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동해 후포 연안 어류상의 수심별 차이
Depth-dependent Variability of Fish Fauna in the Coastal Waters off Hupo, East Sea 원문보기

Korean journal of Ichthyology = 한국어류학회지, v.30 no.1, 2018년, pp.36 - 45  

이충일 (강릉원주대학교 해양자원육성학과) ,  정해근 (강릉원주대학교 해양자원육성학과) ,  권순만 (강릉원주대학교 해양자원육성학과) ,  한문희 (강릉원주대학교 해양자원육성학과) ,  설강수 (강릉원주대학교 해양자원육성학과) ,  박주면 (강릉원주대학교 해양자원육성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동해 중부 후포 연안에 서식하는 어류 군집의 계절 및 수심에 따른 차이를 분석하였다. 연구에 사용된 어류 시료는 2011년과 2017년 사이에 계절별로 저층자망과 삼중자망을 이용하여 채집하였다. 총 17과에 속하는 46종의 어류가 채집되었고, 정점 A (수심 약 80 m)에서 36종, 정점 B (수심 약 140 m)에서는 22종이 채집되었다. 현존량에서 우점종은 기름가자미(Glyptocephalus stelleri), 용가자미(Cleisthenes pinetorum), 대구횟대 (Gymnocanthus herzensteini), 고무꺽정이(Dasycottus setiger) 였는데, 전자의 3종은 얕은 수심(정점 A)에서 더 많이 채집되었고, 후자 1종은 깊은 수심(정점 B)에서 현존량이 더 높았다. 조사해역 어류 군집의 종수, 현존량, 생체량, 종다양도는 수심에 따라 변하였지만, 시간(계절 또는 연도)에 따라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ANOSIM (Analysis of similarity) 결과 또한 어류 군집 구조는 수심에 따라 차이가 유의하였지만, 연도 또는 계절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보여주었다. nMDS (Non-metric multidimensional scaling) 결과는 이러한 군집 구조가 시각적으로 뚜렷이 구분되었고, 이러한 구분은 수심과 수온 차이에 따른 우점종의 공간분포 차이 때문으로 설명할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temporal and depth-related variations in the species composition and abundance of demersal fish assemblage were studied in the coastal waters off Hupo, East Sea. Fish samples were collected seasonally between 2011 and 2017 at two stations of study area using trammel net and bottom gill net. In 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동해 후포 연안에서 삼중자망과 저층자망에서 채집된 어류 군집 종조성의 수심별 차이에 대한 중요한 결과를 보여줬다. 본 연구 결과 후포 연안 수심 80 m와 140 m 어류 군집은 연도 또는 계절보다 수심에 더 큰 영향을 받았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어류의 시공간 분포 특성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한 이유는? 어류의 시공간 분포 특성을 이해하는 것은 각 어류의 서식지 적응행동에 관한 생태학적 기초를 설명하고 성공적인 수산자원관리를 위해 중요하다 (Hilborn and Walters, 1992). 연안 해역에서 수심에 따른 어류 군집의 공간 분포는 주로 대륙붕 (shelf)과 대륙사면 (slope) 경계에서 변화가 발생한다 (e.
동해의 지리적 특징은? 연구해역은 경상북도 동해 중부 연안에 위치한 해역으로 서쪽으로 육지가 접해 있고 동쪽으로 외양과 연결되어 있으며 강의 유입이 적은 전형적인 동해 연안의 지형적 특징을 가지고 있다. 동해는 반폐쇄형 연안해(marginal sea)로, 동해 연안의 생태계는 북쪽에서 연안을 따라 남하하는 북한한류와 남쪽에서 북상하는 고온, 고염의 대마난류의 영향을 받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Naganuma, 2000; Lee et al., 2009).
어류 군집의 공간 분포는 대륙사면 경계 외에 무엇에 따라 군집 구조차이가 발생하는가? , 2000). 그 외 서식지의 저질 특성(e.g. Gaertner et al., 1999), 수온, 염분, 해류 등과 같은 수괴의 물리적 특성(e.g. Mahon and Smith, 1989), 주요 어류의 먹이가 되는 저서생물의 분포(e.g. Colloca et al., 2003), 그리고 위도(e.g. Choi et al., 2012)에 따라 군집 구조에서 차이가 발생한다. 반면, 어류 군집의 시간적 변동은 계절적 수온의 변화와 회유종의 출현에 따라 변화가 관찰된다(Baeck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5)

  1. Abad, E., I. Preciado, A. Serrano and J. Baro. 2007. Demersal and epibenthic assemblages of trawlable grounds in the northern Alboran Sea (western Mediterranean). Sci. Mar., 71: 513-524. 

