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쇼핑성향이 패션 O2O 서비스 재이용 의도에 미치는 영향: 충동구매성향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Shopping Orientation Impacting Reuse Intention of O2O Services: Focusing on the Moderation of Impulse Buying Tendency 원문보기

Fashion & textile research journal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v.20 no.6, 2018년, pp.645 - 655  

한정원 (국민대학교 패션머천다이징 전공) ,  이은정 (국민대학교 의상디자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nline to Offline(O2O), a new model of e-commerce, has been gradually recognized and accepted by consumers. Electronic commerce has become diversified and O2O marketing is the new trend of e-commerce. The rapid popularization of mobile Internet and online shopping makes O2O service gets more attent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또한 본 연구에서는 O2O 서비스 재이용에 있어 쇼핑성향의 영향과 더불어 그 관계를 변화시키는 제 3의 변수로서 충동구매성향의 역할에 대해서도 확인하고자 한다. 충동구매성향은 비계획구매의 한 형태로 외부적인 요인과 심리적인 요인으로 인해 충동적으로 이루어지는 구매를 말하는데(Kim, 2010), 온라인 및 모바일 소비 및 패션 제품 구매 상황에서 소비자의 최종 의사결정 및 구매 후 만족 등의 주요 행동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핵심적 변인 중 하나로 다수의 연구에서 논의되었다.
  • 본 연구는 기존의 O2O 서비스의 재이용 의도에 대한 선행연구와 차별화하고자 하였다. 또한 쇼핑성향이 O2O 서비스 재이용 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또한 쇼핑성향과 O2O 서비스 재이용 의도의 관계에 대한 충동구매성향의 조절효과를 확인하였다.
  • 그러므로 O2O 서비스를 이용하는 소비자의 구매성향 및 최적의 상황에 맞춰 정보를 제공해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기존의 O2O 서비스의 재이용 의도에 대한 선행연구와 차별화하고자 하였다. 또한 쇼핑성향이 O2O 서비스 재이용 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소비자의 쇼핑성향이 O2O 서비스의 재이용 의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 지 그 과정에서 소비자의 충동구매성향이 쇼핑성향과 O2O 서비스 재이용 의도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러한 논의를 바탕으로 하여 아래 Fig.
  • 본 연구의 결과는 O2O 서비스가 급속히 확정되는 상황에서 기존 연구들에서 아직 다뤄지지 않은 소비자의 개인적 쇼핑성향과 충동구매성향이 서비스 이용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살펴보았다는 것에서 기존 연구 흐름에 추가적인 의미를 갖는다. 한편 본 연구 결과와 기존 선행연구 결과를 비교하면, 유사점이 발견된다, 즉 O2O 서비스 사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기존선행연구를 살펴보면 상황기반 제공성이 가장 높은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Jung, 2016), 상황기반 제공성은 상황에 적합하게 맞춘 서비스를 통해 편의성을 증대시키는 것으로서 본 연구의 결과와 맥락이 유사하다.
  • 연구문제 2. 소비자의 쇼핑성향이 패션 O2O 서비스 재이용 의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소비자의 충동구매성향이 갖는 조절 효과를 알아본다.
  • 연구문제 1. 소비자의 쇼핑성향이 패션 O2O 서비스 재이용 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다.
  • 즉 충동구매는 비이성적인 감정 상태로 인해 제품에 대한 인지적 평가가 감소되어 구매로 이어지는 갑작스러운 행위라고 할 수 있다(Rook, 1987; Rook & Fisher, 1995). 위와 같은 선행 연구들의 제반 논의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충동구매를 심리적 원인에 의해 발현되는, 자기 절제 조절의 부족에 의해 즉각적이고 쾌락적으로 이루어지는 구매행동으로 정의하고자 한다. 충동구매성향은 양면적 효용을 갖는 개념인데, 즉 소비자 관점에서는 충동적인 소비를 유발하므로 구매 후 실망, 위험지각, 불만족 등의 부정적 태도 및 행동에 중요한 영향을 미침이 확인되며, 반면 기업 입장에서는 매출이 올라간다는 점에서 마케팅 자극의 목적요인으로서 평가하기도 한다(Shin, 2017).
