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약용식물 5종의 용매별 추출물 및 조성물의 생리활성
Physiological Activity of Five Kinds of Medicinal Plant Extracts with Various Solvents and Their Composites 원문보기

생명과학회지 = Journal of life science, v.28 no.3 = no.215, 2018년, pp.320 - 330  

신지현 ((재)남해마늘연구소) ,  강재란 ((재)남해마늘연구소) ,  강민정 ((재)남해마늘연구소) ,  신정혜 ((재)남해마늘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5종의 약용식물(황금, 작약, 단삼, 상황버섯, 뽕잎)를 물, 50% 및 100% 주정으로 추출하여 항산화 활성, ACE 저해활성 및 콜레스테롤 흡착활성을 비교하였다. 그 중 상대적으로 활성이 우수한 작약, 상황버섯, 단삼을 0.2~2.0의 비율로 혼합한 조성물 7종의 활성을 검증함으로써 약용식물 조성물을 활용한 음료 개발시 기초 자료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약용식물 5종의 총 페놀화합물 함량은 물 추출물 중에서는 단삼 추출물이 80.27 mg/g으로 가장 높은 함량이었으며, 50% 및 100% 주정 추출물에서는 상황버섯이 각각 280.05 및 306.88 mg/g으로 가장 높았다. 플라보노이드 화합물도 단삼 추출물이 35.83 mg/g으로 물 추출물 중 가장 높았으며, 50% 및 100% 주정 추출물은 황금 추출물이 각각 62.71 및 64.59 mg/g으로 가장 높게 정량되었다. ACE 저해활성은 물 추출물에서만 활성이 있었는데, 황금 추출물에서 45.33%로 가장 활성이 높았다. 콜레스테롤 흡착능은 작약 물 추출물과 황금 100% 주정 추출물이 타 시료에 비해 유의적으로 활성이 높았다. DPPH와 ABTS 라디칼 소거활성FRAP 활성을 통해 항산화 활성을 측정한 결과 물 추출물 중에서는 단삼 추출물의 활성이 가장 높았고, 50% 및 100% 주정 추출물의 경우 DPPH 라디칼 소거활성 및 FRAP는 상황버섯 추출물의 활성이 가장 높았고, ABTS 라디칼 소거활성은 작약 추출물에서 활성이 가장 높았다. 상황버섯, 작약 및 단삼 물 추출물의 혼합 비율을 달리하여 제조한 조성물 7종의 총 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화합물 함량은 각각 50.53~61.96 mg/g 및 16.91~33.84 mg/g의 범위였는데 단삼의 비율이 높은 시료에서 더 함량이 높았고, 콜레스테롤 흡착능은 46.27~70.03%로 작약 첨가 비율이 높은 시료에서 활성이 더 높았다. 항산화 활성도 단삼의 혼합 비율이 높을수록 더 높았는데, 항산화 활성과 콜레스테롤 흡착활성은 동일한 경향을 보이지 않아 조성물 제조시는 목표로 하는 활성에 따라서 조성물의 비율을 달리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antioxidative activity of solvent (water, 50% ethanol, and 100% ethanol) extracts from five kinds of medicinal herbs Cutellaria baicalensis Georgi; SB, Paeonia lactiflora Pall.; PA, Salvia miltiorrhiza Bunge; SM, Phellinus linteus; PH, Morus alba L.; MA).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혈중 지질 농도를 개선할 수 있는 음료 개발을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문헌조사를 통해 고지혈증 및 심혈 관계 질환의 개선과 관련해 활성이 있는 황금, 작약, 단삼, 상황버섯 및 뽕잎을 선별하였다. 5종의 선별된 소재 중 황금은 꿀풀과(Labiatae) 속썩은풀(Scutellaria baicalensis Georgi)의 뿌리로서 주피를 제거 하거나 뿌리 그 자체를 한약으로 사용하고 있으며[15], 한방에서 여러가지 한약 복합처방으로 토혈, 비혈, 신경통, 고혈압, 피부질환, 열성질환, 정신불안 등의 치료에 폭넓게 사용되고 있다[7].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작약이란? 작약(Paeonia lactiflora Pall.)은 함박꽃이라고도 하며 미나리아재비과(Ranunculaceae) 또는 작약과(Paeoniaeae)에 속하는 다년생 숙근초본으로 중국, 한국, 일본, 미국, 남아메리카, 유럽 등지에 분포하며, 주로 진통, 진경, 진해, 부인병, 고혈압 및 염증 치료제로 널리 이용해 왔다[36]. 단삼(Salvia miltiorrhiza Bunge)은 꿀풀과(Laviatae)에속하는 다년생 식물로 한방에서는 생리불순, 생리통, 어혈성의 심복부동통, 피부발진 등의 약재로 사용되고 있다[40].
Park 등이 물 및 에탄올 추출물에서 8종의 한약재의 항산화능 비교한 실험 결과는? Park 등[35]은 8종의 한약재 물 및 에탄올 추출물의 항산화 능을 비교해 본 결과 감초, 대추, 작약에 있어서는 물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가 높으며, 황기, 국화, 구기자, 당귀, 천궁에 있어 서는 에탄올 추출물의 효과가 더 높아 한약재 종류와 추출용매에 따라서 항산화 효과가 다르게 나타난다고 보고한 바 있는데, 이는 본 연구의 결과와도 동일한 경향이었다.
심혈관계질환이 발생하는 데 영향을 끼치는 위험인자는? 최근 우리나라에서는 식생활의 서구화 및 외식문화의 발달로 인해 고단백, 고지방 등 동물성 식품의 섭취가 증가되고 있는 추세이며, 이에 따른 고지혈증, 동맥경화증, 뇌혈관질환 등과 같은 심혈관계질환이 증가되고 있는 실정이다[28]. 이러한 심혈관계질환은 고콜레스테롤혈증, 흡연 및 고혈압 등이 중요한 위험인자로 알려져 있다[27]. 콜레스테롤, 중성지방, 인지질, 유리지방산 등은 혈액 중 지용성 물질로서 인체 에너지의 주요 공급원이며, 주요 구성 성분으로 작용하지만 순환기계 질환의 주요 위험요인일 뿐 아니라 대식세포에서 생성된 자유 라디칼, 내피세포의 lipoxygenase 및 과산화지질에 의하여 쉽게 반응을 일으켜 체내 과산화지질을 축적함으로써 생체 기능이 저하되어 순환기계질환 및 노화를 초래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26, 4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1)

