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한국의 메뚜기의 장에서 분리된 Cellulose를 분해하는 담자균 효모
Cellulose degrading basidiomycetes yeast isolated from the gut of grasshopper in Korea 원문보기

Korean journal of microbiology = 미생물학회지, v.54 no.4, 2018년, pp.362 - 368  

김주영 (서울여자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생명환경공학과) ,  장준휘 (경북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  박지현 (가톨릭관동대학교 의과대학 성메리병원 보건의학과) ,  정희영 (경북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  박종석 (충북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생명과학부) ,  조성진 (충북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생명과학부) ,  이훈복 (서울여자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생명환경공학과) ,  (Kasetsart 대학교 미생물학과) ,  (서울여자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생명환경공학과) ,  성기호 (가톨릭관동대학교 의과대학 성메리병원 보건의학과) ,  김명겸 (서울여자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생명환경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메뚜기는 광합성으로 고정된 탄소의 소화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장내 미생물 군의 도움으로, 메뚜기는 셀룰로오스 및 헤미셀룰로오스와 같은 잎의 성분을 분해할 수 있다. 본 연구는 한국의 기도에서 수집한 메뚜기 껍질에서 추출한 셀룰로오스 분해 효모 균주를 조사하기 위해 이루어졌다. 효모 균주 중 ON2와 ON17 (두 균주)과 ON6 (한 균주)는 CMC-플레이트 분석에서 셀룰로오스 활성을 보였다. Large subunit rDNA의 D1/D2영역의 서열과 internal transcribed spacer (ITS) 영역의 분석 결과, ON2와 ON17 균주가 Papiliotrema aspenensis CBS $13867^T$와 가장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었고(D1/D2 영역의 서열 유사성은 100% ITS에서 99.4%의 서열 유사성) ON6 균주는 Saitozyma flava와 관련된(D1/D2영역에서 100%, ITS에서 99.0%) 밀접하게 관련이 있었다. 이 세 가지 효모 균주는 모두 셀룰로오스를 분해할 수 있으므로 공생하는 효모들은 탄수화물 분해를 위한 효소를 자체적으로 생산하고 당 단당체를 휘발성 지방산으로 전환시킬 수 있다. Tremellomycetes에 속하는 공생 효모 균주인 ON2, ON17 (Papilioterma 속)과 ON6 (Saitozyma속)은 한국에는 보고되지 않은 균주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Grasshoppers play vital role in the digestion of photosynthetically fixed carbons. With the aid of intestinal microflora, the grasshopper can degrade leaves constituents such as cellulose and hemicellul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cellulolytic yeast isolates from the gut of grasshop...

Keyword

표/그림 (5)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장내 미생물 군의 도움으로, 메뚜기는 셀룰로오스 및 헤미셀룰로오스와 같은 잎의 성분을 분해할 수 있다. 본 연구는 한국의 기도에서 수집한 메뚜기 껍질에서 추출한 셀룰로오스 분해 효모 균주를 조사하기 위해 이루어졌다. 효모 균주 중 ON2와 ON17 (두 균주)과 ON6 (한 균주)는 CMC-플레이트 분석에서 셀룰로오스 활성을 보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Altschul SF, Madden TL, Schaffer AA, Zhang J, Zhang Z, Miller W, and Lipman DJ. 1997. Gapped BLAST and PSI-BLAST: a new generation of protein database search programs. Nucleic Acids Res. 25, 3389-3402. 

  2. Cubero F, Crespo A, Fatehi J, and Bridge DP. 1998. DNA extraction and PCR amplification method suitable for fresh, herbariumstored, lichenized, and other fungi. Plant Sys. Evol. 216, 243-249. 

  3. Dashtban M, Maki M, Leung KT, Mao C, and Qin W. 2010. Cellulase activities in biomass conversion: Measurement methods and comparison. Crit. Rev. Biotechnol. 30, 302-309. 