  • 이는 이러한 테크놀러지 기반의 융합적 서비스에서는 누적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한 예측력 증대 및 소비자의 편의성 증대가 최우선적인 마케팅목표가 되기 때문이다(Kim, 2015; Kim & Lee, 2018; Park& Chun, 2013). 이러한 결과들을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소비자들의 다양한 쇼핑성향이 이들이 패션 제품 구매와 관련된 O2O 서비스를 재이용하고자 하는 의사에 결정적인 역할을 할 것으로 예상하며 이를 실증적 연구를 통해 규명해보고자 한다.
  • 이상의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 역시 쇼핑성향을 쾌락추구, 편의추구, 트렌드 추구, 경제성 추구, 브랜드 추구, 세일추구 등 총 6개 요인으로 구성된 다차원 개념으로 정의하고, 각 요인이 소비자의 패션제품 O2O 서비스 재이용 의도(Park & Chun, 2013; Shin, 2017)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한다.
  • 이에 본 연구는 O2O 서비스를 이용하는 소비자들의 쇼핑성향이 이들의 O2O 서비스 재이용 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소비자 쇼핑성향은 온라인 및 모바일쇼핑 환경에서 소비자들의 마케팅에 대한 대응 행동을 결정하는 데 중요한 영향을 미침이 확인되어 온 주요한 개념으로, 특히 패션기업이 O2O 서비스의 마케팅을 수행하는데 있어서 이용자들의 구매행동을 예측하고 분석하는 데 매우 중요할 것으로 예상된다.
  • 이러한 선행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하면, 쇼핑성향은 온라인 및 오프라인 채널을 아우르는 O2O 서비스 환경에서 또한 소비자의 서비스 이용 의도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예상된다. 한편,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쇼핑성향이 O2O 서비스 재이용 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보았다. O2O 서비스의 사용에서는 새로운 소비자의 유입보다 기존 고객을 유지하는 것이, 관련 정보를 수집 처리하고 마케팅 프로모션을 진행하는 데 효과적이며 효율성이 높아진다(Kim, 2015).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모바일 기반 쇼핑채널의 활성화의 결과 어떻게 변화되었는가? O2O 서비스란 ‘온라인에서 오프라인(online to offline)’ 혹은 ‘오프라인에서 온라인(offline to online)’의 약자로, 제품 구매에서 기업이 소비자에게 온라인(예: 모바일 쇼핑 어플리케이션 혹은 인터넷 쇼핑몰에서의 쇼핑, SNS 쿠폰 등) 및 오프라인(예:기존의 매장 방문) 방식이 결합된 서비스 형태를 제공하는 것으로 정의된다(Kim & Lee, 2018; Lee, 2017). 모바일 기반 쇼핑채널의 활성화의 결과, 온·오프라인 구매 채널 간의 시간/장소적 물리적 경계가 소멸되는 크로스오버 구매패턴이 확산되었고, 그 결과로 온·오프라인 채널을 유기적으로 결합하는 O2O 서비스가 주목받고 있다. O2O 서비스는 소비자 편의성을 위한 구매 채널 간의 유기적 결합을 목표로 하는데, 궁극적으로는 한 기업의 온라인 채널과 오프라인 채널이 유기적으로 결합되어고객 관리 및 마케팅 효율성을 강화하면서 신규 비즈니스 모델을 구축하려는 확장된 서비스 기반 비즈니스 전략이라고 할 수 있다(Kim, 2017).
O2O 서비스란 무엇인가? O2O 서비스란 ‘온라인에서 오프라인(online to offline)’ 혹은 ‘오프라인에서 온라인(offline to online)’의 약자로, 제품 구매에서 기업이 소비자에게 온라인(예: 모바일 쇼핑 어플리케이션 혹은 인터넷 쇼핑몰에서의 쇼핑, SNS 쿠폰 등) 및 오프라인(예:기존의 매장 방문) 방식이 결합된 서비스 형태를 제공하는 것으로 정의된다(Kim & Lee, 2018; Lee, 2017). 모바일 기반 쇼핑채널의 활성화의 결과, 온·오프라인 구매 채널 간의 시간/장소적 물리적 경계가 소멸되는 크로스오버 구매패턴이 확산되었고, 그 결과로 온·오프라인 채널을 유기적으로 결합하는 O2O 서비스가 주목받고 있다.
O2O 서비스가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한다는 예로 들 수 있는 것은 무엇인가? O2O 서비스는 모바일의 간편 결제로 편리성을 보장하며, 위치기반, 개인화 테크놀러지 등을 바탕으로 개별적 소비자의 니즈를 실시간으로 파악 및 예측, 그에 맞는 포인트 및 쿠폰, 마일리지 등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한다(Im, 2014;Kim & Lee, 2018; Kim, 2017). 가령 백화점을 방문한 고객이 백화점 문 앞에서 스마트 폰으로 세일 정보를 받아 보거나, 백화점 안에 들어서면 각 층마다 제공되는 타임 서비스나 할인쿠폰을 매장 주변 5m 앞에서 받아보는 것 등이 현재 이미 활성화되어 있는 O2O 서비스의 예이다(Lee, 201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8)

  1. Ahn, J. Y. (2014). The effects of customers' internal reference price and reference discount varied by their deal-proneness, price knowledge, brand loyalty and discounted purchase experience on their nuying intention.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Sejong University, Seoul. 

