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노루오줌으로부터 Bergenin의 함량 분석 및 에탄올 추출물의 자궁경부암세포 성장 억제 효과
Quantitative Analysis of Bergenin in Astilbe rubra and Growth Inhibition Effect of Ethanol Extract on Hela Cells 원문보기

생약학회지, v.49 no.1, 2018년, pp.47 - 54  

김아현 (한약진흥재단 한약자원본부) ,  노종현 (한약진흥재단 한약자원본부) ,  우경완 (한약진흥재단 한약자원본부) ,  강주은 (한약진흥재단 한약자원본부) ,  심미옥 (한약진흥재단 한약자원본부) ,  김민석 (한약진흥재단 한약자원본부) ,  함성호 (한약진흥재단 한약자원본부) ,  조현우 (한약진흥재단 한약자원본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stilbe rubra (AR) is a perennial, belongs to the Saxifragaceae family, it contains tannin and triterpene. AR has been used in republic korea to improve toxication, fever, pain and convulsion. Recently, number of natural products have been analyzed for potential pharmacological activities including ...

주제어

표/그림 (10)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민간생약으로 사용중인 노루오줌의 품질 평가를 위한 기준 설정을 위해 지표성분 분리, 함량 분석 및 확인시험을 실시하여 제안하고자 하였다. 또한 노루오줌 MeOH 추출물에서 췌장암 세포주(AsPC-1 cell)에 농도의존적으로 유의성을 나타내어,17) 자궁경부암 세포주(Hela cel) 에 노루오줌 물 추출물, 에탄올 추출물과 지표 성분인 bergenin을 처리하여 Hela 세포에 대한 세포성장억제 효과 및 기전을 확인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현재 개발된 항암제의 한계는? 또한 치료를 받은 여성의 경우 정신정인스트레스가 높게 보고되고 있어 치료방법에 대해 향후 많은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3-5) 현재까지 개발되어진 항암제는 대게 강한 독성을 보이나 효과가 뛰어나고, 항암제에 대한 암세포의 내성이 생겨 치료의 한계를 보이고 있다.6-8) 이러한 이유 때문에, 현재 효과가 알려지지 않은 여러 천연분리물질과 추출물을 이용해 암세포 사멸 기전 규명 및 효능에 관련된 여러 연구들이 수행되고 있다.
자궁경부암의 사망률은? 자궁경부암(uterine cervical cancer)은 전 세계적으로 여성 에게 발병되는 암 중 두번째로 이로 인한 사망률이 60%를 차지한다고 알려져 있으며, 우리나라에선 위암과 유방암에 이어 다섯 번째를 차지한다.1,2) 현재 자궁경부암의 치료는 병의 진행 정도와 암종의 크기와 조직 형태에 따라 달라진다.
자궁경부암의 치료 방법과 특징은? 1,2) 현재 자궁경부암의 치료는 병의 진행 정도와 암종의 크기와 조직 형태에 따라 달라진다. 크게 3가지 단계로 나눌 수 있으며, 수술 또는 화학방사선요법을 통해 치료하지만 수술의 경우 화학방사선요법과 다르게 환자의 난소를 유지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섬유화가 유발되지 않는다. 또한 치료를 받은 여성의 경우 정신정인스트레스가 높게 보고되고 있어 치료방법에 대해 향후 많은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3)

  1. Lee, K. W. and Song, J. W. (2007) Epidemiology of cervical cancer. J. Korean Med. Assoc. 50: 762-768. 

  2. Kang, S. B. (2007) Treatment of cervical cancer. J. Korean Med. Assoc. 50: 785-795. 

  3. Vistad, I., Fossa, S. D. and Dahl, A. A. (2006) A critical rreview of patient-rated quality of life studies of long-term survivors of cervical cancer. Gynecol. Oncol. 102: 563-572. 

  4. Bergmark, K., Avall-Lundqvist, E., Dickman, P.W., Henningsohn, L. and Steineck, G. (1999) Vaginal changes and sexuality in women with a history of cervical cancer. N. Engl. J. Med. 340: 1383-1389. 

  5. Frumovitz, M., Sun, C. C., Schover, L. R., Munsell, M. F., Jhingran, A., Wharton, J. T., Eifel, P., Becers, T. B., Levenback, C. F., Gershenson, D. M. and Bodurka, D. C. (2005) Quality of life and sexual functioning in cervical cancer survivors. J. Clin. Oncol. 23: 7428-7436. 

  6. Yoon, G. A., Chae, S. Y. and Kim, K. H. (2012) Synergistic anticancer activity on mouse sarcoma by mixture of doxorubicin and water extract of Albizzia julibrissin. Cancer Prev. Res. 17: 239-243. 

  7. Octavia, Y., Tocchetti, C. G., Gabrielson, K. L., Janssens, Crijns, H. J. and Moens, A. L. (2012) Doxorubicin-induced cardiomyopathy: from molecular mechanisms therapeutic strategies. J. Mol. Cell Cardiol. 52: 1213-1225. 

  8. Tacar, O., Sriamornsak, P. and Dass, C. R. (2013) Doxo-rubicin: an update on anticancer molecular action, toxicity and novel drug delivery systems. J. Pharm. Pharmacol. 65: 157-170. 

  9. Choi, S. R., Kim, M. J., Ahn, M. S., Song, E. J., Seo, S. Y., Choi, M. K., Kim, Y. S., Choi, D. G. and Song, Y. J. (2014) Cytotoxicity of extracts from Korean pepper (Capsicum annuum L.) by extraction solvents and plant parts. Korean J. Med. Crop. Sci. 22: 369-377. 

