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Campylobacter jejuni는 사람에서 매우 중요한 식중독 원인균의 하나이며, 2010년 경기도내 병원을 내원한 설사 환자와 4번의 식중독 outbreak에서 42균주를 분리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분리된 C. jejuni 42균주의 유전적 특성과 혈청형, 항균제 내성율을 분석하였다. hipO 종특이 유전자(100%), cdtB 독소 유전자(100%)가 검출되었고, gyrA 돌연변이 유전자(95.2%)가 PCR 실험결과 검출되었다. gyrA 돌연변이 유전자는 ciprofloxacin 내성과 연관이 깊으며, 디스크 확산법에 의해 실험한 결과 gyrA 돌연변이 유전자가 검출된 40균주(95.2%)에서 실제 ciprofloxacin에 대해 내성을 보였다. 분리된 42균주 C. jejuni에 대한 gyrA 유전자의 염기서열을 분석한 결과 ciprofloxacin에 내성을 가진 40균주에서 아미노산 서열이 ACA (트레오닌)에서 ATA (이소루신)으로 돌연변이 되어있음을 확인하였다. 하지만 대체 치료제인 erythromycin과 azithromycin에 대해서는 97.6% (41균주) 감수성을 보였다. 또한 C. jejuni의 혈청형을 분석한 결과 4가지 타입으로 분류되었는데, HS2(B), HS3(C), HS4(D), HS19(O)로 확인되었다. 도내에서 분리한 C. jejuni 42균주의 유전형을 rep-PCR과 PFGE로 확인한 결과 PFGE에 의해서는 12 cluster, rep-PCR에 의해서는 11 cluster의 유전형으로 구분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Campylobacter jejuni is one of important food-borne pathogens causing human gastroenteritis. We isolated 42 strains of C. jejuni from diarrhea patients and 4 food-poisoning outbreaks in 2010, Gyeonggi-do. In this study, 42 strains were tested for genetic characteristics, the serotype distribution a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jejuni의 heat-stable 항원을 이용해 혈청형을 분석하였다. 더불어 PFGE와 rep-PCR을 통해 분리된 C. jejuni 균의 유전형을 분석하여 이들 사이에 유전적 상관성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경기도내 병원을 내원한 설사환자와 식중독 outbreak에서 분리된 C. jejuni 균주를 대상으로 C. jejuni에 특이적인 hipO 유전자, 중요 독력인자인 cdtB 유전자를 확인하였고, gyrA 유전자를 PCR과 sequencing 방법으로 확인하여 ciprofloxacin에 대한 내성과의 관련성도 연구하였다. 또한 C.
  • Campylobacter jejuni는 사람에서 매우 중요한 식중독 원인균의 하나이며, 2010년 경기도내 병원을 내원한 설사 환자와 4번의 식중독 outbreak에서 42균주를 분리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분리된 C. jejuni 42균주의 유전적 특성과 혈청형, 항균제 내성율을 분석하였다. hipO 종특이 유전자(100%), cdtB 독소 유전자(100%)가 검출되었고, gyrA 돌연변이 유전자(95.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Campylobacter jejuni는 어떤 질병의 원인균이 됩니까? Campylobacter jejuni는 설사, 복통 등의 증상을 일으키는 식품 매개 장염의 중요한 원인균으로 이미 외국에서는 살모넬라, 병원성 대장균에 의한 식중독보다 C. jejuni에 의한 식중독이 더 많이 발생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Altekruse et al.
C. jejuni 감염 증상은 언제 나타납니까? C. jejuni에 감염되면 보통 2–5일 후 증상이 발생하고 전형적으로 5–8일간 지속된다. 임상증상으로는 설사, 구토, 발열, 메스꺼움 등 다양한 증상을 보이며, 일부 면역체계가 무너진 경우에는 Guillan-Barré 증후군 및 Reiter 증후군 등의 더욱 심각한 질병으로 이어질 수 있다.
Campylobacter jejuni는 어떤 형태를 가진 균입니까? C. jejuni 는 양쪽 끝에 하나씩 극성 편모를 가지고 있는 그람음성의 나선형 간균이며, 5–10% 산소에서 주로 증식하는 미호기성균으로 대부분 42℃에서 잘 증식하기 때문에 thermophilic Campylobacter로 분류된다. 또한 공기 중 노출이나, 건조, 가열, pH 등에 감수성이 있고 500–800개의 소량의 균으로도 식중독을 일으킬 수 있으며, 성인보다는 유아, 어린이 및 면역력이 낮은 사람에게 감염률이 높다(Altekruse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Aarestrup, F.M. and Wegener, H.C. 1999. The effects of antibiotic usage in food animals on the development of antimicrobial resistance of importance for humans in Campylobacter and Escherichia coli. Microbes Infect. 1, 639?644. 

