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캄필로박터 제주니 균(Campylobacter jejuni)은 세균성위장관감염증을 일으키는 수인성식품매개질환의 중요한 원인 균으로 알려져 있다. 2014년부터 2016년까지 경기지역에서 발생된 17번의 식중독에서 캄필로박터 제주니 균에 감염된 430명의 환자와 조리종사자에게서 208건의 균주를 선별하였다. 선별된 균주의 유전적 상관관계와 유전형분포를 확인하기 위하여 PFGE와 multiplex-PCR typing 방법을 사용하여 비교분석 하였다. 47개의 Penner-type으로 구분되는 캄필로박터 제주니 균의 혈청형을 multiplex-PCR typing을 이용하여 35개의 유전형으로 구분할 수 있는 것을 확인하였고 선별된 균주에서 7개의 유전형(HS2, HS4A, HS8, HS15, HS29, HS41, HS53)으로 구분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가장 많은 케이스에서 분리된 유전형은 HS2였고 7건의 식중독케이스에서 확인되었다. PFGE를 통하여 11건의 식중독에서 모두 5개의 그룹으로 분류되었고 그룹간의 유사성은 61.8에서 66.6%였다. 본 연구는 다양한 유전자 분석방법을 통하여 경기도내에서 분리된 캄필로박터 제주니 균의 유전적 다양성을 파악하고 향후 집단발생시 환자의 분리 균주 간의 상관관계 규명하며 캄필로박터 감염증의 발생 및 확산 방지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Campylobacter jejuni is an important food-borne pathogen causing gastroenteritis in human. We isolated 208 strains of Campylobacter jejuni from 430 diarrhea patients and food employees with 17 food-poisoning outbreaks between 2014 and 2016 in Gyeonggi area. The strains were tested for genetic relat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경기도지역 집단식중독 설사환자로부터 분리된 캄필로박터 제주니 균의 PFGE를 통하여 유전적 상관관계를 확인하고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는 캄필로박터 제주니 균의 유전형을 구분할 수 있는 다양한 방법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또한 분석된 균 종간의 유전적 상관관계를 비교하고 유전형을 분석하여 캄필로박터 제주니 균에 의한 질환 발생 시역학 연구의 기초 자료를 확보하고자 하였다.
  • 6%였다. 본 연구는 다양한 유전자 분석방법을 통하여 경기도내에서 분리된 캄필로박터 제주니 균의 유전적 다양성을 파악하고 향후 집단발생시 환자의 분리 균주 간의 상관관계 규명하며 캄필로박터 감염증의 발생 및 확산 방지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경기도지역 집단식중독 설사환자로부터 분리된 캄필로박터 제주니 균의 PFGE를 통하여 유전적 상관관계를 확인하고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는 캄필로박터 제주니 균의 유전형을 구분할 수 있는 다양한 방법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또한 분석된 균 종간의 유전적 상관관계를 비교하고 유전형을 분석하여 캄필로박터 제주니 균에 의한 질환 발생 시역학 연구의 기초 자료를 확보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캄필로박터 제주니 균은 어떤 특징을 가진 균인가? 캄필로박터 제주니 균(Campylobacter jejuni)은 세균성위장관감염증을 일으키는 수인성식품매개질환의 중요한 원인 균으로 알려져 있다. 2014년부터 2016년까지 경기지역에서 발생된 17번의 식중독에서 캄필로박터 제주니 균에 감염된 430명의 환자와 조리종사자에게서 208건의 균주를 선별하였다.
유전적 상관관계와 유전형분포를 확인하기 위하여 어떤 방법을 사용하여 비교 분석 하였는가? 2014년부터 2016년까지 경기지역에서 발생된 17번의 식중독에서 캄필로박터 제주니 균에 감염된 430명의 환자와 조리종사자에게서 208건의 균주를 선별하였다. 선별된 균주의 유전적 상관관계와 유전형분포를 확인하기 위하여 PFGE와 multiplex-PCR typing 방법을 사용하여 비교분석 하였다. 47개의 Penner-type으로 구분되는 캄필로박터 제주니 균의 혈청형을 multiplex-PCR typing을 이용하여 35개의 유전형으로 구분할 수 있는 것을 확인하였고 선별된 균주에서 7개의 유전형(HS2, HS4A, HS8, HS15, HS29, HS41, HS53)으로 구분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캄필로박터 제주니 균에 의해 발생한 식중독의 증상과 치료 방법은? 임상증상은 묽은 설사, 변, 복통, 열, 메스꺼움, 구토 등을 나타내며 3일에서 5일 정도 지속되지만 증상이 심하지 않고 대부분 1주일 안에 치료되기 때문에 항생제 치료가 필요하지 않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증상이 심한 경우 엘리트로마이신(erythromycin), 퀴놀론(quinolone), 테트라사이클린(tetracycline),아지트로마이신(azithromycin) 등을 사용하는데 최근 항생제 저항성을 보이는 균들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Zaman, 1992;Szczepanska et al., 201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Altekruse, S.F., Stern, N.J., Fields, P.I., and Swerdlow, D.L. 1999. Campylobacter jejuni - an emerging foodborne pathogen. Emerg. Infect. Dis. 5, 28-35. 

