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정서표현양가성과 심리적 부적응, 주관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집단주의 문화성향의 조절효과
The Moderating Effects of Collectivism in the Relationships between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Psychological Maladjustment, and Subjective Well-being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9 no.12, 2018년, pp.80 - 89  

박원주 (한양사이버대학교 상담심리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인들의 정서표현양가성이 심리적 부적응과 주관적 안녕감에 영향을 미치는지와 이러한 관계에서 집단주의적 문화성향이 조절 효과를 보이는지를 탐색적으로 알아보는 것이다. 정서표현양가성의 문화차에 대해서 많은 연구들에서 가능성만을 제시할 뿐 실증적 연구는 없으므로 이에 대한 연구를 실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전국의 성인남녀 138명을 대상으로 정서표현양가성, 문화성향, 심리적 부적응증상, 주관적 안녕감을 측정하는 설문을 온라인 방식으로 실시했다. 조절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정서표현양가성, 집단주의 문화성향, 이들 간의 상호작용항을 투입하여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정서표현양가성은 심리적 부적응증상과 주관적 안녕감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으나, 집단주의 문화성향의 조절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정서표현양가성은 심리적 부적응증상을 증가시키고, 주관적 안녕감을 저하시키는 역할을 하지만, 이러한 관계에서 집단주의 문화성향은 영향을 미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결과에 대해 정서억제와 정서표현양가성이 집단주의 문화와의 관계에서 보이는 차이, 그리고 이들의 임상적 함의의 관점에서 논의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AEE) on psychological maladjustment and subjective well-being. Furthermore, we examined the moderating effect of collectivism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AEE, psychological maladjustment and subjective well-being. Many Ko...

주제어

표/그림 (5)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정서표현 양가성이 심리적 부적응과 주관적 안녕감에 영향을 미치는 데 있어 집단주의 문화성향이 조절효과를 보이는지 탐색적으로 알아보고, 정서표현 양가성의 하위개념인 관계관여양가성의 영향에 있어서도 집단주의 문화성향의 조절효과가 나타나는지를 알아보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정서표현양가성이 심리적 부적응 및 주관적 안녕감에 영향을 미치는지와 이러한 관계에서 집단주의 문화성향이 조절효과를 보이는지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들을 요약하고 논의하면 다음과 같다.
  • 이를 통해서 정서표현 양가성의 영향에 있어 문화에 따른 차이가 있는지를 검증하고, 국내에서 관계관여양가성의 영향에 대해 집단주의 문화의 관점에서 추리적 해석을 하는 것에 대해 실증적 연구결과를 제시하고자 한다.
  • 정서표현, 정서억제, 그리고 정서표현양가성이 심리적 부적응에 미치는 영향과 이러한 과정에서 문화적 차이의 역할에 대한 연구 결과들을 좀 더 자세히 살펴보겠다. 정서를 잘 표현하는 것은 심리적 적응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8], 주변 사람들로부터 정서적 지지를 더 많이 받을 수 있게 한다[1].

가설 설정

  • 1. 정서표현양가성과 심리적 부적응의 관계에서 집단주의 문화성향을 조절효과는 보이는가?
  • 2. 정서표현양가성과 주관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집단주의 문화성향은 조절효과를 보이는가?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동양의 집단주의 문화권이 정서표현의 억제에 있어 서구의 개인주의 문화권에 비해 그 영향력이 적은 이유는? 이는 사회문화적 가치와 규범이 개인의 정서조절과 표현방식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즉, 집단주의 사회의 경우 개인의 감정을 주장하기보다는 공동체를 먼저 배려하고 거기에 맞추려는 가치가 우세하므로[6,7], 정서억제를 보다 자연스럽게 받아들여 이로 인한 부정적 영향이 적은 것이다[4]. 이러한 정서표현이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나타나는 문화적 차이에 대한 연구는 주로 정서억제에 관해 이루어졌다, 최근 들어 정서표현과 관련되어 있으나 정서억제와는 차이가 있는 개념으로, 정서표현에 대한 내적 갈등을 의미하는 정서표현양가성[8]이 주목받고 있다.
정서를 잘 표현하는 것이 주는 긍정적인 효과는? 정서표현, 정서억제, 그리고 정서표현양가성이 심리적 부적응에 미치는 영향과 이러한 과정에서 문화적 차이의 역할에 대한 연구 결과들을 좀 더 자세히 살펴보겠다. 정서를 잘 표현하는 것은 심리적 적응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8], 주변 사람들로부터 정서적 지지를 더 많이 받을 수 있게 한다[1]. 같은 맥락으로, 정서표현을 억제하는 것은 이미 경험한 부정적 정서를 해결되지 않은 채로 쌓아두게 되어 우울, 불안, 대인관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2,3,14].
정서표현을 하지 않을 경우 신체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나? 같은 맥락으로, 정서표현을 억제하는 것은 이미 경험한 부정적 정서를 해결되지 않은 채로 쌓아두게 되어 우울, 불안, 대인관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2,3,14]. 또한 정서표현을 하지 않을 경우 신체적 각성이 발생하여 심리적, 신체적 질병을 발생시킨다[1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4)

  1. B. M. Depaulo. "Nonverbal and self-presentation". Psychological Bulletin, 111, pp. 203-244. 1992. 

  2. J. J. Gross, & O. P. John. "Individual differences in two emotion regulation process: Implications for affect, relationships, and wellbeing".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85(2), pp. 348-362, 2003. 

  3. J. H. Kahn, & A. M. Garrison, "Emotional self-disclosure and emotional avoidance: relations with symptoms of depression and anxiety".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56(4), pp. 573-584. 2009. 

