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지식 상호보완성과 PMO수행체계가 IT 프로젝트 성과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Knowledge Complementarity and PMO Implementation System on Performance of IT Project 원문보기

경영과 정보연구 = Management & information systems review, v.37 no.4, 2018년, pp.141 - 156  

김충영 (서울시립대학교 경영학부) ,  장지연 (베스티안소프트) ,  최규진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PMO(Project Management Office)는 IT 프로젝트의 성공적인 운영을 위한 보편적 접근방법으로 여겨지고 있다. PMO에 관한 선행연구는 PMO의 규범적 역할과 기능을 규명하는 데 집중하는 경향이 있다. 반면 실제 현장에서는 PMO가 발주기업과 전문PMO로 구성되는 조직간 협력체로서 운영되고 있기 때문에 적절한 협력체 (PMO 수행체계)의 수립은 프로젝트 성과에 의미있는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에서는 발주기업과 외부 전문PMO의 역량이 PMO 수행체계의 수립을 통해 프로젝트 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았다. 더불어, 발주자와 전문PMO 간의 지식 상호보완 정도에 따라 각각의 역량이 수행체계에 미치는 영향에 변화가 있는지도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발주기업과 외부 전문PMO의 역량이 PMO수행체계의 수립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추진조직과 역할 및 책임에 대한 명확한 정의와 표준화된 프로세스의 확립 등이 IT 프로젝트의 성과에 중요한 요인임이 밝혀졌다. 또한, 발주기업과 전문PMO가 공통지식 기반을 갖고 지식 상호보완성을 확보했을 때 PMO가 더욱 효과적으로 기능을 발휘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종합하면, IT 프로젝트의 성공을 위해서는 PMO 수행체계수립에서 거버넌스 관점의 접근이 중요하며 발주기업과 외부 전문 PMO 간의 지식 상호보완성의 확보가 도움이 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MO(Project Management Office) has been considered as a general approach for the successful operation of IT project. The previous studies tended to emphasize on the roles and functions of PMO in a normative way. However, in practice, since PMO is operated as a joint structure in which client firms 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를 위해 우선 발주기업(이하 발주자)의 역량과 외부 전문PMO(이하 전문PMO)의 역량이 PMO 수행체계(이하 수행체계)의 수립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한다. 둘째, 발주자와 전문PMO 간의 지식 상호보완정도에 따라 각각의 역량이 수행체계에 미치는 영향에 변화가 있는지를 살펴본다. 셋째, 수행체계의 주요 요인 중에서 프로젝트 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세부요인을 찾고자 한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발주자의 역량이 수행 체계의 구성 및 운영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가정하고, 의사결정 능력(Andres & Zmud, 2001), 이해관계 조정능력(Weill & Ross, 2004, Van Grembergen, 2004), 그리고 전문성과 경험을 대변할 수 있는 프로젝트 관련 제반지식(Aladwani, 2002; 이진실, 2011)을 통해서 발주자의 역량을 측정하고자 한다.
  • 본 연구의 목적은 발주자의 역량과 외부 전문 PMO의 역량이 수행체계의 수립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지를 검증하고 수행체계의 주요 요인 중에서 프로젝트 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밝혀내는 것이다. 또한, 발주자와 외부 전문PMO 간의 지식 상호보완 정도에 따라 발주자와 전문PMO의 역량이 수행체계에 미치는 영향의 변화도 살펴보았다. 본 연구에서는 설정된 연구모형을 중심으로 경로분석을 수행한 결과 모든 영향관계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 본 연구는 발주자의 역량과 전문PMO의 역량에 따라 수행체계의 수립에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하고, 적절한 수행체계의 수립이 프로젝트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파악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또한, 발주자와 전문PMO 간의 지식 상호보완성의 조절효과를 밝히기 위하여 수행체계에 미치는 발주자와 전문PMO의 영향이 지식 상호보완성의 정도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그림 1>과 같은 연구모형을 제안한다. 