  2. Baron, R. M., & Kenny, D. A. (1986). The moderator-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1(6), 1173-1182. 

  3. Chae, J. M. (2016). Consumer shopping orientation and perceived value according to the level of use of mobile fashion shopping.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24(1), 79-92. doi:10.7741/rjcc.2016.24.1.079 

  4. Chen, Y. C., Lin, H. C., & Hsieh, H. C. (2013). Improved precision recommendation scheme by BPNN algorithm in O2O commerce. IEEE 10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e-Business Engineering, 1(1), 324-328. doi:10.1109/ICEBE.2013.50 

  5. Cho, H. R. (2016). A study on the brand identity strategies for online to offline service brand communication: Focused on the food & beverage smartorder servic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Hongik University, Seoul. 

  6. Choi, S. H. (1996). Study of general values and clothing shopping orientationa for unmarried women.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7. Davis, F. D. (1989). Perceived usefulness, perceived ease of use, and user acceptance of information technology.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 Quarterly, 13(3), 319-339. doi:10.2307/249008 

  8. Donthu, N., & Garcia A. (1999). The internet chopper. Journal of Advertising Research, 39(3), 52-57. 

  9. Hahn, J. H. (1999). Female adolescents' hedonic shopping orientation and the perceived store images as related to store patronage. Unpublished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10. Hang, I. (2015). A study on the effects of the factors on reuse intention in O2O market based on smartphone-centering on the O2O service of Wechat.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onnam National University, Gwangju. 

  11. Howell, R. D. (1979). A multivative examination of patronage model:The impact of values and life styles on shopping orientation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Alkansas, Fayetteville. 

  12. Hwang, Y. Y., & Lee, K. Y. (2013). Effect of personal characteristics and characteristics of review perception on constant use of mobile markets. Seoul Management Studies, 26(8), 2021-2041. 

  13. Im, H. N. (2014). Influence of the VMD type of SPA brand on consumer attitude and impulse buying: Control effect of sensation seeking tendency. Unpublished master's thesis, Hongik University, Seoul. 

  14. Jacoby, J. (1971). A model of multi-brand loyalty. Journal of Advertising Research, 11(3), 53-66. 

  15. Ji, H. K. (2013). The influences of shopping orientation and impulse buying orientation on internet shopping addiction to fashion products. Journal of the Seoul Fashion & Costume Design Association, 15(2), 27-41. 

  16. Ji, Y. S. (2016). The effects of consumer's subjective perception of omnichannel commerce on shopping channel switching intention: Focused on the comparison between Seoul and China.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Soongsil University, Seoul. 

  17. Joo, J. W., & Lee, E. J. (2015). The effect of shopping orientation, fashion innovativeness and perceived mobile benefits on mobile clothing purchas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ashion Design, 15(2), 147-164. 

  18. Jung, Y. J. (2016). A study on the factors that affect the user intention of O2O servic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19. Kim, A. K., & Lee, E. J. (2018). Influences of omni-channel shopping motivations on consumer acceptance of omni-channel strategies through fashion product purchasing processes.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26(1), 109-124. doi:10.29049/rjcc.2018.26.1.109 

  20. Kim, B. K. (2013). A study on causal relations between shopping orientation for fashion goods, customer equity of internet shopping mall and purchase intention. Unpublished master's thesis, Kyunghee University, Seoul. 

  21. Kim, D. J., Cho, B. S., & Rao, H. R. (1999). Effects of consumer lifestyles on purchasing behavior on the internet: A conceptual framework and empirical validation. AMCIS, 12(3), 35-47. 

  22. Kim, H. M. (2010). Qualitative study on impulse purchases of fashion produc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okmin University, Seoul. 

  23. Kim, J. K. (2015). Exploring factors affecting the user adoption of O2O m-commerce. Unpublished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24. Kim, K. (2014). Trends and viewpoints of O2O (Online-To-Offline). Information Communication Broadcasting Strategies, 26(22), 590-595. 

  25. Kim, S. H. (2009). The relationships among shopping orientation, price perception, and purchase satisfaction of internet buying agent service users. Unpublished master's thesis, Keimyung University, Daegu. 