  2. Altekruse, S.F., Stern, N.J., Fields, P.I., and Swerdlow, D.L. 1999. Campylobacter jejuni-an emerging foodborne pathogen. Emerg. Infect. Dis. 5, 28-35. 

  3. Charvalos, E., Peteinaki, E., Spyridaki, I., Manetas, S., and Tselentis, Y. 1996. Detection of ciprofloxacin resistance mutations in Campylobacter jejuni gyrA by nonradioisotopic single-strand conformation polymorphism and direct DNA sequencing. J. Clin. Lab. Anal. 10, 129-133. 

  4. Choi, K.M., Lee, J.H., Park, Y.K., Kim, N.R., Soo, H.A., Jang, Y.M., Kim, C.H., Na, S.E., Lim, S.C., and Park, M.Y. 2008. Genomic characterization and antibiotic resistance of Campylobacter jejuni isolated from poultry, bovine and human in Jeonbuk province. The report of Jeollabukdo institute of Health & Environment Research, 99-119. 

  5. Dassanayake, R.P., Zhou, Y., Hinkley, S., Stryker, C.J., Plauche, G., Borda, J.T., Sestak, K., and Duhamel, G.E. 2005. Characterization of cytolethal distending toxin of Campylobacter species isolated from captive macaque monkeys. J. Clin. Microbiol. 43, 641-649. 

  6. Endtz, H.P., Ruijs, G.J., van Klingeren, B., Jansen, W.H., van der Reyden, T., and Mouton, R.P. 1991. Quinolone resistance in Campylobacter isolated from man and poultry following the introduction of fluoroquinolones in veterinary medicine. J. Antimicrob. Chemother. 27, 199-208. 

  7. Gaunt, P.N. and Piddock, L.J. 1996. Ciprofloxacin resistant Campylobacter spp. in humans: an epidemiological and laboratory study. J. Antimicrob. Chemother. 37, 747-757. 

  8. Gootz, T.D. and Martin, B.A. 1991. Characterization of high-level quinolone resistance in Campylobacter jejuni. Antimicrob. Agents Chemother. 35, 840-845. 

  9. Johnson, W.M. and Lior, H. 1988. A new heat-labile cytolethal distending toxin (CLDT) produced by Campylobacter spp. Microb. Pathog. 4, 115-126. 

  10. Kim, J.M., Hong, J., Bae, W., Koo, H.C., Kim, S.H., and Park, Y.H. 2010. Prevalence, antibiograms, and transferable tet(O) plasmid of Campylobacter jejuni and Campylobacter coli isolated from raw chicken, pork, and human clinical cases in Korea. J. Food Prot. 73, 1430-1437. 

  11. Kim, S.M., Kim, E.C., Choi, M.R., So, H.A., Shim, E.S., Kim, E.S., Park, S.C., Seong, C.N., and Chong, Y. 2008. Cytolethal distending toxin production, genotypes and antimicrobial susceptibility of Campylobacter jejuni isolates from diarrhea patients and chickens. J. Bacteriol. Virol. 38, 207-219. 

  12. Lee, J.K., Kim, K.Y., Koo, M.S., Yong, D.E., and Kim, E.C. 2002. Detection of Campylobacter jejuni by multiplex PCR and patterns of pulsed-field gel electrophoresis. Kor. J. Clin. Microbiol. 5, 35-41. 

  13. Lindmark, B., Rompikuntal, P.K., Vaitkevicius, K., Song, T., Mizunoe, Y., Uhlin, B.E., Guerry, P., and Wai, S.N. 2009. Outer membrane vesicle-mediated release of cytolethal distending toxin (CDT) from Campylobacter jejuni. BMC Microbiol. 9, 220. 

