다(Batzer and Sharitz, 2006).
기수역은 무엇인가? 기수역(汽水域, brackish water zone)은 강물이 바닷물과 서로 섞이는 곳으로 염분농도의 변화가 심하기 때문에 다양 한 생물들이 서식하고 있으며 하구역(河口域, estuary)이라 고도 한다(Tiner, 2017). 담수의 양은 집수역의 강수량에 따라 불규칙하게 변하고 바닷물은 규칙적인 상하운동을 하기 때문에 염분농도는 0.
하천과 관련된 연구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하지만, 생태적 측면에서하천은 육수생태계인 수면에서 육상생태계로 이행되는 추이대(ecotone)를 포함하고 있어 다양한 생물이 서식할 수있는 기반을 제공하고 있으나 하천을 정비함에 있어 야생생물 서식처 기능을 고려하여 정비사업을 시행한 것은 최근이다. 하천과 관련된 연구는 여러 분야에 걸쳐 이루어졌는데,물리적 특성에 관해서는 미세지형을 이용한 자연도 평가연구(Ahn et al., 1997; Chun et al., 1999), 도시하천 미세지형 연구(Chung and Kim, 1999), 기후 변화에 따른 하천관리 및 복원 방양을 제시한 사례(KIPE, 2012), 하천내 수목식재 가능성에 대한 연구(Woo and Chung, 1998) 등이있다. 하지만 구조적인 측면에서의 연구에 비해 서식하는생물과 수심, 하상입도 등 물리적 환경과의 관계에 대한 연구는 한정적이며 특히, 기수역에 서식하는 저서생물에 대한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4)

  1. Ahn, H.K. , A. Takaaki and I. Kouichi(1997) A study on the analysis of the Riparian vegetation naturality and viewscape in upstream . J. KILA25(3): 222-233.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 Alexander, S.F. and J.D. Allan(1984). The Importance of Predation, Substrate and Spatial Refugia in Determining Lotic Insect Distributions . Oecologia64(3): 306-313. 

  3. 10.1007/BF00015000 Arunachalam, M. , K.C. Madhusoodanan Nair, J. Vijverberg, K. Kortmulder and H. Suriyanarayanan(1991) Substrate Selection and Seasonal Variation in Densities of Invertebrates in Stream Pools of a Tropical River . Hydrobiologia213: 141-148. 

  4. 10.1525/california/9780520247772.001.0001 Batzer, D.P. and R.R. Sharitz(2006) Ecology of freshwater and estuarine wetlands.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California. 

  5. 10.1111/j.1752-1688.1986.tb01891.x Beschta, R.L. and W.S. Platts(1986) Morphological Features of Small Streams: Significance and Function . Journal of the American Water Resources Association22(3): 369-379. 

  6. 10.1086/284267 Brown, J.H. (1984)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bundance and distribution of species . The American Naturalist124: 255-279. 

  7. 10.1007/s00227-006-0582-z Calosi, P. , D. Morritt, G. Chelazzi and A. Ugolini(2007) Physiological capacity and environmental tolerance in two sandhopper species with contrasting geographical ranges: Talitrus saltator and Talorchestia ugolinii . Marine Biology151: 1647-1655. 

  8. Calosi, P. , D.T. Bilton, J.I. Spicer and A. Atfield(2008) Thermal tolerance and geographical range size in the Agabus brunneus group of European diving beetles (Coleoptera: Dytiscidae) . Journal of Biogeography35: 295-305. 