  2. Bacon, D.J., Szymanski, C.M., Burr, D.H., Silver, R.P., Alm, R.A., and Guerry, P. 2001. A phase-variable capsule is involved in virulence of Campylobacter jejuni 81-176. Mol. Microbiol. 40, 769-777. 

  3. Cha, I., Kim, N., Nam, J., Choi, E., Chung, G., Kang, Y., and Hong, S. 2014. Genetic diversity of Campylobacter jejuni isolates from Korea and travel-associated cases from east and Southeast Asian countries. Jpn. J. Infect. Dis. 67, 490-494. 

  4. EFSA. 2005. Opinion of the Scientific Panel on Biological Hazards on the request from the Commission related to Campylobacter in animals and foodstuffs. EFSA J. 173, 1-10. 

  5. Hong, J., Kim, J., Jung, W., Kim, S., Bae, W., Koo, H., Gil, J., Kim, M., Ser, J., and Park, Y.H. 2007. Prevalence and antibiotic resistance of Campylobacter spp. isolated from chicken meat, pork, and beef in Korea, from 2001 to 2006. J. Food Prot. 70, 860-866. 

  6. Jeong, J., Lee, J., Lee, H., Lee, S., Kim, S., Ha, J., Yoon, K., and Yoon, Y. 2017. Quantitative microbial risk assessment for Campylobacter foodborne illness in raw beef offal consumption in South Korea. J. Food Prot. 80, 609-618. 

  7. Noormohamed, A. and Fakhr, M.K. 2014. Molecular typing of Campylobacter jejuni and Campylobacter coli isolated from various retail meats by MLST and PFGE. Foods 3, 82-93. 

  8. Oh, J., Kwon, Y., Wei, B., Jang, H., Lim, S., Kim, C., Jung, S., and Kang, M. 2017. Epidemiological relationships of Campylobacter jejuni strains isolated from humans and chickens in South Korea. J. Microbiol. 55, 13-20. 

  9. Pike, B., Guerry, P., and Poly, F. 2013. Global distribution of Campylobacter jejuni Penner serotypes: A systematic review. PLoS One 8, e67375. 

  10. Poly, F., Serichantalergs, O., Kuroiwa, J., Pootong, P., Mason, C., Guerry, P., and Parker, C. T. 2015. Updated Campylobacter jejuni capsule PCR multiplex typing system and its application to clinical isolates from South and Southeast Asia. PLoS One 10, e0144349. 

  11. Poly, F., Serichatalergs, O., Schulman, M., Ju, J., Cates, C.N., Kanipes, M., Mason, C., and Guerry, P. 2011. Discrimination of major capsular types of Campylobacter jejuni by multiplex PCR. J. Clin. Microbiol. 49, 1750-1757. 

  12. Revez, J., Llarena, A.K., Schott, T., Kuusi, M., Hakkinen, M., Kivisto, R., Hanninen, M.L., and Rossi, M. 2014. Genome analysis of Campylobacter jejuni strains isolated from a waterborne outbreak. BMC Genomics 15, 1471-2164. 

  13. Samosornsuk, W., Asakura, M., Yoshida, E., Taguchi, T., Eampokalap, B., Chaicumpa, W., and Yamasaki, S. 2015.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Campylobacter strains from diarrheal patients in central and suburban Bangkok, Thailand. Jpn. J. Infect. Dis. 68, 209-215. 

  14. Szczepanska, B., Andrzejewska, M., Spica, D., and Klawe, J. 2017. Prevalence and antimicrobial resistance of Campylobacter jejuni and Campylobacter coli isolated from children and environmental sources in urban and suburban areas. BMC Microbiol. 17, 80. 

  15. Takahashi, M., Koga, M., Yokoyama, K., and Yuki, N. 2005. Epidemiology of Campylobacter jejuni isolated from patients with Guillain-Barre and Fisher syndromes in Japan. J. Clin. Microbiol. 43, 335-339. 

  16. van den Berg, B., Walgaard, C., Drenthen, J., Fokke, C., Jacobs, B.C., and van Doorn, P.A. 2014. Guillain-Barre syndrome: pathogenesis, diagnosis, treatment and prognosis. Nat. Rev. Neurol. 10, 469-482. 

  17. Wei, B., Cha, S., Kang, M., Roh, J., Seo, H., Yoon, R., and Jang, H. 2014. Antimicrobial susceptibility profiles and molecular typing of Campylobacter jejuni and Campylobacter coli isolates from ducks in South Korea. Appl. Environ. Microbiol. 80, 7604-7610. 

  18. Zaman, R. 1992. Campylobacter enteritis in Saudi Arabia. Epidemiol. Infect. 108, 51-5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