본 연구는 발주자의 역량과 전문PMO의 역량에 따라 수행체계의 수립에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하고, 적절한 수행체계의 수립이 프로젝트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파악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또한, 발주자와 전문PMO 간의 지식 상호보완성의 조절효과를 밝히기 위하여 수행체계에 미치는 발주자와 전문PMO의 영향이 지식 상호보완성의 정도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조직간 협력체로서의 PMO 수행체계가 사실상 PMO의 역할을 수행한다는 전제하에 수행체계가 프로젝트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우선 발주기업(이하 발주자)의 역량과 외부 전문PMO(이하 전문PMO)의 역량이 PMO 수행체계(이하 수행체계)의 수립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한다.
  • 또한 조직성과는 프로젝트가 종료된 후 운영을 통해서 얻어지는 결과로 평가된다고 할 수 있다(배재권 외, 2008). 본 연구에서는 직무성과라 할 수 있는 프로젝트 일정과 요구사항의 달성 정도, 그리고 심리적 성과라 할 수 있는 사용자 만족도를 프로젝트 성과로 정의하였다.
  • 본 연구의 목적은 발주자의 역량과 외부 전문 PMO의 역량이 수행체계의 수립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지를 검증하고 수행체계의 주요 요인 중에서 프로젝트 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밝혀내는 것이다. 또한, 발주자와 외부 전문PMO 간의 지식 상호보완 정도에 따라 발주자와 전문PMO의 역량이 수행체계에 미치는 영향의 변화도 살펴보았다.
  • 둘째, 발주자와 전문PMO 간의 지식 상호보완정도에 따라 각각의 역량이 수행체계에 미치는 영향에 변화가 있는지를 살펴본다. 셋째, 수행체계의 주요 요인 중에서 프로젝트 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세부요인을 찾고자 한다. 특히 수행체계의 거버넌스 측면을 고려할 때 프로젝트 성과에 대한 새로운 영향요인을 살펴보고자 한다.
  • 이러한 추세와 함께 PMO의 도입 및 성공적 운영을 위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었으며 크게 세 가지로 종합할 수 있다. 첫째, PMO의 역할 및 도입의 필요성에 관한 연구이다. 정보시스템 프로젝트를 효과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전담조직으로서 PMO의 필요성은 여러 연구자들에 의해 제시되었다(김상열, 2007; Crawford et al.
  • 셋째, 수행체계의 주요 요인 중에서 프로젝트 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세부요인을 찾고자 한다. 특히 수행체계의 거버넌스 측면을 고려할 때 프로젝트 성과에 대한 새로운 영향요인을 살펴보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일정규모 이상의 공공사업에서는 감리를 의무화하는 법률의 한계는? 이러한 필요성을 뒷받침하기 위해 일정규모 이상의 공공사업에서는 감리를 의무화하는 법률이 제정되어 시행되고 있으나 감리활동을 통해 정보시스템 구축프로젝트의 성공을 유도하는 데는 한계가 있어 보인다. 그 이유는 감리활동이 프로젝트의 종료시점에 집중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정보시스템 프로젝트의 시작부터 종료 시점까지 전체를 관리하여 구축사업의 성공가능성을 높이고자 하는 노력의 필요성이 제기된 것이다.
정보기술 프로젝트에서 전문PMO와 발주자에게 어떤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가? 둘째, 수행체계의 수립에는 발주자와 전문PMO의 역량과 참여가 중요하지만 이를 위해서는 발주자와 전문PMO 간에 지식 상호보완성을 확보하는 데 노력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즉, 전문PMO는 발주자의 업무지식을, 발주자는 IT 프로젝트 및 PMO에 대한 기본적인 지식을 갖고 있을 때 지식 상호보완성이 작동하여 수행체계의 수립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발주자와 전문 PMO가 서로를 이해하고 지식을 교류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해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최소한의 연결부분으로서 공통지식(역량)을 확보하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PMO는 무엇인가? , 2009). PMO는 프로젝트 관리능력을 개선하고 실무현장에서 실질적인 사항을 제시해주는 전문 관리조직이라 할 수 있으며(Alekseev, 2010; 이진실, 2011)정보기술 프로젝트의 성공적인 운영을 위한 보편적 접근방법으로 여겨지고 있다(이성몽 외, 2013). 미국과 유럽의 경우 PMO의 도입사례가 매년 증가하고 있으며(PMS,2010) 국내에서도 금융권 등에서 대규모 프로젝트를 추진할 때 PMO를 도입하는 것이 일반화되고 있다(이진실, 2011; 이성몽 외, 201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6)