  4. W. J. Park. "The effects of emotion suppression on depression and anxiety: the moderating effects of Nunchi". Korean Journal of Counseling, 18(4), pp. 47-63. 2017. 

  5. R. U. Cheung, & I. J. Park, "Anger suppression, interdependent self-control, and depression among Asian American and European American college students".Cultural diversity and ethnic minority psychology, 16(4), pp. 517-525, 2010. 

  6. G. H. Cho. "Culture and person perception".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15(1). 104-139. 1996. 

  7. G. H. Cho, "Cultural disposition and the styles of control". Korean Journal of Social and Personality Psychology, 17(2), pp. 85-106. 2003. 

  8. L. A. King, & R. A. Emmons. "Conflict over emotional expression: Psychological and physical correlate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8, pp. 864-877, 1990. 

  9. H. Y. Choi, & K. W. Min, "The study on the validation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questionnaire: comparison of suppression constructs in Korean culture". Korean Journal of Social and Personality Psychology, 21(4), pp. 71-89, 2007. 

  10. D. Y. Kim & E. H. Kim, The Mediating Effect of Displaced aggression on the relation between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depression: Self-defensive and relationship-involved ambivalence. Korean Journal of Counseling, 17(6), pp. 43-62, 2016. 

  11. Lee, M. H. The effects of college student's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on psychological well-being: the mediating effect of cognitive reappraisal. doctoral thesis, Hanyang University. 2013. 

  12. H. S. Hwang & Y. S. Lee, "Study on Moderating Effect of Psychological Flexibility at Impact on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affects Subjective Well-being ; College students", The Korea Contents Society, 16(3), pp. 335-345, 2016. 

  13. D. A. Youn, "The relationship between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marital satisfaction: The mediating effects of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Mater's thesis, The Catholic University, 2012. 

  14. A. M. Garrison, & J. H. Kahn, "Intraindividual relations between the intensity and disclosure of daily emotional events: the moderating role of depressive symptoms".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57(2), pp. 187-197, 2010. 

  15. J. W. Pennebaker, "Traumatic experience and psychosomatic disease" Exploring the roles of behavioral inhibition. obsession, and confiding". Canadian Psychology, 26, pp. 82-95. 1985. 

  16. S. Roth, & L. J. Cohen. " Approach, avoidance and coping with stress", American Psychologist, 41, 813-819. 

  17. Diener, E. Subjective well-bing, Psychological Bulletin, 95, pp. 542-575. 1984. 

  18. J. S. Park, I. S. Kim., M. H. Hyun, & J. H. Yu. "The effects of emotional awareness deficit, emotional expressivity,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on somatozation, depression and stress experience frequency".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13(3), pp. 571-581. 2008. 

  19. Y. J. Woo, "Influences of perceived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on middle school students' social anxiety : the mediating effects of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Master's thesis, Seogang University. 2014 

  20. S. H. Moon, S. H. Yoo, & K. M. Yun, "Mediating Effects of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on on the Relation between Parentification and Well-Being in Adolescents", Journal of Youth Welfare, 16(3), pp. 105-128, 2014. 

  21. E. M. Suh, " Emotion norms, values, familiarity and subject well-being: A cross-cultural examination". Master's thesis, University of Illinois at Urban-Champaign. 

  22. H .M. Lee, J. H. Heo, C. G. Oh, & W. J. Park. " Development of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Scale". Korean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19(1), pp. 65-86. 2018. 

  23. Choi, H. Y., Min, K. W., & Lee, D. G. "The role of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on in the link of belief in emotional expression and psychological symptom". The Korean Journal of Counseling, 9(3), pp. 1063-1080. 2008. 

  24. J. E. Um. "Relationship between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and psychological well-being", Master's thesis, The Catholic University. 2010. 

  25. H. C. Triandis. "The self and social behavior in differing cultural contexts", Psychological Review, 96, pp. 506-520, 1989. 

  26. H. C. Triandis, K. Leung, M. Vilareal, & F. L. Clark, "Alocentric vs. idiocentric tendencies: Convergent and discriminant validation", Journal of Research in Personality, 19, pp. 395-415. 1995. 

  27. G. H. Cho, & J. W. Myung, "Cultural disposition and types of self-consciousness", Korean Journal of Social and Personality Psychology, 15(1), pp. 139-165, 2001. 

  28. W. J. Park, "The moderating effect of collectivism self-orientation in the relationships between attachment insecurities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Korean Journal of Counseling, 17(5), pp. 65-83. 2016. 

  29. T. M. Singelis, H. C. Triandis, D. D. Blawuk, & M. Gelfand, "Horizontal and vertical dimension of individualism and collectivism: A theretical and measurement refinement", Crosscultural research, 29, pp. 240-275, 1995. 

  30. K. B. Kim, " Morality, interpersonal relations, and ingroup-outgroup distinction :cross-cultural analysis" Master's thesis, Chungang University. 

  31. K. I. Kim, H. T. Won, J. H. Lee, & K. Y. Kim, "Standardization study of symptom check list-90 in Korea I", Journal of the Korean Neuropsychiatric association,, 17, 4, 1978. 

  32. E. D. Diener, R. A. Emmons, R. J. Larson, & S. Griffin, " The satisfaction with life scale", Journal of Personality Assessment, 49(1), pp. 71-75, 1985. 

  33. Y. J. Ryu, "The Effects of personality and leves of psychological needs on subjective well-being",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34. An, S. K. & Chung, Y. J, "The effects of rejection sensitivity on international problems of university students: The mediating effect of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The Korean Journal of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28(3), pp. 719-741, 201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