  1. Ahn, I. S., Park, K. Y. and Do, M. S. 2007. Weight control mechanisms and antiobesity fundional agents. J. Kor. Soc. Food Sci. Nutr. 36, 503-513. 

  2. Bae, H. K., Hwang, I. W., Hong, H. D. and Shin, K. C. 2015. Antioxidant capacities and ${\beta}$ -glucan content of ethanol extract from Phellinus baumii. Kor. J. Food Preserv. 22, 721-726. 

  3. Benzie, I. F. F. and Strain, J. J. 1996. The ferric reducing ability of plasma (FRAP) as a measure of "antioxidant power". The FRAP assay. Anal. Biochem. 239, 70-76. 

  4. Blois, M. S. 1958. Antioxidant determination by the use of a stable free radical. Nature 181, 1199-1200. 

  5. Choi, K. S., Kim, Y. H. and Shin, K. O. 2016. Effect of mulberry extract on the lipid profile and liver function in mice fed a high fat diet. Kor. J. Food Nutr. 29, 411-419. 

  6. Choi, M. H., Kang, J. R., Sim, H. J., Kang, M. J., Seo, W. T., Bea, W. Y. and Shin, J. H. 2015.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Sumaeyaksuk depending on harvest times and processing methods. Kor. J. Food Preserv. 22, 399-407. 

  7. Choi, M. R., Lee, J. S. and Lim, H. S. 2007. Change in physiological activities of Scutellariae baicalensis by heating. J. Life Sci. 17, 1381-1386. 

  8. Choi, I. S., Cha, E. J., Lee, Y. R. and Kim, J. K. 2012. Antioxidant and anticancer activities of yak-sun tea prepared by oriental medicinal herbs. Kor. J. Food Nutr. 25, 447-453. 