  2. Anderson, M.J., R.N. Gorley and K.R. Clarke. 2008. PERMANOVA+ for PRIMER: Guide to software and statistical methods. PRIMER-E, Plymouth Marine Laboratory, Plymouth, UK. 

  3. Baeck, G.W., S.H. Huh, S.C. Park, J.H. Kim and J.M. Park. 2010. Seasonal variation in species composition and abundance of fish assemblages collected by a three-side fyke net in the coastal waters off Gori. Korean J. Ichthyol., 22: 186-194. 

  4. Choi, K.H., M.H. Han, C.K. Kang, J.M. Park, J.H. Choi, J.H. Park, M.H. Shon, G.W. Baeck, E.J. Choi and C.I. Lee. 2012. Seasonal variations in species composition of fish assemblage collected by trammel net in coastal waters of the East Sea. J. Korean Soc. Fish. Technol., 48: 415-427. 

  5. Clarke, K.R., P.J. Somerfield and M.G. Chapman. 2006. On resemblance measures for ecological studies, including taxonomic dissimilarities and a zero-adjusted Bray-Curtis coefficient for denuded assemblages. J. Exp. Mar. Biol. Ecol., 330: 55-80. 

  6. Clarke, K.R. and R.N. Gorley. 2015. PRIMER v7: User Manual/Tutorial. PRIMER-E, Plymouth, 296pp. 

  7. Colloca, F., M. Cardinale, A. Belluscio and G. Ardizzone. 2003. Pattern of distribution and diversity of demersal assemblages in the central Mediterranean Sea. Estuar. Coast. Shelf Sci., 56: 469-480. 

  8. Fodrie, F., K.L. Heck, S.P. Powers, W.M. Graham and K.L. Robinson. 2010. Climate-related, decadal-scale assemblage changes of seagrass-associated fishes in the northern Gulf of Mexico. Glob. Chang. Biol., 16: 48-59. 

  9. Froese, R. and D. Pauly. (Eds). 2017. FishBase. World Wide Web electronic publication. Retrieved from http://www.fishbase.org on 14 December 2017. 

  10. Fujita, T., I. Tadashi and Y. Ishito. 1995. Depth-gradient structure on the demersal fish community on the continental shelf and slope off Sendai Bay, Japan. Mar. Ecol. Prog. Ser., 118: 13-23. 

  11. Gaertner, J.C., N. Mazouni, R. Sabatier and B. Millet. 1999. Spatial structure and habitat associations of demersal assemblages in the Gulf of Lions: a multicompartmental approach. Mar. Biol., 135: 199-208. 

  12. Han, K.H., J.C. Son, D.S. Hwang and S.H. Choi. 2002. Species composition and quantitative fluctuation of fishes collected by trammel net in coastal waters of Seokbyeong, Pohang. Korean J. Ichthyol., 14: 109-120. 

  13. Hilborn, R. and C.J. Walters. 1992. Quantitative fisheries stock assessment: choice, dynamics and uncertainty. Rev. Fish. Biol. Fish., 2: 177-178. 

  14. Hwang, S.D., Y.J. Park, S.H. Choi and T.W. Lee. 1997. Species composition of fish collected by trammel net off Heunghae, Korea. Korean J. Fish. Aquat. Sci., 30: 105-113. 

  15. Jung, H.K., M.S.M. Rahman, C-.K. Kang, S-.Y. Park, S.H. Lee, H.J. Park, H-.W. Kim and C.I. Lee. 2017. The influence of climate regime shifts on the marine environment and ecosystems in the East Asian Marginal Seas and their mechanisms. Deep Sea Res. Part II, 143: 110-120. 

  16. Kallianiotis, A., K. Sophronidis, P. Vidoris and A. Tselepides. 2000. Demersal fish and megafaunal assemblages on the Cretan continental shelf and slope (NE Mediterranean): seasonal variation in species density, biomass and diversity. Prog. Oceanogr., 46: 429-455. 

  17. Kang, S., S. Kim and S.W. Bae. 2000. Changes in ecosystem components induced by climate variability off the eastern coast of the Korean Peninsula during 1960-1990. Prog. Oceanogr., 47: 205-222. 