  1. 강동석.이용근(2011), 정보화사업 PMO 운영관리 매뉴얼, 한국정보화진흥원, 연구보고서. 

  2. 강동석.진희재(2013), 전자정부사업관리 위탁(PMO) 도입.운영 가이드, 연구보고서, 한국정보화진흥원. 

  3. 강석민(2017), "기술협력 네트워크에서의 사회적 자본, 지식관리활동, 혁신, 관계 만족 및 관계 투자에 관한 실증연구", 경영과 정보연구, 제36권 제1호 41-57. 

  4. 공영일(2009), "ERP 프로젝트에서의 지식 상호보완성에 관한 연구: 프로세스 이노베이션(Process Innovation)을 중심으로", 박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5. 김동수.김현수.안연식(2004), "정보시스템 감리의 서비스 품질요인이 감리품질과 고객만족에 미치는 영향", 정보처리학회논문지, 제11권, 제7호, 1467-1476. 

  6. 김동수.김현수.강재화.양경식(2007), "정보시스템 감리 및 프로젝트 성과에의 영향요인 연구: 감리상황요인과 서비스요인을 중심으로", 정보화정책 제14권, 제1호, 44-67. 

  7. 김상열(2007), "정보시스템 개발 프로젝트 성과 향상을 위한 PMO통합 성과 관리 모델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논문, 서강대학교. 

  8. 나중수(2006), "정보시스템 감리인의 역량이 감리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논문, 국민대학교. 

  9. 류성렬(2008), "기업간 잠재적 지식 상호보완성과 지식 교환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10. 박영민.최광호(2013), "프로젝트관리 표준(ISO 21500) 이행가이드", 산업통상자원부기술표준원, 연구보고서. 

  11. 배재권.김진화.김상열(2008), "PMO 역량에 따른 프로젝트 성과에 관한 연구", 경영정보학연구, 제18권 제1호, 53-77. 

  12. 송지준(2015), 논문작성에 필요한 SPSS/AMOS 통계분석방법, 21세기사. 

  13. 신호경(2006), "지식상호보완성이 IT 아웃소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상대적 흡수 능력을 중심으로", 박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14. 이성몽.김은홍.문송철(2013), "PMO 서비스와 PMO 역량이 프로젝트 성과에 미치는 영향",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Applications & Management, 제20권, 제1호, 107-131. 

  15. 이재범.이재철.장윤희(2009), "금융권 핵심 PMO 기능과 운영형태에 관한 연구", 디지털정책연구, 제7권 제3호 35-47. 

  16. 이진실(2011), "IT 프로젝트관리조직(PMO)의 업무수행체계 영향요인 및 효과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논문, 중앙대학교. 

  17. 이훈영(2008), 연구조사방법론, 도서출판 청람. 

  18. 장지연.김충영(2016), "지식상호보완성이 정보시스템 감리성과에 미치는 영향 : 상주감리관점에서", 한국IT서비스학회지, 제15권, 제1호, 113-129. 

  19. 최해룡.구자원(2017a), "기업정보화 핵심성공요인과 정보화성과 결정요인에 관한 실증연구", 경영과정보연구, 제36권 제2호, 277-306. 

  20. 최해룡.구자원(2017b), "IT서비스기업의 성과창출을 위한 매커니즘요인 사례연구", 경영과정보연구, 제36권 제5호, 1-26. 

  21. Aladwani, A. M.(2002), "An Integrated Performance Model of Information Systems Projects", Journal of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s, Vol. 19, No. 1, 185-210. 

  22. Alekseev, A.(2010), Knowledge Management in Project-based Organizations: The Success Criteria and Best Practices, 1-81. 

  23. Andres, H. P., and Zmud, R. W.(2001). "A Contingency approach to software project coordination", Journal of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s Vol. 18 No. 3, 41-70. 

  24. Crawford, L, Hobbs, B., and J. R. Turner (2006), "Aligning Capability with Strategy: Categorizing Project to do the Right Project and to do them Right", Project Management Journal, Vol. 37, No. 2, 38-50. 

  25. Frame, J. D.(1994), The New Project Management: Tools for an Age of Rapid Change, Corporate Reengineering and Other Business Realities, Jossey-Bass. 

  26. Hill, G. M.(2004), "Evolving the Project Management Office: A Competency Continuum", Information Systems Management, Vol. 21, No 4, 45-51. 

  27. Hill, R. C. and D. Hellriegel(1994), "Critical Contingencies in Joint Venture Management: Some Lessons from Managers", Organization Science, Vol. 5, No. 4, 594-607. 

  28. Hormozi, A. M. and L. F. Dube(1999), "Establishing Project Control: Scheduling, Cost, and Quality", SAM Advanced Management Journal, Vol. 64, No. 4, 32-39. 

  29. Hurt, M. and Thomas Janice(2009), "Building Value Through Sustainable Project Management Offices", Project Management Journal, March. 

  30. Kerzner, Harold(2013), Project Management: A Systems Approach to Planning, Scheduling, and Controlling, 11th ed., Wiley, 

  31. Lane, P. and M. Lubdtkin(1998), "Relative Absorptive Capacity and Inter-organizational Learning", Strategic Management Journal, Vol. 19, 461-477. 

  32. Mullaly, M.(2002), Defining the Role of the PMO: The Quest for Identity 

  33. PMS(2010), The State of the PMO 2010, APM Solutions Research Report, 1-46. 

  34. Rad, P. F. and G. Levin(2002), The Advanced Project Management Office: A Comprehensive Look at Function and Implementation, St. Lucie Press, New York, NY. 

  35. Van Grembergen, W. Steven De Haes, and Guldentops, Eric(2004), Structures, Processes and Relational Mechanisms for Information Technology Governance: Theories and Practices, eds. Van Grembergen, in Strategies for Information Technology Governance, Idea Group Publishing. 

  36. Weill, P. and J. Ross(2004), IT Governance: How Top Performance Manage IT Decision Rights for Superior Results, Harvard Business School Press, Boston, MA.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