  9. Cushman, D. W. and Cheung, I. S. 1917. Spectrophotometric assay and properties of the angiotensing-converting enzyme of rabbit lung. Biochem. Pharmacol. 20, 1637-1648. 

  10. Do, J. R., Kim, K. J., Jo, J. H., Kim, Y. M., Kim, B. S., Kim, H. K., Lim, S. D. and Lee, S. W. 2005. Antimicrobial, antihypertensive and anticancer activities of medicinal herbs. Kor. J. Food Sci. Technol. 37, 206-213. 

  11. Gutfinger, T. 1958. Polyphenols in oilve oils. JAOCS. 58, 966-968. 

  12. Heo, H. J., Kim, Y. J., Chung, D. and Kim, D. O. 2007. Antioxidant capacities of individual and combined phenolics in a model system. Food Chem. 104, 87-92. 

  13. Jo, E. K., Gal, S. W. and Choi, Y. J. 2010. Antioxidative activity and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inhibitory activity of fermented medical plants (DeulBit) and its modulatory effects of nitric oxide production. J. Appl. Biol. Chem. 53, 91-98. 

  14. Ju, J. C., Shin, J. H., Lee, S. J., Cho, H. S. and Sung, N. J. 2006. Antioxidative activity of hot water extracts from medicinal plants. J. Kor. Soc. Food Sci. Nutr. 35, 7-14. 

  15. Joo, S. Y. 2013. Antioxidant activities of medicinal plant extracts. J. Kor. Soc Food Sci. Nutr. 42, 512-519. 

  16. Jung, M. H., Lee, S. S., Park, S. H. and Hwang, H. J. 2013. The antioxidative effect of ethanol extracts from Lithospermum erythrorhizon Siebold & Zucc., Xanthium strumarium Linn, and Lonicera japonica. J. Life Sci. 23, 643-649. 

  17. Kang, J. R., Kang, M. J., Choi, M. H., Byun, H. U. and Shin, J. H. 2017.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ethanol extract form Artemisia Argyi H. Using different preparation methods. J. Life Sci. 27, 23-31. 

  18. Kang, M. J., Hwang, C. R., Lee, S. J. and Shin, J. H. 2015.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activity of medicinal herbs composites. J. Agric. Life Sci. 49, 279-292. 

  19. Kang, Y. M., Kim, S. H., Lee, Y. C., Kim, H. K. and Kim, D. S. 2014. Synergistic combination effect of anti-obesity in the extracts of Phyllostachys pubescence Mael and Scutellaria baicalensis Georgi. Kor. J. Herbology 29, 7-13. 

  20. Kim, E. J., Choi, J. Y., Yu, M. R., Kim, M. Y., Lee, S. H. and Lee, B. H. 2012. Total polyphenols, total flavonoid content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Korean natural and medicinal plants. Kor. J. Food Sci. Technol. 44, 337-342. 

  21. Kim, S. J., Park, J. H., Choi, S. Y. and Kim, K. Y. 2006. Change of phenolic compounds affected by different drying method in leaves and stems of peony (Paeonia lactiflora Pall.). Kor. J. Crop Sci. 51, 251-254. 

  22. Kim, M. H., Kim, M. C., Park, J. S., Kim, J. W. and Lee, J. O. 2001. The antioxidative effects of the water-soluble extracts of plants used as tea materials. Kor. J. Food Sci. Technol. 33, 12-18. 

  23. Ko, J. B. 2006. Effects of Cheonggukjang added Phellinus linteus on lipid metabolism in hyperlipidemic rats. J. Kor. Soc. Food Sci. Nutr. 35, 410-415. 

  24. Kwon, E. K., Kim, Y. E., Lee, C. H. and Kim, H. Y. 2006. Screening of nine herbs with biological activities on ACE inhibiton, HMG-CoA reductase inhibition, and fibrinolysis. Kor. J. Food Sci. Technol. 38, 691-698. 

  25. Kwon, Y. S., Lee, H. G., Shin, H. K. and Yang, C. B. 2000. Purification and identification of angiotensin I converting enzyme inhibitory peptide from small red bean protein hydrolyzate. Food Sci. Biotechol. 9, 292-296. 