  9. 10.1186/s40693-017-0069-y Chi, S. , S. Li, S. Chen, M. Chen, J. Zheng and J. Hu(2017) Temporal variations in macroinvertebrate communities from the tributaries in theThree Gorges Reservoir Catchment, China . Revista Chilena de Historia Natural90: 6. https://doi.org/10.1186/s40693-017-0069-y 

  10. Cho, M.G. and B.N. Wang(2008) Research morphology and ecology of Clithon retropictus (Endangered wild life II) within the Bonggang river. Conference of science. (in Korean) 

  11. Chun, S.H. , J.Y. Hyun, and J.K. Choi(1999) A study on the distribution patterns of Salix gracilistyla and Phragmites japonica communities according to micro-landforms and substrates of the stream corridor . J. KILA27(2): 58-68.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2. Chung, K.J. and D.Y. Kim(1999) Effects of microtopography on the development of riparian vegetation in stream corridors . J. KILA27(4): 39-49.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3. 10.1007/s11783-008-0023-y Duan, X. , Z. Wang and S. Tian(2008) Effect of Streambed Substrate on Macroinvertebrate Biodiversity . Frontiers of Environmental Science & Engineering in China2(1): 122-128. 

  14. 10.5657/kfas.2002.35.2.166 Ha, J.H. , D.J. Song, P.H. Kim, M.S. Heu, M.L. Cho, H.D. Sim, H.S. Kim and I.S. Kim(2002) Changes in food components of top shell, Omphalius pfeifferi capenteri by thermal processing at high temperature . J. Korean Fish. Soc.35(2): 166-172.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5. Han, S.J. and I.S. Lee(2001) Accumulation and elimination of Cadmium and Zinc in Littorina brevicula.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24(1): 35-43. 

  16. Hong, J.S. , I.N. Seo, C.G. Lee, S.P. Yoon and R.H. Jung(2000) An Ecological feature of bentic macrofauna during summer 1997 in Namdaechon esturay, Yangyang, Korea . J. Korean Fish. Soc.33(3): 230-237.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7. Hong, J.S. , I.S. Seo, K.T. Yoon, I.S. Hwang and C.S. Kim(2004) Notes on the benthic macrofauna during September 1997 Namdaecheon estuary, Gangneung, Korea . Korean J. Environ. Biol.22(2): 341-350.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8. Kang, T.H. , S.H. Yoo, J.P. Yu, H.S. Lee and I.K. Kim(2011) A study on the community of wintering waterbirds in Saemangeum . Kor. J. Env. Eco.25(1): 81-90.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9. Kil, H.K. , D.G. Kim, S.W. Jung, I.K. Shin, K.H. Cho, H.S. Woo and Y.J. Bae(2007) Changes of bentic macroinvertebrate communities after a small Dam removal from the Gyeongsan stream in Gyeonggi-do, Korea . Korean J. Environ. Biol.25(4): 385-393.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0. 10.14249/eia.2015.24.3.287 Kim, B.S. , U.S. Yeo, D.H. Oh and K.J. Sung(2015) Effects of Landscape EcologicalCharacteristics on BirdAppearance -Focused on The Nakdong River Estuary- . J. Environ. Impact Assess.24(3): 287-299.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1. 10.13047/KJEE.2016.30.6.996 Kim, B.Y. , J.C. Ko and H.G. Choi(2016) Rock type difference and Benthic Community Structures in the coast of Jeju, Korea . Korean J. Environ. Ecol.30(6): 996-1008.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2. Kim, C.H. , D.S. Cho, K.B. Lee and S.Y. Choi(2006a) Population formation strategies of Halophytes in Mankyeong river estuary . Kor. J. Env. Eco.20(3): 299-310.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3. Kim, C.H. , K.B. Lee, D.S. Cho and H. Myoung(2006b) The study on the flora and vegetation of salt marshes of Mankyeong river estuary in Jeonbuk . Kor. J. Env. Eco.20(3): 289-298.(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4. Kim, C.S. (1991) Study on the zoobenthos and inhabited environment in estuary of Man Kyong river . Korean Journal of Limnology24(1): 17-26.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5. Kim, S.H. , I.K. Yoon, S.J. Song and Y.E. Kim(1996) Environmental factors and benthic microbial distributions in the sediments of Naktong river estuary . Korean Journal of Limnology29(3): 205-214.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6. KIPE(2012) River management and ecological restoration in response to climate change. Seoul. (in Korean) 

  27. 10.1007/s002679900048 Kondolf, G.M. (1997) Hungry Water: Effects of Dams and Gravel Mining on River Channels . Environmental Management21(4): 533-551. 