  4. Felsenstein J. 1985. Confidence limits on phylogenies: an approach using the bootstrap. Evolution 39, 783-791. 

  5. Ferreira-Paim K, Ferreira TB, Andrade-Silva L, Mora DJ, Springer DJ, Heitman J, Fonseca FM, Matos D, Melhem MSC, and Silva-Vergara ML. 2014. Cryptococcus aspenensis. PLoS One 9, e108633. 

  6. Fonseca A, Boekhout T, and Fell JW. 2008. Validation of the basidiomycetous yeast species Cryptococcus flavus and C. liquefaciens. Mycotaxon 106, 503-504. 

  7. Goldbeck R, Andrade CPP, Pereira GAG, and Maugeri Filho F. 2012. Screening and identification of cellulase producing yeast-like microorganisms from Brazilian biomes. Afr. J. Biotechnol. 11, 11595-11603. 

  8. Ingram M. 1958. Yeasts in food spoilage. In Cook AH. (ed.), The chemistry and biology of yeasts. Academic Press, New York, USA. 

  9. Joern A. 1985. Grasshopper dietary (Orthoptera: Acrididae) from a Nebraska sand hills prairie. Trans. Wis. Acad. Sci. 13, 21-32. 

  10. Joern A and Appel HM. 1998. Gut physiochemistry of grassland grasshoppers. J. Insect. Physiol. 44, 693-700. 

  11. Johnsen HR and Krause K. 2014. Cellulase activity screening using pure carboxymethylcellulose: application to soluble cellulolytic samples and to plant tissue prints. Int. J. Mol. Sci. 15, 830-838. 

  12. Kasana RC, Salwan R, Dhar H, Dutt S, and Gulati A. 2008. A rapid and easy method for the detection of microbial cellulases on agar plates using Gram's iodine. Curr. Microbiol. 57, 503-507. 

  13. Kumar S, Stecher G, and Tamura K. 2016. MEGA7: Molecular evolutionary genetics analysis version 7.0 for bigger datasets. Mol. Biol. Evol. 33, 1870-1874. 

  14. Kurtzman CP and Robnett CJ. 1998. Identification and phylogeny of ascomycetous yeasts from analysis of nuclear large subunit (26S) ribosomal DNA partial sequences. Antonie van Leeuwenhoek 73, 331-371. 

  15. Kurtzman CP, Fell JW, Boekhout T, and Robert V. 2011. Chapter 7 - Methods for isolation, phenotypic characterization and maintenance of yeasts, pp. 87-110. In Kurtzman CP, Fell JW, and Boekhout T. (eds.), The yeasts 5th ed., Elsevier, London, UK. 

  16. Lodder J. 1970. The yeasts: a taxonomic study, pp. 1-1385. Northholland publishing company, Amsterdam, The Netherlands. 

  17. Percival Zhang YH, Hong J, and Ye X. 2009. Cellulase assays. Methods Mol. Biol. 581, 213-231. 

  18. Thompson JD, Gibson TJ, Plewniak F, Jeanmougin F, and Higgins DG. 1997. The CLUSTAL_X windows interface: flexible strategies for multiple sequence alignment aided by quality analysis tools. Nucleic Acids Res. 25, 4876-4882. 

  19. White TJ, Bruns T, Lee S, and Taylor J. 1990. Amplification and direct sequencing of fungal ribosomal RNA genes for phylogenetics, pp. 315-322. In Innis MA, Gelfand DH, Shinsky JJ, and White TJ. (eds.), PCR Protocols: A guide to methods and applications, Academic Press. San Diego, USA. 

  20. Yeoh HH, Khew E, and Lim G. 1985. A simple method for screening cellulolytic fungi. Mycologia 77, 161-162. 

  21. Zhou B, Martin GJ, and Pamment NB. 2008. Increased phenotypic stability and ethanol tolerance of recombinant Escherichia coli KO11 when immobilized in continuous fluidized bed culture. Biotechnol. Bioeng. 100, 627-63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