  26. Lee, G. M. and Lee, K. S. 2004. Effects of CPs (combined preparations) of Radix Salvia Miltiorrhiza, Radix Notoginseng, and Borneolum on hyperlipidemia. J. Kor. Oriental Med. 25, 22-32. 

  27. Lee, J. M., Choi, S. W., Cho, S. H. and Rhee, S. J. 2003. Effect of seeds extract of Paeonia Lactiflara on antioxidative system and lipid peroxidation of liver in rats fed high-cholesterol diet. Kor. J. Nutr. 36, 793-800. 

  28. Lee, M. J., Oh, J. S., Park, J. W., Kim, J, K., Choi, D. Y. and Kim, C. H. 2000. Antioxidant activity of extract from Scutellaria baicalensis Georgi. J. Life Sci. 10, 236-240. 

  29. Lee, S. E., Lee, J. H., Kim, J. K., Kim, G. S., Kim, Y. O., Soe, J. S., Choi, J. H., Lee, E. S., Noh, H. J. and Kim, S. Y. 2011. Anti-inflammatory activity of medicinal plant extracts. Kor. J. Med. Crop Sci. 19, 217-226. 

  30. Lee, S. E., Seong, N. S., Bang, J. K., Park, C. G., Sung, J. S. and Song, J. 2003. Antioxidative activities of Korean medicinal plants. Kor. J. Medicinal Crop Sci. 11, 127-134. 

  31. Lee, S. G., Jeong, H. J., Lee, E. J., Kim, J. B. and Choi, S. W. 2011.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activities of ethanol extracts from medicinal herb mixtures. Kor. J. Food Sci. Technol. 43, 200-205. 

  32. Lee, S. J., Shin, J. H., Lee, H. J., Tak, H. M., Kang, M. J. and Sung, N. J. 2013.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activities of functional plant Materials. J. Life Sci. 23, 869-878. 

  33. Moreno, M. I. N., Isla, M. I., Sampietro, A. R. and Vattuone, M. A. 2000. Comparison of the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propolis from several region of Argentina. J. Ethnopharmacol. 71, 109-114. 

  34. Park, J. G., Lee, J. M. and Jun, W. J. 2013. Radical scavenging and anti-obesity effects of various extracts from turmeric (Curcuma longa L.). J. Kor. Soc. Food Sci. Nutr. 42, 1908-1914. 

  35. Park, Y. S. 2002. Antioxidative activities and contents of polyphenolic compound of medicinal herb extracts.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12, 23-31. 

  36. Seo, S. H., Lee, H. R., Rhee, S. J., Choi, S. W. and Cho, S. H. 2003. Effects of peonia seed extracts and resveratrol on lipid metabolism in rats fed high cholesterol diets. J. Kor. Soc. Food Sci. Nutr. 32, 1102-1107. 

  37. Soh, H. S., Kim, C. S. and Lee, S. P. 2003. A new in vitro assay of cholesterol adsorption by food and microbial polysaccharides. J. Med. Food 6, 225-230. 

  38. Song, W. Y. and Choi, J. H. 2017. Total phenols, flavonoid content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Spirodela polyrhiza extracts. J. Life Sci. 27, 180-186. 

  39. Song, W. Y., Kim, Y. N., Chun, S. S., Ku, K. H. and Choi, J. H. 2011. Effects of ethanol extracts from red pepper (Capsicum annuum L.) seeds on cholesterol adsorption capacity and UDP-glucuronyl transferase activity. J. Life Sci. 21, 829-837. 

  40. Yang, S. A., Im, N. K. and Lee, I. S. 2007. Effects of methanolic extract from Salvia miltiorrhiza Bunge on in vitro antithrombotic and antioxidative activities. Kor. J. Food Sci. Technol. 39, 83-87. 

  41. Yoon, H. J. and Park, Y. S. 2010. Effects of Scutellaria baicalensis water extract on lipid metabolism and antioxidant defense system in rats fed high fat diet. J. Kor. Soc. Food Sci. Nutr. 39, 219-22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