  28. 10.15681/KSWE.2016.32.1.1 Kong, D.S. and J.Y. Kim(2016) Development of Benthic Macroinvertebrates Streambed Index (BMSI) for Bioassessment of Stream Physical Habitat . Journal of Korean Society on Water Environment32(1): 1-14.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9. Lee, C.L. (1990) The Structure and function of estuarine ecosystem of Manggyong River-on the dynamics of the fish communities- . Korean J. Ecol.13(4): 267-283.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30. Lee, J.H. (2000) Sexual maturation of the truban shell, Lunella coronata coreensis(Gastropoda: Turbinidae), on the west coast of Korea . J. Korean Fish. Soc.33(6): 533-540.(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31. 10.5338/KJEA.2003.22.2.100 Lee, K.B. , C.H. Kim, D.B. Lee, J.G. Kim, C.W. Park and S.Y. Na(2003) Species diversity of riparian vegetation by soil chemical properties and water quality in the upper stream of Mankyeong river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Agriculture22(2): 100-110.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32. Lee, K.S. , U.K. Baek and J.C. Yoo(2002) Important wintering & migrating route for waterbirds on the intertidal mudflat of Mankyung river estuary . Bull. Kor. Inst. Orni.8(1): 1-7.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33. Lee, Y.K. and K.H. Ahn(2012) Actual Vegetation and Vegetation Structure at the Coastal Sand Barsin the Nakdong Estuary, South Korea . Kor. J. Env. Eco.26(6) : 911-922.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34. 10.11626/KJEB.2016.34.4.329 Lim, J.G. and H.S. Lim(2016) Subtidal Macrobenthic Community in Shia Sea, Southwest Coast of Korea . Korean J. Environ. Biol.34(4) : 329-345.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35. 10.1590/S1516-89132012000300011 Mesa, L.M. (2012) Interannual and seasonal variability of macroinvertebrates in monsoonal climate streams . Brazilian Archives of Biology and Technology55: 403-410. 

  36. Moon, B.R. , S.L. Jeon, M.S. Hyun, J.S. Hwang and J.K. Choi(2011) A study on fish fauna and fish habitat-Downstream of Singok submergered weir in Han river estuary- . J. Environ. Impact Assess.20(5): 757-764.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37. Mun, H.T. and J.H. Kim(1985a) Studies on plant succession of sand bars at the Nakdong river estuary-I. Vegetation and Soil Enviornment . Korean J. Bot.28(1): 79-93.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38. Mun, H.T. and J.H. Kim(1985b) Studies on plant succession of sand bars at the Nakdong river estuary-I. Vegetation development and interspecific associations . Korean J. Bot.28(1): 79-93.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39. PaikS.G. , S. Yun, K.H. Kim and S.G. Yun(2005) Macrobenthic community on Anglo tidal flat in JinHae . Kor. J. Environ. Biol.23: 106-113.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40. Park, J.S. and J.A. Lee(2008) Research habitat and ecology of Clithon retropictus (Endangered wild life II) within the Changpo bay. National Science Contest. (in Korean) 

  41. 10.2737/INT-GTR-138 Platts, W.S. , W.F. Megahan and G.W. Minshall(1983) Methods for Evaluating Stream Riparian and Biotic Conditions, Gen. Tech, Rep. INT-138, Forest Service, U. S. Dept. Agriculture, Ogden, Utah, 177pp. 

  42. 10.1201/9781315374710 Tiner, R.W. (2017) Wetland indicators-A guide to wetland formation, identification, delineation, classification, andmapping. CRC Press, NW. 

  43. Woo, W.J. and D.Y. Chung(1998) Analysis of Kap-Chon’s water level by the waterside planting . J. Korean Env. Res. & Reveg. Tech.1(1): 3-17.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44. Yoon, H.S. (1991) A study on vascular hydrophytes of intertidal area in Nakdong estuary-Productivity of intertidal vascular before and after the construction of Nakdong barrage- . Korean J. Ecol.14(1): 63-73.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