  26. Kim, S. Y. (2017, November 19). Naver focuses on delivery app logistics startups. Digital Times. Retrieved January 20, 2018, from http://www.dt.co.kr/contents.html?article_no2017111902109931102001 

  27. Kollat, D. T., & Willett, R. P. (1969). Is impulse purchasing really a useful concept for marketing decisions?. Journal of Marketing, 33(1), 79-83. doi:10.2307/1248750 

  28. Lee, C. G., Yun, H. J., Lee, C. H., & Lee, C. C. (2015). Factors affecting continuous intention to use mobile wallet: Based on value-based adoption model. The Journal of Society for e-Business Studies, 20(1), 117-135. 

  29. Lee, H. K. (2008). An analysis of on-line shopping motivations, utilization of information through on-line reviews, and buying behavior based on on-line clothing shopping orientation. Unpublished master's thesis, Dongduk Women's University, Seoul. 

  30. Lee, J. W. (2017). The study on the use experience and attitude formation of O2O mobile business. Seoul Logistics Review, 27(4), 89-100. 

  31. Lichtenstein, D. R., Netemeyer, R. G., & Burton, S. (1990). Distinguishing coupon proneness from value consciousness: An acquisitiontransaction utility theory perspective. Journal of Marketing, 54(3), 54-67. 

  32. Na, S. J. (2012). A study on user satisfaction and willingness to ongoing use according to mobile SNS's characteristics: Focused on machinery industry workers. Unpublished master's thesis, Hansung University, Seoul. 

  33. Nunally, J. C. (1978). Psychometric theory (2nd ed.). New York: Mc-Graw-Hill. 

  34. Parasuraman, A., Zeithaml, V. A., & Berry, L. L. (1988). SERVQUAL:A multi-item scale for measuring consumer perceptions of the service quality. Journal of Retailing, 64(1), 12-40. 

  35. Park, C., & Kim, I. K. (2014). Factors influencing impulsive buying and regret in mobile shopping: Perceived information control, price sensitivity, and overconfidence. The Journal of Internet Electronic Commerce Research, 14(6), 201-217. 

  36. Park, C., Chun, J., & Lee, T. M. (2015). The effects of customer characteristics on mobile shopping satisfaction: Comparison of Seoul, China, U.S. and Japan. International Business Journal, 26(2), 99-128. 

  37. Park, H. H., & Chun, J. O. (2013). The influence of perceived value and trust on reuse intention of social commerce: Moderating effect of gender. Journal of Marketing Studies, 21(4), 57-80. 

  38. Park, H. J. (2017). Antecedents of internet purchasing intention - Impulse buying, market mavenism, online interaction readiness, and online consumer procrastination -.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25(5), 593-610. doi:10.29049/rjcc.2017.25.5.593 

  39. Park, H. J. (2014). The effects of smartphone shopping orientation on purchasing satisfaction. Unpublished master's thesis, Kyunghee University, Seoul. 

  40. Rook, D. W. (1987). The buying impulse.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14(2), 189-199. doi:10.1086/209105 

  41. Rook, D. W., & Fisher, R. J. (1995). Normative influences on impulse buying behavior.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22(3), 305-313. 

  42. Shim, S. Y., & Kotsiopulos, A. (1993). A typology of apparel shopping orientation segments among female consumers. Clothing and Textiles Research Journal, 12(1), 73-85. doi:10.1177/0887302X9301200110 

  43. Shin, S. Y. (2017). Study of the influential factors of repurchase intention and word-of-mouth intention of men in their 20's and 30's in social commerce - Focused on social commerce characteristics and consumers' personal characteristics -.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25(1), 1-15. doi:10.29049/rjcc.2017.25.1.1 

  44. Sohn, J. G. (2015). A study on the effects of O2O characteristics on attractiveness, trust and users' intention: Focused on food service industry between Seoul and China.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Kongju National University, Gongju. 

  45. Stern, H. (1962). The significance of impulse buying today. Journal of Marketing, 26(2), 59-62. doi:10.2307/1248439 

  46. 'Why Online2Offline commerce is a trillion-dollar opportunity'. (2010, August 7). Tech Crunch. Retrieved April 8, 2017, from https://techcrunch.com/2010/08/07/why-online2offline 

  47. Yang, M. H. (2016). Study of the relationship between impulsive internet shopping orientation and personality. Journal of the Korean Contents Association, 16(5), 710-719. 

  48. Yum, M. J. (2009). Effect of shopping orientation on impulse purchase - Focusing on vanity and price perception -.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