  14. Park, E.H., Kim, J.A., Choi, S.H., Bin, J.H., Cheigh, H.S., Suk, D.H., Lee, S.C., and Kim, Y.H. 2007. Isolation and antimicrobial susceptibility of Campylobacter Jejuni from diarrhea patients. J. Life Sci. 17, 811-815. 

  15. Piddock, L.J. 1995. Quinolone resistance and Campylobacter spp. J. Antimicrob. Chemother. 36, 891-898. 

  16. Purdy, D., Buswell, C.M., Hodgson, A.E., McAlpine, K., Henderson, I., and Leach, S.A. 2000. Characterisation of cytolethal distending toxin (CDT) mutants of Campylobacter jejuni. J. Med. Microbiol. 49, 473-479. 

  17. Ruiz, J., Goni, P., Marco, F., Gallardo, F., Mirelis, B., Jimenez De Anta, T., and Vila, J. 1998. Increased resistance to quinolones Campylobacter jejuni: a genetic analysis of gyrA gene mutations in quinolone-resistant clinical isolates. Microbiol. Immunol. 42, 223-226. 

  18. Snchez, R., Fernndez-Baca, V., Daz, M.D., Muoz, P., Rodrguez-Crixems, M., and Bouza, E. 1994. Evolution of susceptibilities of Campylobacter spp. to quinolones and macrolides. Antimicrob. Agents Chemother. 38, 1879-1882. 

  19. Takahashi, M., Koga, M., Yokoyama, K., and Yuki, N. 2005. Epidemiology of Campylobacter jejuni isolated from patients with Guillain-Barre and Fisher syndromes in Japan. J. Clin. Microbiol. 43, 335-339. 

  20. Talukder, K.A., Aslam, M., Islam, Z., Azmi, I.J., Dutta, D.K., Hossain, S., Nur, E.K.A., Nair, G.B., Cravioto, A., and Sack, D.A. 2008. Prevalence of virulence genes and cytolethal distending toxin production in Campylobacter jejuni isolates from diarrheal patients in Bangladesh. J. Clin. Microbiol. 46, 1485-1488. 

  21. Vanhoof, R., Vanderlinden, M.P., Dierickx, R., Lauwers, S., Yourassowsky, E., and Butzler, J.P. 1978. Susceptibility of Campylobacter fetus subsp. jejuni to twenty nine antimicrobial agents. Antimicrob. Agents Chemother. 14, 553-556. 

  22. Walder, M. 1979. Susceptibility of Campylobacter fetus subsp. jejuni to twenty antimicrobiol agents. Antimicrob. Agents Chemother. 16, 37-39. 

  23. Wang, G., Clark, C.G., Taylor, T.M., Pucknell, C., Barton, C., Price, L., Woodward, D.L., and Rodgers, F.G. 2002. Colony multiplex PCR assay for identification and differentiation of Campylobacter jejuni, Campylobacter coli, Campylobacter lari, Campylobacter upsaliensis, and Campylobacter fetus subsp. fetus. J. Clin. Microbiol. 40, 4744-4747. 

  24. Wilson, M.K., Lane, A.B., Law, B.F., Miller, W.G., Joens, L.A., Konkel, M.E., and White, B.A. 2009. Analysis of the pan genome of Campylobacter jejuni isolates recovered from poultry by pulsed-field gel electrophoresis, multilocus sequence typing (MLST), and repetitive sequence polymerase chain reaction (rep-PCR) reveals different discriminatory capabilities. Microb. Ecol. 58, 843-855. 

  25. Zaman, R. 1992. Campylobacter enteritis in Saudi Arabia. Epidemiol. Infect. 108, 51-58. 

  26. Zhao, C., Ge, B., De Villena, J., Sudler, R., Yeh, E., Zhao, S., White, D.G., Wagner, D., and Meng, J. 2001. Prevalence of Campylobacter spp., Escherichia coli, and Salmonella serovars in retail chicken, turkey, pork, and beef from the Greater Washington, D.C., area. Appl. Environ. Microbiol. 67, 5431-5436. 

  27. Zirnstein, G., Li, Y., Swaminathan, B., and Angulo, F. 1999. Ciprofloxacin resistance in Campylobacter jejuni isolates: detection of gyrA resistance mutations by mismatch amplification mutation assay PCR and DNA sequence analysis. J. Clin. Microbiol. 37, 3276-328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