  10. Yang, J., Kwon, Y. S., Lim, J. D., Yu, C. Y. and Kim, M. J. (2015) Antioxidant and anticancer properties of the extracts from Lepisorus thunbergianus (KaulF.) Ching. Korean J. Med. Crop. Sci. 23: 324-333. 

  11. Han, H. M., Kwon, Y. S. and Kim, M. J. (2015) Antioxidant and antiproliferative activity of extracts from water chestnut (Trapa japonica flerow). Korean J. Med. Crop. Sci. 24: 14-20. 

  12. Nikoletopoulou, V., Markaki, M., Palikaras, K. and Tavernarakis, N. (2013) Crosstalk between apoptosis, necrosis and autophagy. Biochim. Biophys. Acta. 1833: 3448-3489. 

  13. Ko, W. C. and Lee, S. R. (2015) Effect of immature Citrus sunki peel extract on neuronal cell death. Korean. J. Med. Crop Sci. 23: 144-149. 

  14. 이영노 (2007) 한국식물도감(상), 498. 교학사, 서울. 

  15. 이창복 (2003) 원색 대한식물도감(상), 469. 향문사, 서울. 

  16. 강병화 (2008) 한국생약자원생태도감(1), 487. 지오북, 서울. 

  17. Hong, J. Y., Park, H. R., Kwon, Y. G., Kwon, W. Y., Kim, S. Y., Park, R. D. and Shin, S. Y. (2015) Anticancer properties of Astilbe rubra extracts on AsPC-1 human pancreatic cancer cells. J. Basic Sciences 32: 21-28. 

  18. Moon, T. C., Lin, C. X., Lee, J. S., Kim, D. S., Bae, K. H., Son, K. H., Kim, H. P., Kang, S. S., Song, J. K. and Chang, H. W. (2005) Antinflammatory activity of astilbic acid from Astilbe chinensis. Biol. Pharm. Bull. 28: 24-26. 

  19. Oh, K. J., Choi, Y. S., Choi, I. S., Park, S. K., Lee, K. H., Chung, S. G. and Cho, E. H. (1992) Analgesic components of the rhizoma of Astilbe chinensis var. davidii. Yakhak Hoechi 36: 474-480. 

  20. Xu, Y. Q., Pang, S., Hu, J. Y. and Duan, H. Q. (2013) A new triterpene from Astilbe chinensis. Chem. Nat. Compd. 49: 268-270. 

  21. Cai, X. F., Park, B. Y., Ahn, K. S., Kwon, O. K., Lee, H. K. and Oh, S. R. (2009) Cytotoxic triterpenoids from the rhizomes of Astilbe chinensis. J. Nat. Prod. 72: 1241-1244. 

  22. Hu, J. Y., Yao, Z., Xu, Y. Q., Takaishi, Y. and Duan, H. Q. (2009) Triterpenes from Astilbe chinensis. J. Asian Nat. Prod. Res. 11: 236-242. 

  23. Tu, J., Sun, H. X. and Ye, Y. P. (2008) Immunomodulatory and antitumor activity of triterpenoid fractions from the rhizomes of Astilbe chinensis. J. Ethnopharmacol. 119: 266-271. 

  24. Sun, H. X. and Peng, X. Y. (2008) Protective effect of triterpenoid fractions from the rhizomes of Astilbe chinensis on cyclophosphamide-induced toxicity in tumor-bearing mice. J. Ethnopharmacol. 119: 312-317. 

  25. Zhang, Y. B., Peng, X. Y. and Sun, H. X. (2008) A new cytotoxic, apoptosis-inducing triterpenoid from the rhizomes of Astilbe chinensis. Chem. Biodivers. 5: 189-196. 

  26. Sun, H. X., Zheng, Q. F. and Tu, J. (2006) Induction of apoptosis in HeLa cells by 3 ${\beta}$ - hydroxy- 12- oleanen- 27- oic acid from the rhizomes of Astilbe chinensis. Bioorg. Med. Chem. 14: 1189-1198. 

  27. Sun, H. X., Ye, Y. P. and Pan, Y. J. (2004) Cytotoxic oleanane triterpenoids from the rhizomes of Astilbe chinensis (Maxim.) Franch. et Savat. J. Ethnopharmacol. 90: 261-265. 

  28. Sun, H., Zhang, J., Ye, Y., Pan, Y. and Shen, Y. (2003) Cytotoxic pentacyclic triterpenoids from the rhizome of Astilbe chinensis. Helv. Chim. Acta 86: 2414-2423. 

  29. Bradford, M. M. (1970) A rapid and sensitive method for the quantitation of microgram quantities of protein utilizing the principle of protein-dye binding. Anal. Biochem. 72: 248-254. 

  30. Kwon, O. K., Kim, C. S., Suh, W. S., Park, K. J., Cha, J. M., Choi, S. U., Kwon, H. C. and Lee, K. R. (2016) Phenolic compounds from the twigs of Corylopsis coreana uyeki and their cytotoxic activity. Kor. J. Pharmacogn. 47: 1-6. 

  31. Yoon, H. H., Sohn, S. H., Lee, E. Y., Kim, G. S., Lee, S. E., Lee, D. Y., Seo, K. H., Lee, S. W. and Kim, H. D. (2015) Protective effect of Saururus chinesis ethanol extract against styrene in mouse spermatocyte cell line. Korean. J. Med. Crop Sci. 17: 239-243. 

  32. Min, K. J., Song, J. W. and Cha, C. G. (2008) The antioxidative and antitumor activity of extracts of Agrimonia pilosa. J. Fd. Hyg. Safety 23: 149-156. 

  33. Park, H. M. and Hong, J. H. (2014) Physiological activities of Aronia melanocarpa extracts on extraction solvents. Korean J. Food Preserv. 21: 718-726.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