  18. Kim, C.H. and K. Kim. 1983. Characteristic and origin of the cold water mass along in the coast of Korea. J. Ocean. Soc. Korea., 18: 73-83. 

  19. Labropoulou, M. and C. Papaconstantinou. 2000. Community structure of deep-sea demersal fish in the North Aegean Sea (northeastern Mediterranean). Hydrobiologia, 440: 281-296. 

  20. Lee, J.Y., D.J. Kang, I.N. Kim, T. Rho, T. Lee, C.K. Kang and K.R. Kim. 2009. Spatial and temporal variability in the pelagic ecosystem of the East Sea (Sea of Japan): a review. J. Mar. Syst., 78: 288-300. 

  21. Lee, S.I., S.J. Hwang, J.H. Yang and J.M. Shim. 2008. Seasonal variation in species composition of gill net and trammel net catches in the coastal waters off Wangdol-cho, Korea. Korean J. Ichthyol., 20: 291-302. 

  22. Lee, T.W. 1999. Seasonal variation in species composition of demersal fish in Yongil Bay, East Coast of Korea. Korean J. Fish. Aquat. Sci., 32: 512-519. 

  23. Lee, T.W. 2011. Seasonal variation in species composition of demersal fish in the coastal water off Uljin and Hupo in the East Sea of Korea in 2002. Korean J. Ichthyol., 23: 187-197. 

  24. Mahon, R. and R.W. Smith. 1989. Demersal fish assemblages on the Scotian shelf, northwest Atlantic: spatial distribution and persistence. Can. J. Fish. Aquat. Sci., 46: 134-152. 

  25. McClatchie, S., R.B. Millar, F. Webster, P.J. Lester, R. Hurst and N. Bagley. 1997. Demersal fish community diversity off New Zealand: Is it related to depth, latitude and regional surface phytoplankton? Deep Sea Res. Part I, 44: 647-667. 

  26. Moranta, J., C. Stefanescu, E. Massuti, B. Morales-Nin and D. Lloris D. 1998. Fish community structure and depth-related trends on the continental slope of the Balearic Islands (Algerian basin, western Mediterranean). Mar. Ecol. Prog. Ser., 171: 247-259. 

  27. Naganuma, K. 2000. The Sea of Japan as the natural environment of marine organisms. Bull. Jap. Sea Natl. Fish. Res. Inst., 50: 1-42. 

  28. Park, H.H., E.C. Jeong, B.S. Bae, Y.S. Yang, S.J. Hwang, J.H. Park, Y-.S. Kim, S.I. Lee and S.H. Choi. 2007. Fishing investigation and species composition of the catches caught by a bottom trawl in the deep East Sea. J. Korean Soc. Fish. Technol., 43: 183-191. 

  29. Park, J.M. 2010. Species composition and reproductive ecology of fishes in the coastal waters off Gori, Korea. Doctoral dissertation, Ph. D Thesis, Pukyoung Natl. Univ., Busan, 236pp. 

  30. Park, J.M. and S.H. Huh. 2015. Seasonal and interannual variation in species composition of fish assemblages collected by pots in the Southern Coast of East Sea. Korean J. Ichthyol., 27: 310-316. 

  31. Park, J.M., S.H. Huh, H.C. Choi and S.N. Kwak. 2017. Larval distribution of the common dolphinfish Coryphaena hippurus Linnaeus, 1758 (Coryphaenidae) in the East Sea/Sea of Japan. J. Appl. Ichthyol., 33: 815-818. 

  32. Shannon, C.E. and W. Weaver. 1949. The mathematical theory of communication. Univ. Illinois Press, Urbana, 177pp. 

  33. Sohn, M.H., H.W. Lee, B.K. Hong and Y.Y. Chun. 2010. Seasonal variation of species composition by depths in deep sea ecosystem of the East Sea of Korea. J. Korean Soc. Fish. Technol., 46: 376-391. 

  34. Smale, M.J., R.A. Roel, A. Badenhorst and J.G. Field. 1993. Analysis of the demersal community of fish and cephalopods on the Agulhas Bank, South Africa. J. Fish Biol., 43: 169-191. 

  35. Tian, Y., H. Kidokoro and T. Fujino. 2011. Interannual-decadal variability of demersal fish assemblages in the Tsushima Warm Current region of the Japan Sea: impacts of climate regime shifts and trawl fisheries with implications for ecosystem-based management. Fish. Res., 112: 140-153.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